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 오륙도 해맞이 공원에서 해남 땅끝탑까지 62일.
남해. 창선도 14(창선도 당항-냉천-창선대교-늑도대교-삼천포대교)
◈ 일시 : 2022. 06. 01 (수). 남해 섬.해안 13차(남해 3차) 5박 6일 중 셋째 날.
지방선거일. 17~27도.
◈ 구간 거리 및 소요시간 : 6.4 km. 2시간 20분.
◈ 동행 : 아내.
◈ 지도.
◈ 트랙.
카카오 맵으로 트랙 보기.
◈ 일정 정리.
06 : 10. 경남은행 정류소에서 지족 가는 25번 버스 탐(\1450x2).
06 :31. 당항 하차. 율도리로 가는 1024번 지방도 밑에 똑같은 모양의 집들을 올려다 보고 바닷가로 내려갔다.
06 : 43. 당항포구. 동대만 건너로 어제 쉬어온 느티나무쉼터부터 천야도와 지나온 길을 돌아보고 갯가를 돌아간다.
06 : 50. 다시 3번 국도로 올라와 소공원 벤취가 있는 곳에서 도로 따라간다.
07 ; 00. 길우측엔 냉천 어촌체험장. 길 건너편은 리베라 펜션. 삼천포화력발전소가 멀리 보인다.
07 : 09. 도로와 분리된 인도를 따라간다.
07 ; 18. 냉천정류소. 삼천포화력. 신수도와 뒤로 사량도를 보며 간다.
07 : 36. 단항 삼거리. 단항마을 정류소. 창선. 삼천포대교. 한국의 아름다운 길 100선.
07 ; 39. 단항교를 건너가며 창선대교와 우측 아래로 남해수협위판장과 회센터를 보며 간다.
07 ; 48. 창선대교. 창선 연육교 치안센터. 남파랑길 36코스. 남해 바래길 안내판.
남해도 , 창선도를 다 돌았다. 창선대교를 건너가며 신수도와 사량도. 창선도. 남해도를 돌아본다.
07 : 53. 늑도. 좌측으로 하동 금오산과 신섬, 우측으론 신수도와 사량도를 바라본다.
08 ; 03. 사천 이순신 바닷길 4코스 실안 노을길 안내판 늑도 입구. 이길은 늑도에서 시작된다.
08 ; 06. 늑도대교. 길이 340m에 폭 14.5m로 1994.12~2003. 5 준공됐다. 늑도와 초양도, 각산을 보며 간다.
08 ; 16. 초양도 휴게소. 길 건너편 사천 바다 케이블카와 아라마루 아쿠아리움으로 가는 육교와 데크 통로가 있다.
08 : 26. 초양대교를 건너가며 삼천포화력. 신수도. 사량도와 굽이굽이 돌아온 창선도를 바라본다.
08 : 34. 모개섬. 초양대교에 이어 삼천포대교가 연이어 이어지고 교각만 모개섬에 박혔다.
08 : 44. 삼천포 시내와 각산을 보며 삼천포대교를 건너왔다.
삼천포대교는 길이 776m에 폭 14.5m로 1994.12~2003. 5 준공됐다.
08 : 50. 삼천포대교를 다 건너갔다. 14일에 걸친 남해. 창선도 해안길을 끝내고
남해안 길 20(사천 대방진굴항-대포항)을 이어가기 위해 우측 대방진굴항으로 간다.
06 : 10. 경남은행 정류소에서 지족 가는 25번 버스 탐(\1450x2).
06 :31. 당항 하차. 율도리로 가는 1024번 지방도 밑에 똑같은 모양의 집들을 올려다 보고 바닷가로 내려갔다.
당항 하차. 율도리로 가는 1024번 지방도 밑에 똑같은 모양의 집들을 올려다 보고
바닷가로 내려갔다.
당항마을.
당항마을.
요즘 한창 마늘 수확철이다.
06 : 43. 당항포구. 동대만 건너로 어제 쉬어온 느티나무쉼터부터 천야도와 지나온 길을 돌아보고 갯가를 돌아간다.
어제 쉬어온 느티나무쉼터.
천야도와 지나온 길을 돌아보고
갯가를 돌아간다.
갯가를 돌아간다.
06 : 50. 다시 3번 국도로 올라와 소공원 벤취가 있는 곳에서 도로 따라간다.
07 ; 00. 길우측엔 냉천 어촌체험장. 길 건너편은 리베라 펜션. 삼천포화력발전소가 멀리 보인다.
삼천포화력발전소.
낮달맞이꽃
07 : 09. 도로와 분리된 인도를 따라간다.
냉천교회.
07 ; 18. 냉천정류소. 삼천포화력. 신수도와 뒤로 사량도를 보며 간다.
냉천정류소.
신수도. 사량도와 삼천포화력.
당항마을 표지석.
냉천포구와 신수도.
펜션촌을 지나고
신수도
삼천포항.
창선대교와 미륵도. 뒤로 각산.
07 : 36. 단항 삼거리. 단항마을 정류소. 창선. 삼천포대교. 한국의 아름다운 길 100선.
한국의 아름다운 길 100선.
07 ; 39. 단항교를 건너가며 창선대교와 우측 아래로 남해수협위판장과 회센터를 보며 간다.
단항교와 창선대교.우측은 배모양의 회쎈터 건물.
단항교에서 좌측으로 본 첫구간에 지나간 라피소호텔(우)와 삼거리(좌).
우측 포구 뒤로 신수도와 창선도 언포마을 끝자락.
07 ; 48. 창선대교. 창선 연육교 치안센터. 남파랑길 36코스. 남해 바래길 안내판.
남해도 , 창선도를 다 돌았다. 창선대교를 건너가며 신수도와 사량도. 창선도. 남해도를 돌아본다.
창선대교.
창선 연육교 치안센터. 남파랑길 36코스. 남해 바래길 안내판.
남해도. 창선도 첫구간을 시작점. 남해 바래길 안내판.
창선대교.
창선대교.에서 본 회쎈터와 창선도와 뒤로 남해 금산.
07 : 53. 늑도. 좌측으로 하동 금오산과 신섬, 우측으론 신수도와 사량도를 바라본다.
신수도와 뒤로 사량도.
하동 금오산(우)-연대봉능선(좌).
신섬.
08 ; 03. 사천 이순신 바닷길 4코스 실안 노을길 안내판 늑도 입구. 이길은 늑도에서 시작된다.
늑도.
늑도와 마도. 산분령.
08 ; 06. 늑도대교. 길이 340m에 폭 14.5m로 1994.12~2003. 5 준공됐다. 늑도와 초양도, 각산을 보며 간다.
늑도대교.
뒤 돌아 본 늑도와 마도. 딱섬저도.
늑도에서 본 초양도의 사천바다케이블카와 뒤로 각산.
초양도의 사천바다케이블카.
초양도의 사천바다케이블카와 초양도휴게소.
늑도대교 북단.
08 ; 16. 초양도 휴게소. 길 건너편 사천 바다 케이블카와 아라마루 아쿠아리움으로 가는 육교와 데크 통로가 있다
사천바다케이블카로 가는 육교.
초양도 휴게소.
아라마루 아쿠아리움으로 가는 데크 통로.
08 : 26. 초양대교를 건너가며 삼천포화력. 신수도. 사량도와 굽이굽이 돌아온 창선도를 바라본다
초양대교.
초양대교.
뒤 돌아 본 초량도와 뒤로 창선도.
뒤 돌아 본 창선도 가인리 언포쪽.
신수도. 뒤로 사량도.
삼천포화력.
다시 뒤돌아 보고
다시 뒤돌아 보고
다시 뒤돌아 보고.
08 : 34. 모개섬. 초양대교에 이어 삼천포대교가 연이어 이어지고 교각만 모개섬에 박혔다.
삼천포대교.
삼천포항.
사천 바다 케이블카(좌)와 뒤로 각산.
08 : 44. 삼천포 시내와 각산을 보며 삼천포대교를 건너왔다.
삼천포대교는 길이 776m에 폭 14.5m로 1994.12~2003. 5 준공됐다.
사천대방진굴항(앞)과 삼천포항여객터미널(중)
신수도.
08 : 50. 삼천포대교를 다 건너갔다. 14일에 걸친 남해. 창선도 해안길을 끝내고
남해안 길 20(사천 대방진굴항-대포항)을 이어가기 위해 우측 대방진굴항으로 간다.
08 ; 54. 대방마을회관. 동서동 제3투표소. 오늘이 전국 동시 지방선거일이다. 우리는 사전투표를 하고 왔다.
08 : 58/09 : 31. 대방진굴항. 남파랑길 34코스 이정표. 왜구의 침략을 막기 위해 인공으로 축조한 병영지.
掘港을 한 바퀴 돌아 쉼터에서 창선도와 신수도 삼천포대교를 보며 쉬어간다.
대방진굴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