* 들어가는 글
노거수가 많으며
가득한 잎으로 풍부함을 보여주는
팽나무는 남부지방에서
당산목으로 많이 볼 수 있으며
(당산목으로는 느티나무 다음으로 많다)
특히 제주도에 많은 나무가 있다.
※ 폭낭에 대한 추억 글1 _ 강민숙 선생님
"폭낭 그늘 아래 서면 외갓집 할머니와
외삼촌들의 모습들이 스쳐 지나갑니다.
외할머니와 동네 여인들의 사랑방이자
아이들의 놀이터 였거든요.
그 오랜 삶의 이야기들을 다 알고 있는
폭낭은 아직도 그곳에 서서,
다른 이들의 이야기들을 듣고 있겠지요. ~~"
※ 폭낭에 대한 추억 글2 _ 신원영 선생님
"어렸을적 폭낭에 올라 앉아
대나무 총에 폭낭 열매를 넣어
지나가던 새까만 큰눈을 가진 순이를 향해
개구지게 쏘았던 그 시절이 그리워집니다.
지금은 순이는 시집가서 할머니 됐겠지..
나의 폭낭은 기다림이었다.
그녀가 혹시 언제 나타날까?
맞으면 얼마나 아플까?
가슴을 뛰게 한 폭낭"
중부지방에서는
흔하지 않지만 최근의 드라마로
유명세를 겪은 팽나무에 대해 알아보자.
※ 당산목 [堂山木]
마을의 수호신으로 모셔 제사를 지내는 나무.
* 생김새
* 해설포인트
첫째, 한자이름으로 풀어 본 팽나무
팽나무의 한자어는
포슈(朴树, 박수)인데
샤먼 (무당, 점(卜)을 치는 사람)의 나무(木)
또는 신령스런 나무라는 의미이다
한국식물생태보감에 의하면
박수무당(朴树巫堂)이라는 것도
팽나무(朴树)로 대표되는 마을의
당산나무 아래에서 굿을 하는
남자 무당을 말하고 있다고 한다
둘째, 팽나무라는 이름은?
바닷가 포구(浦口) 근처에서
흔히 보여 '포구나무'로 불리다가
'패구나무'를 거쳐
팽나무가 되었다는 설과 함께
작은 대나무 대롱으로 만든 나무총에
팽나무 둥근 열매를 넣고 쏘면,
팽~하고 날아 간다고 해서
'팽나무'라고 한다는 설이 있다.
세째, 팽나무는 어디에?
소나무중 곰솔도 그러하지만
팽나무도 짠물과 갯바람을
잘 버티는 나무다.
그래서인지는 몰라도
산지에는 잘 보이지 않고
바닷가나 냇가에는 흔히 보인다.
팽나무는
물과 공기가 잘 통하는 모래자갈땅에서도
약간비옥한 곳을 더욱 좋아한다.
느티나무 서식처와 중첩되기도 하지만,
느티나무는 내륙 쪽에 치우쳐 분포한다면,
팽나무는 바닷바람을 쐴 수 있는 곳에
치우쳐 산다.
우리나라 남부지역의 섬지역이나
제주도에서 팽나무 노거수가적지 않게
관찰되는 까닭이다.
식물사회학적으로 팽나무는
난온대와 냉온대 남부 · 저산지대의
식생지역에서 하천 자연제방이나
단애(斷崖地)를 특징짓는 여러 종류의
잠재자연식생 구성요소 가운데 하나다.
네째, 팽이버섯은 팽나무에만 있을까?
물론 팽나무에 있기도 해서
팽나무버섯이라고도 하였지만
실제로 팽이버섯은
참나무류나 뽕나무 그루터기에도 있다
다섯째, 팽나무 잎이 왜 이런거지?
팽나무잎중에 가끔 삐죽삐죽
뿔모양의 돌기가 올라 온 부분을 볼 수
있는데 이는 알락나무이과 큰팽나무이 충영이다.
곤충이 팽나무잎을 도움 받아
살아가고 있다.
아마도 팽나무는 곤충들의 피해를
최소화하려 그 부분만을 그리 만들었으려나.
그들은 그렇게 같이 삶을 살아내고 있다.
여섯째, 제주의 팽나무
이러 저러 제주여행을 하지만
팽나무만을 만나러 가거나
팽나무 만나는 일정을 끼워넣어 볼 일이다.
※ 제주의 팽나무 명소
일곱째, 천연기념물 팽나무는
천연기념물 팽나무를 찾아가
노거수 팽나무의 정기를 받아보면 어떨까.
* 일반사항
_ 서식지는 저지대의 숲
_ 학명은 Celtis sinensis Persson.
_ 분포지역은 한국, 중국
_ 번식은 종자, 삽목
_ 생활사는 여러해살이
_형태는 낙엽활엽교목
_수형은 원개형
(가지의 신장은 분산형)
_ 크기는 높이 20m, 지름 1m.
* 생태 _ 형태별 모습
_ 잎은
둥근 타원형으로 어긋나여
느릅나무과 집안답게 짝궁둥이다
(잎 좌우가 비대칭이다)
측맥이 3~4쌍으로 적고,
잎 상부 가장자리에
불규칙한 톱니가 자잘하게 있으며
입자루에는 털이 있다
좌우가 비대칭인 짝 궁둥이 그리고 잎 상부에만 톱니가 있는 잎의 앞, 뒷면
_ 꽃은
5월에 피는 수꽃양성화한그루이다.
즉, 새가지 위에 암꽃, 수꽃이 같이
새가지 겨드랑이에 수꽃이 핀다
수꽃차례는
새가지의 겨드랑이에서 4개의 수술이,
양성화꽃차례는
새가지 윗부분에 암술이 1개로
암술대는 두갈래로 갈라지며
그 하부에 수술 4개가 있다.
수술이 일반적으론 4개이나 5개도 있는 수꽃차례
_ 열매는
지름 7~8mm로서
자그마한 둥그런 핵과이다.
약간 붉은색이 강한 노란색으로
10월에 성숙하며 과육은 달고
먹을 수 있다.
열매자루에는 잔털이 있다.
_ 줄기는
높이 20m, 지름 1m이며
직립하고 가지가 넓게 퍼지며
나무껍질이 흑갈색이고
일년생가지에 잔털이 밀생한다.
가지는 넓게 퍼지며
일년생가지에 잔털이 밀생한다.
_ 뿌리는
원뿌리가 있으며,
곁뿌리가 사방으로 뻗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