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광 고 주 체 |
직접광고 객체 |
간접광고 객체 |
매 체 |
시 기 |
지 역 |
정 부 광 고 |
상 품 광 고 |
소 비 자 광 고 |
신 문 광 고 |
설날 광고 |
전 국 광 고 |
메이커 광고 |
기 업 광 고 |
산 업 광 고 |
잡 지 광 고 |
추석 광고 |
지 역 광 고 |
소 매 광 고 |
구 인 광 고 |
유 통 광 고 |
TV 광 고 |
|
지 방 광 고 |
|
의 견 광 고 |
|
라디오 광고 |
|
|
|
사 죄 광 고 |
|
DM |
|
|
|
|
|
옥 외 광 고 |
|
|
<플로 차트>
광고표현 카피테스트
광고목표 광고예산 광고실시 광고효과측정
매체선택 매체평가
89. ad. coverage
광고매체의 도달지역, 또는 광고에 접촉하는 세대수, 인원수, 전파매체에서는 각국의 service area (청취, 시청가능지역), 인쇄매체에서는 발행부수이다.
90. 광고캠페인
광고목표를 세우고 일정기간, 계획적으로 행하는 광고활동. 집약적으로 행하는 것이기 때문에 명확한 테마와 주도 면밀한 계획이 필요하다.
91. 광고계획 ad. planning
광고활동의 실시에 맞추어 계획되는 광고목적, 광고목표, 광고전략의 총합.
기업이미지의 확립을 위해 광고계획처럼 3년 이상 걸친 장기 광고계획 에서부터, 포장 상품 판매를 위한 광고계획 처럼 3개월 정도의 단기 계획까지 있다. 1회 뿐인 인재모집 광고도 광고계획은 필요하지만 보통은 상당한 기간에 걸친다.
92. 광고 원고 (ad. copy)
인쇄매체에서는 모든 원고 (지정된 카피 원고, 일러스트레이션, 마크, 로고타입 등)이 바로 제판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원고로 빠진 것 없이 모두 갖추어진 원고. 전파매체에서는 필름 또는 테입을 말한다.
93. 광고정책(ad.policy)
광고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방침. 광고를 실시한 프로그램을 작성하기 위한 기본적인 원칙을 말하고, 광고예산, 광고매체, 광고표현, 효과측정 등의 방침을 규제하는 사고방식
94. 광고전술 (ad. tactics)
단기적, 부분적인 광고계획을 수행하는 기술, 광고전술의 담당자는 middle management, 광고대행사이다.
95. 광고전략 (ad. strategy)
장기적, 포괄적인 광고계획을 수행하기 위한 경영적 기술. 이익계획, 매상계획. 마케팅 계획 중에서 어떻게 광고를 전개해가는 가의 top management 의 사고방식과 수행 프로그램
96. 광고대행사 (ad. agency)
광고주의 광고업무의 일부를 대행하는 기관. 광고주의 지시에 따라 광고의 제작. 매체의 구입을 하는 것이 일반 통상의 업무이지만 상황에 따라서 광고주의 광고계획을 세우고 내보낼 광고의 효과를 받아들이는 작업도 한다.
광고대행사의 탄생은 1612년 파리 콕 돌社에서 시작됐다. 일본에서는 1873 년 둥경에 있는 내외 어용상인 회사가 기록에 남아 있는 최초의 광고대행사이다. 이 회사는 광고전문은 아니었다. 광고 전문업으로는 1879년의 空會堂이다.
광고대행사의 발달사는 세개의 시기로 나뉘어 진다. 1612~1914, ABC의 탄생까지는 오로지 매체측의 space broker 였다. 1914~1960, ABC가 제품 공통이 테마를 얻을 수 있게되자 매체를 파는 것은 데이타에 의해 대행되고, 오로지 제작이나 기획을 만드는 것에 중심을 두고, 광고주에게 서비스 하는 것이 됬다. 그 때문에 경합(競合)광고주 또는 경합광고상품은 취급하지 않는다. 1업종 1사제, 1업종 1상품제도 이행됬다. 1960년, 맥켄 에릭슨사의 마리언 하퍼 사장은 마케팅 에이젼시의 구상을 발표했다. 광고에만 그치는 것이 아니라 광고주의 마케팅 활동까지 넣어야 한다는 사고방식이다. 1970년대에는 소비자 운동에 대응하는 광고도 다루어 지고, 마케팅 보다 넓은 분야에도 서비스 하지 않을 수 없게 되었다.
97. 광고단위(ad. unit)
① 2개 이상으로 분할할 수 없는 하나의 광고물. 예를 들어 신문에서는 記事下 전 3단 이라든 가 TV 에서는 5초 spot, 또는 5분, 30분의 프로그램 제공 등
② 광고의 marginal 증가분
98. 광고주 (advertiser)
광고활동의 주체. 개인에서부터 법인까지 있지만, 기업을 가리키는 것이 많다. 광고주는 대행사 측면에서 보면 client 이고, prospect 이다. 또, TV, 라디오의 프로그램 제공자의 측면에서 보면 sponsor 이다.
99. 광고의 머천다이징 (merchandising of ad)
① 광고활동을 원활하게 수행하기 위해서 광고계획을 자사의 top에서 부터 유통, 판매 부문이나 종업원에게 주지시키는 것.
② 광고물을 재차 주요 고객에게 제시할 수 있도록 가공하는 것. 신문광고를 액자에 넣어 메이커 접수처나 소매점두에 장식하는 것 등이 그 예이다.
100. 광고매체
광고 메시지를 대상(소비자)에게 전하는 수단. 광고라는 정보의 탈것이라고 해석된다. 매스 미디어와 미니 미디어로 나뉜다. 매스 미디어로서는 신문, 잡지, TV, 라디오. 미니 미디어로는 옥외광고, 교통광고, DM, 접지광고, POP, 영화, 슬라이드, house organ, 노벨티, 찌라시 등이 있다. 역사적으로는 간판(옥외광고), 찌라시가 가장 오래 되었고, TV 가 가장 새로운 매체라고 할 수 있다.
101. 광고노출 ad. exposure
광고 메시지를 본다든지, 듣는 다든지 할 수 있는 가능성
102. 공칭부수(公稱部數) uncertified circulation
ABC 의 인정부수와는 관계없이 매체사가 공표 하는 부수
103. 공정거래 위원회 fare trade commission
독점 금지법이나 부당 경품류 및 부당 표시 방지법등의 운용에 해당하는 행정위원회. 약칭 공거래위. 행정상에서는 총리부의 外局에서 위원회는 위원장과 내각 총리 대신이 중참(衆參)위원의 동의를 얻어 임명하는 4명의 위원으로 구성된다.
104. 교통광고
교통 기관이 관리하는 차량, 역, 용지(用地)에 게재하는 광고의 총칭. 차량에 부착하는 것으로는 전철 등의 천정 가운데에 매달린것. 액면, 손잡이등. 역에서는 벽에 붙은 포스터, 역 광고판, 역명 표시판, 벤치, 휴지통 등. 용지 내에서는 건식(建植) 광고판 등 다양한 종류가 있다. 교통광고의 광고요금은 역의 타고 내리는 승객에 의해 결정된다.
105. 광보(廣報)
조직체(기업, 단체)의 고지 활동, PR의 번역어로서 사용하고 있다. 광고를 포함하지 않는 고지 활동을 가리키는 것도 있다. 홍보라고도 쓴다. 관공서의 공보(公報)라고 쓴다.
106. 소매 광고 retail ad
소매 업자가 행하는 광고. 미국에서 소매 광고는 메이커 광고와는 달리 신문사에서 직접 취급하는 것으로 저렴한 요금율이 적용된다.
107. 국제광고 international ad
국내의 기업이 외국용으로 하는 광고. 상대국의 마케팅 사정 뿐 아니라 풍속, 습관도 숙지 하는 것이 필요. 예를 들어 일본에서는 “업계 NO 1의 기업규모”라고 표현해도 신뢰성을 높일 수 있지만, 구미에서는 오히려 반발을 얻는다. 색체의 선호도 국가에 따라 다르다.
108. 국제광고대행사 international ad agency
국제광고를 주로 취급하는 광고대행사.
109. 국제매체 international media
2개국 이상의 나라에서 배포 되는 매체. 국내에서 이용할 수 있는 국제 매체에는 잡지로는 <time>, <news week>, <던즈 리뷰>, 신문상으로는 <Japan Economic Journal>, <주간 Japan Times> 등이 있다. 일본 단파 방송은 동남 아시아, 미국 서해안 등에도 도달하지만 국내를 주력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국제 매체라고는 하지 않는다.
110. Cost Per Mail (CPM)
매체간의 가치비교에 가장 자주 이용된다. 매체를 여러번 사용할 때는 gross CPM 또는 net CPM 이 사용된다. 천명당 이라 하지 않고, 천부당으로 계산하는 것도 있다.
111. coding
부호화하는 것. 기호화하는 것의 의미로 광고주의 아이디어를 제작부문에서 구체적으로 카피, 일러스트레이션, 또는 소리에 심볼화 하는 것.
112. copy
모사(模寫), 베낌, 원고의 의미. 광고에서는 광고문장을 말함. 인쇄매체에 있어서 캐치 프레이즈, 바디 카피, 리드 등으로 라디오, TV CM 코멘트 원고 등을 포함하고 있다. 또 원고의 의미가 있으므로 광고 원고를 말하기도 한다.
113. copy strategy
카피에 관한 광고전략. 어떤 컨셉을 채용할까. 채용한 컨셉을 어떤 광고테마에 연결시킬 것인가. 이 광고 테마를 어떻게 디자인할까 등이 전략의 요점이 된다.
114. 카피 테스트
인쇄, 전파매체의 광고 또는 CM 에 대한 테스트. 여러 종류의 광고를 작성해서 좋고 나쁨을 결정하는 출고(방송)전에 하는 테스트와 효과를 측정하기 위해 게재(방송)후에 하는 테스트가 있다. 전자에는 쥬리 테스트, eye camera 법, 텍시스트 스코프 등 후자에는 인지법, 리더쉽 서베이, 열쇠부(付) 광고 등이 있다.
115. copy format
한 회사의 광고물 또는 광고캠페인 시리즈 광고등. 카피부분의 표현법에 대해서의 기준을 결정하는 틀. 전체의 통일감을 갖는 것에 유용하게 ,쓴다.
116. 카피 라이터
광고 카피를 쓰는 사람. 광고제작에 일러스트레이터, 디자이너와 함께 협력해서 카피부문을 담당하고, 또 아이디어를 내는 일도 많다. TV, 라디오의 코멘트를 쓰는 일도 카피라이터의 일이지만, 이것은 특히 CM 라이터 라고 하는 경우도 있다.
117. corporate identity (C.I)
특정의 기업을 인지시키는 것. 이른바 기업의 신분증명서이다. 기업 이미지의 표현을 명확히 하기 위해 기업의 건축물, 운송기관, 광고 그 밖에 편지, 봉투류 까지 일반 감각기관에 접촉되는 것을 어떤 색채 또는 형태에 의해 통일성을 갖게 하는것. symbol mark, logotype, corporate color, corporate voice 등에 의한 것이 많다.
118. commercial song
TV, 라디오의 커며셜에 삽입되는 시가(음악, 노래), 줄여서 CM song 이라 한다. 회사명, 상품명, 슬로건 등을 리듬에 실려 기억시키기 쉽게 하고, 인상지우려고 하는 것. 1921년 시즈오카 철도의 CM song 이 제 1 호라고 한다.
119. 커미션 제도
매체사로부터 광고대행사에 지불되는 수수료에 대한 제도. 일명 대행사 수수료 제도
광고대행사의 경영이 광고 취급 수수료에 주체가 있는것. 이것도 매체측으로 부터 대행사에 지불되는 것이다. 신문 15%, 잡지 20%, 라디오 와 TV 15%~20%, 옥외광고 15%의 수수료가 기준으로 되어 있다.
120. communication spectra
communication 의 관계. 미지(unawareness) → 지각(awareness) → 이해(comprehension) → 확신(conviction) → 행동(action) 의 단계로 된다.
광고 커뮤니케이션에 있어서는 광고에 접촉하지 않은 미지의 단계에서 부터, 광고에 의해 상품명이나 회사명을 아는 지각(인지)의 단계, 그것이 이해되는 단계, 거기서 확신의 단계에 이르고, 구매라는 행동의 단계로 옮겨지게 된다. AIDA 법칙 이후의 경험법칙에서 일부에 비판자도 있다.
121. communication task
일정의 기간에 일정의 오디언스를 대상으로 해서 행해지는 커뮤니케이션 목표. 보통은 광고목표와 똑같은 의미로 사용된다.
122. communication process
정보전달의 과정. 정보는 발신자가 sign 으로서 형태를 조절하고 단수 또는 복수의 채널을 통해서 보내며 그것을 받는 사람도 감각기관으로 감지하고 대뇌에서 해독해서 끝난다. 이 과정을 communication process 라 한다.
123. 커뮤니케이션 목표
커뮤니케이션 스펙트라(spectra) 로 표현한 프로모션 목표 또는 광고 목표. 모든 프로모션 활동(광고, SP, sales)은 궁극적으로 커뮤니케이션 활동을 행하고 있다. 그래서 커뮤니케이션 목표로서 인지율, 이해율, 확신율, 행동율 등을 숫자로 나타내고, 또한 시장, 기간 등의 제한을 정해두면 좋다.
124. 커뮤니케이션 모델
정보의 전달자가 내보내는 정보를, 수신자가 어떻게 받아들여 가는 가의 흐름을 표현한 모델.
월버 슈람의 모델은 다음 그림과 같다.
<커뮤니케이션 모델>
정보원 → 기호화 → 시그널 → 해독 → 대상
경험영역 경험영역 |
125. 커뮤니케이터
정보의 송신자
126. 코멘트
TV, 라디오 CM의 설명문, 광고상품 또는 서비스 또는 기업의 설명적인 부분
127. 컨셉(concept)
개념. 광고에서는 그 광고가 가진 의미를 말한다. 상품 또는 서비스의 편리나 특성을 현대 사회의 흐름에서 새로운 각도로 받아들이는 것. 또는 새롭게 편리나 특성을 발견하고, 그것을 광고의 주장으로 하는 것.
128. continuty
영화 시나리오, TV의 방송작가가 쓴 대본(스크립트)에서, 거기에 상세하게 배우의 움직임, 카메라 앵글, 음악, 음향효과 까지 쓴 대본. 스토리보드 용지와 같은 곳에 쓰여지는 것도 그림 콘티라고 한다. 생방송 CM 이나 커머셜 필름 제작에도 이용한다.
129. 재게재 (repeat)
광고주, 광고대행사, 매체사 중 어딘가의 실수로, 다시한번 게재하는 것.
130. psychograph
심리학적 특성. 시장세분화의 한 방법
131. circulation
광고매체의 도달범위로, 매체가치의 평가에 이용한다. 각 매체별의 circulation 측정은 다음과 같다. 신문, 잡지에는 발행부수 또는 판매부수. TV, 라디오의 소유세대수, 라디오 세트 보유수, 도는 어떤 전파가 항상 시청, 청취되는 TV, 라디오의 소유 세대수. 옥외 광고에서는 거기에 접촉한다고 생각되는 교통량. 교통광고에서는 역이나 공항의 승차인수, 극장광고에서는 영화관의 입장객수이다.
132. sustaining program
자주(自主) 프로그램. 상업방송국이 자주적으로 제작비를 부담해서 방송하는 프로그램. 간략하게 sus.pro → 스폰서드 프로그램 : 스폰서가 제공하는 TV, 라디오 프로그램. 간략하게 스폰서드 프로 또는 제공 프로그램이라고도 한다. 이것에 대해 방송국이 자주적으로 제작하는 프로그램을 sustaining pro. 라고 한다.
133. 잡지광고
잡지를 매체로 하는 광고. 잡지는 신문이외의 정기간행물을 가리킨다. 원래 잡다한 것을 기재한 서적을 가리키는 말이었다. 주간지, 격주간지, 월간지, 격월간지, 계간지 등이 있다.
1869년 <중외신문>(신문으로 칭해져 있지만 잡지형식)에 최초의 잡지광고가 게재. 현재, 일본에서 1500점 정도의 잡지가 간행되어 있지만, 요즘 66지에 대해서 집계된 광고량은 478억엔(1972), 최근 10년간 전체 광고비중에서 5~6 % 비율로 추이되고 있다. 미국에서는 6.8%로 이용도가 높다. 신문이 지방매체, 잡지가 전국매체라고 확실히 나뉘어져 있기 때문이다.
잡지광고의 특성은 ①대상이 확실하다 ②칼라소구가 가능하다 등이다. 대상의 커버율을 올리기 위해서 판매가격을 대폭 싸게 하든지 또는 무료로 한 잡지매체가 있다. 컨트롤 미디어라고 칭하고 있다.
134. 서비스 광고
서비스업(운송업, 오락업, 호텔, 은행, 수리업 등)이 행하는 광고. 또는 상품판매에 관련한 서비스(클럽활동, 상품의 배달제도, 백화점의 무료 모임 등)의 광고
135. 서브 타이틀(sub title)
부제. 주제의 옆에 붙는 보조적인 어구. 광고카피에서는 헤드라인 옆에 붙는 어구(서브 헤드)
136. 삼행광고(三行廣告) classified ad
신문의 안내광고의 총칭. 전쟁전에는 3행으로 사용되는 것이 많았기 때문에 따온 말. 안내광고라고도 한다.
137. 산업광고
비지니스 시장을 대상으로 한 상품 및 기업광고. 대상이 비지니스 시장이므로 상품 그 자체의 분류는 하지 않는다. 같은 상품(예를 들어 타자기)라도 비지니스용이면 산업광고, 소비자광고가 되는 것이 있다. 하지만 제강, 생산재, 자본재가 포함된다. 비지니스 시장의 구매태도는 이성적, 계속적이고 또한 다수의 사람들이 구매에 관여한다.
산업광고의 주력은 인쇄매체 외에도 비지니스 시장을 커버하는 경제지, 업계지이다. 미국에서는 산업 광고 매체만을 대상으로 한 공사기관 BPA(business publication beurou)가 있지만, 일본에는 없다. 1969년 산업광고 협회가 생겼다.
138. 샘플링 조사
표본조사. 전체의 조사대상에서 표본으로서 일부를 뽑아내어 이것을 조사하는 것에 의해 전체를 추정하려는 조사법. 샘플을 추출하는 방법에는 무작위 추출법, 유의(有意)추출법, 임의(任意)추출법, 할당법 등이 있다. 무작위 추출법에 의하면 확률적으로 전체를 추정할 수 있다. 광고에 관한 field survey 는 거의 이 방법을 취하고 있다.
139. GRP
연 시청률. gross raiting point
140. 시음식회(시음시식회)
백화점, 슈퍼마켓, 식료품점 등에서 음료품, 식료품 등을 소비자에게 시음식 시키는 것. 동시에 판매하는 것이 많다. 신제품의 발매나 점두점거율의 확대를 꾀하기 위해서 행해진다. 상품에 대한 이해를 감지하기 위한 방법으로 소비지의 의견을 청취하는 담당자가 필요하다.
141. CATV
유선방송. 최초에는 난시청 지역에 고성능 안테나를 설치하여 각 가정에 케이블을 분배하는 방식으로 발족. 대도시에서는 빌딩에 의한 난시청 지역에 케이블을 설치하고 이것을 해소하도록 사용되고 있다. 후에 자주 방송 프로그램이나 CM 을 보낸 업무를 행하는 것으로 제 2 세대를 맞았다. CATV 를 이용해 각종의 지역적 정보 전달의 방법이 계획되고, 제 3 세대를 맞이하고 있다. 케이블을 이용하면 공중파로는 몇개 밖에 취할수 없는 채널이 몇십개를 취할 수 있고(멀티 채널방식), 또는 수신자측에서도 정보를 보내는 것도 가능(쌍방향 통신)하게 되어 정보화 사회의 기수가 되고 있다. 미국에서는 1946년 오레곤 주 아스토리아 시에서, 일본에서는 1963년에 최초로 시청되었다. (CCTV)
142. CF
commercial film. CF 또는 FC 로 말한다. 모든 영상 기술을 구사할 수 있고, 몇개라도 프린트 할 수 있기 때문에 오늘날 커머셜의 거의 대부분을 이루고 있다.
143. CM commercial message
줄여서 CM, 간단히 커머셜이라고 한다. 민간 TV, 라디오 방송중에서 행해지는 광고의 총칭
144. CM image 지수
오디언스 스러리스 社가 개발한 CM의 사전 테스트법의 하나. 테스트 CM을 스크린으로 보여준 후 1개의 선택된 형용사의 리스트를 보여주고, 테스트 CM의 인상을 그중에서 선택하게 해 그 평균을 지수로 하는 방법
145. CM director
CM의 연출자. commercial director 이라고도 한다. commercial film 의 제작업자.
TV 국에서는 생방송 CM을 제작하는 director가 있다. 기업의 광고부와 일정한 연계를 취하고, 스스로 idea를 낸다든지 하는 일을 한다.
146. 자가매체 house media
광고주 자신의 비용으로 제작하는 매체. 찌라시 house organ, DM 등. 일본에서는 자가매체 광고비의 데이터를 산업연관표에서 얻을 수 있지만 매스컴, 4대매체와 똑같은 액수로 추정되고 있다.
147. sample test
실물견본을 무료로 제공하고, 그 사용의 결과를 듣는 테스트법. 메이커명이나 상품명을 알리지 않고 테스트 하는 것도 있다.
148. 자극반응 이론 stimulus-response theory
행동은 자극의 함수라고 하는 이론. 인간을 생리학적으로 조사해 보면 자극 량이 초래하는 인간의 반응은 일정의 매체변수를 통해서 변한다고 말할 수 있다. 하우드는 마케팅에 이 이론을 응용하고 있다.
149. CCTV closed circuit TV
폐회로 TV. TV 방송을 무선이 아니라 유선으로 수상기와 연결하는 방식. 보통 상업 방송을 재송신할 수도 있고, video package 이용도 가능. 공장, 호텔, 학교 등에 설치된다. → CATV
150. 시장 세분화 market segmentation
구매 대상을 여러 가지 각도에서 자세하게 분류해서 집중한 판매 전술을 취하려는 것. 세분화의 기준은 인구학적(데모 그래픽), 지역적, 경제적, 사회적, 심리적, 사회 심리적, 문화 인류 학적, 인종적 등이 있다. 어떻게 세분화하는 것이 유리할까를 미리 결정하기 위해 AID (automatic interaction direction)라는 방법이 발명되고, 시장 조사후 대상을 상품의 사용 상황에 따라 분류도 가능하다.
151. 시장조사 market research
① 상품이 메이커에서 소비자의 손에 전해지기까지의 모든 문제의 실태 조사. 이를 위해 외부, 내부 자료를 수집, 기록, 분석하는 것. 마케팅 활동을 행하는데 맞추어 다양한 스텝에 대한 매니저의 의사 결정에 유용하게 쓰기 위해서 행한다.
② 시장의 정태적(靜態的)인 실태조사
152. 시장분석 market analysis
시장조사의 모든 자료에 의해 시장 크기의 신축성이나 시장 특성을 판정하는 것.
153. 시장 표적 marketing target
마케팅 활동을 하는 대상. 시장 세분화의 사고방식에서부터 기업에 따라, 상품에 따라 그 표적을 명확하게 해 두는 것이 필요하다.
154. sizzle ad.
sizzle 이라는 것은 쇠고기 등을 구울 때 지글지글하는 소리. 술을 따르는 쪼르륵 쪼르륵 하는 소리 등을 형용한 말. 관능을 자극해 욕구를 일으키게 하는 수법을 취하는 광고.
155. 事前 廣告 tease ad.
신제품의 발매나 개점, 개업 등의 광고에 앞서서 하는 예고적 광고. 당일에 신 발매, 신규 개점을 광고하는 것으로는 당일에 부족하기 때문에 당일 광고에 소비자의 관심이 집중되도록 계획적으로 실시된다. 참고)事後 廣告
156. 시청률 조사 rating research
어떤 시간에 하는 프로그램이나 CM을 시청하는 개인 또는 세대수의 조사. 수상기 소유 세대를 모집단으로 하여 샘플링 조사에 의해서 행한다. 전화에 의해 인터뷰하는 전화 조사, 조사표에 매일 기입하게 하는 일기식 조사. audio meter, video meter 등에 의한 기계 조사 등이 있다.
157. 시청률 meter 조사법 (audience meter research)
TV 수상기에 자동적으로 시청 상황을 기록하는 기계를 설치해 시청률 조사를 하는 방법. 대표적인 것으로 video research 社의 video meter, 닉슨 사의 audio meter 가 있다. 시청한 채널과 시간을 분단위로 기록해 가는 것으로 보통 1 주일마다 회수해 집계된다.
158. 질문지법
조사를 위한 목적 데이타를 얻는 데에 질문지에 의해 행하는 방법. 형식으로서는 yes나 no중 어느 쪽인가를 회답하게 하는 것, 몇 개인가의 질문지 선택적으로 대답하게 하는 것, 자유롭게 대답하게 하는 것 등이 있다. 어느 쪽으로나 질문의 내용이 정확히 정보를 받아들일 수 있는 것이 여야 하고, 조사원의 질에 관계없도록 배려하지 않으면 안된다.
159. synergy effect
마케팅 수단의 조합을 가장 유효하게 했을 때의 상승 효과. 시너지는 의학 용어로 약, 생체조직등의 상승 작용을 말한다.
160. 死亡 廣告 obituary
사망 또는 장례의 일정, 장소 등을 고지하는 광고. 검은 틀로 둘러싸여 있기 때문에 黑棉廣告라고도 한다. 스타일은 대체로 결정되어 있다. 임시 광고의 하나.
161. 車外廣告 outside display ad.
지하철, 버스 등의 차체의 측면 또는 전후에 설치된 광고 간판. 교통 광고의 하나. 통행인이나 차를 대상으로 하지만 특히 뒷부분의 간판은 뒤에 오는 차로부터의 주목률이 높다고 되어 있다.
참고)車內 廣告
162. 社外報 external publication house organ
社外用으로 발행되는 소위 PR 지. 사내지에 대응하는 말. 사외보는 딜러용, 고객용, 주주용, 지역사회용 등 소구 대상을 나누어 편집된 것이 바람직하지만, 실제로는 그 정도로 세분화해서 발행되고 있지 않다.
163. 謝罪 廣告
신문에, 특허권이나 저작권을 침해한 상대방에게 하는 사죄문, 사고를 일으킨 교통기관이 일반 시민에게 하는 사죄문 등의 광고 . 告知 廣告의 하나
164. 車內 廣告
교통기관(전철, 버스)의 차량 내부에 게시되는 광고. 교통 광고의 하나. 중간에 매달린 광고. 액면 광고가 주이지만, 그밖에 출입구 위에 틀에 들어 있는 광고, 손잡이 광고 등이 있다.
165. jumble display
아무렇게나 던져 놓은 진열. 백화점이나 슈퍼의 한구석에 놓고, 상품을 아무렇게나 너저분하게 넣은 진열법 또는 그 기구.
166. 집단 토의법
어떤 대상, 예를 들어 기업, 상품 또는 광고 등을 문제삼아 5명 내지 10명이 모여서 각각의 입장에서 대상 기업에 대한 감상이나 분석을 서로 발표함으로써 기업, 종합적 이미지를 부각시키게 하는 방법
167. 중복 도달율 duplicated research
몇개사의 매체를 동시에 사용할 때, 중복해서 접촉한 오디언스의 비율
168. 출고 계획 media schedule
광고매체에 광고를 게재하는 것에 맞추어 광고 목표에 기초해서, 기간을 정한다든지 매체를 선택해서 구체적으로 자세하게 세워진 계획
169. 肖像權 portrait right
초상 사진의 저작권으로 신 저작권법에서는 촬영 자에게 저작권이 있는 것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초상 사진의 당사자로부터 받은 사진이라도 복제에 있어서는 촬영자(저작권자)의 허락이 필요하다.
170. 정서 소구(情緖 訴求) emotional appeal
광고에서는 감성 소구와 거의 같은 의미로 사용된다. 이성소구에 응하는 말.
171. 소비재 광고(消費財 廣告) consumer product ad
가정에서 직접 소비되는 상품의 광고. 상품을 type 별로 분류한 광고 형태의 하나. 생산재 광고에 대응하는 말.
172. 소비자 광고(消費者 廣告) consumer ad
가정에서 소비하는 상품의 고객, 또는 예상 고객에 대한 광고. 산업 광고, 유통 광고, 전문 광고에 대응하는 말.
173. 상표 trade mark
상표법에서는 <문자, 도형, 또는 그런 것들의 결합 또는 그런 것과 색채와의 결합(포장이라고 한다) >이고, 業으로서 상품을 생산하고, 가공해 증명하고, 또는 양도하는 것이지만 그 상품에 대해서 사용하는 것을 말한다. 식별 표시의 하나로, 무채 재산권을 인정할 수 있다. 참고) 등록상표
174. show room
자사 제품을 전시하고, 試用, 실연, 즉매해서 PR 하기 위해서 설치된 장소. 일시적으로 백화점등을 빌려서 하는 장소와 恒久的인 것이 있다.
175. serise of ad
하나의 테마로 여러 번에 걸쳐서 하는 광고. 잡지 광고에서는 시리즈 적인 형태를 취하는 것이 많다.
176. ceiling display
천장에서 매달려 있는 형식의 디스플레이. 점내 장식을 위한 것이나 소형 광고판 같은 것도 있다. hanger display 라고도 한다.
177. jingle
commercial song 이라고도 하지만 본래는 짧게 連呼하려는 듯한 상태의 것을 말한다.
178. 심층 면접법. depth interview
개인 면접에 의해 표면에 나타나지 않은 소비자 심리를 탐지하려고 하는 조사 방법. 동기 조사 방법의 하나. 자유 연상법, 투영법 등의 방법을 사용하는 것으로 숙련된 면접 기술과 분석력이 요구된다.
179. 인적 미디어 personal media
판매 촉진을 위해 활동하는 사람들을 매체라고 하는 말. consultant, salesman, 마네킹, demonstrater 등의 총칭.
180. 심볼 마크
어떤 메이커의 모든 상품을 表徵 한다든지, 어떤 캠페인을 表徵하는 마크
181. 추천적 광고(推薦的 廣告)
추천자에게 상품에 대해 말하게 하고, 간접적으로 신뢰도를 높이려고 하는 광고. 추천자의 지명도에 의존한다든지, 가까운 사람들이라는 친근감을 갖게 한다든지, 매회 사람을 바꾸어 저 사람이라는 mass 적 효과를 의도하는 것 등. 추천자는 다양하게 생각할 수 있다.
182. stylist
탤런트나, 패션 모델의 복장, 머리형, 화장법 등을 설정해 지시하는 사람. 시대 고정이나 현대 풍속에 정통한 감각이 요구된다. 새로운 직업으로서 일본에도 정착하고 있다.
183. still animation
스틸 사진(보통 사진)을 사용해 촬영, 편집 기술에 의해 움직임을 주는 애니메이션, 기억한 효과를 내는 방법. CM 에 주로 사용된다.
184. station ad
라디오, TV의 방송국이 하는 자국의 광고. 주로 자국의 프로그램을 소개하는 광고가 많다. 국(局)과 스폰서의 tied up 광고도 있다.
185. station break
라디오, TV 방송의 프로그램의 바뀔 때를 말하고, 국명고지(局名告知)와 commercial 에 사용되는 시간, stable 라고 약칭한다.
186. sticker
셀로판 등에 인쇄된, show window 나 show case 또는 전철이나 버스 문이나 창에 붙인 인쇄물.
187. store sign
가게를 표시하는 간판. 옥외 광고의 하나
188. story board
TV CM 의 흐름을 몇 개의 장면의 스케치를 판넬에 그린 것. 스폰서의 presentation 이나 제작 전의 검토용으로 제작된다.
189. split-run ad
다른 내용을 서로 바꿔 인쇄한 신문광고. 한번의 인쇄로 다른 내용의 광고가 일부 인쇄되도록 輪轉機의 판을 고안해 준다. 고가의 광고 내용의 효과를 비교하는데 사용된다. 미국에서는 단지, 지역이나 대상자 각각에 대해서 나오게 하는 다른 광고를 나타내는 것도 있다.
190. space
신문, 잡지 광고면의 크기. 종 00 cm x 횡 00 cm 라든가, 신문에서는 3단 8개 분할, 반 5 단 등이다.
191. space broker
광고주의 의뢰에 의해 매체 사에서부터 신문, 잡지의 스페이스를 구입하고, 광고주의 광고를 게재하기까지 서비스를 제공하는 광고 대행사. 대행사 발행 전에도 광고대행사는 거의 space broker 였다.
192. spot CM
spot 이라고 줄여 말한다. TV 프로그램과 프로그램 사이에 방송한다.(60 초). station break spot , guide time 의 spot 등의 총칭. 프로그램 CM에 대응해서 말한다.
193. sponsor
전파매체의 광고주. 본래는 후원자의 의미로 전해서 프로그램 제공자 즉, 광고주이지만 그 밖의 매체 광고주의 의미에는 사용하지 않는다. 참고)advertiser → client
194.sponsored program
스폰서가 제공하는 TV, 라디오 프로그램. 줄여서 sponsored. pro 또는 제공 프로그램이라고 한다. 그에 대해 방송국이 자주적으로 제작하는 프로그램을 sustaining pro. 라고 한다.
195. slogan
표어. 광고에서는 기업의 주장이나 상품의 특징을 짧은 언어로 나타낸 것. 반복해서 사용하는 것이기 때문에 읽기 쉽고, 말하기 쉽고, 기억하기 쉽고, 리듬감이 있는 것이 좋다. 상품명을 넣어 지은 것과 그렇지 않은 것이 있다.
196. 제품 광고 product ad.
상품의 특징, 크기, 사용법, 가격 등을 구체적으로 서술해서 상품을 이해시키고, 구입 의욕을 일으키게 하기 위해서 하는 광고. 상품광고라고도 한다. 직접적 반응을 기대하는 광고로 상품의 프로 모션에는 간접적인 반응을 기대하는 기업광고에 대응하는 말.
197. 설득 광고
상품 또는 서비스에 대해서 설명하고 받는 사람의 이성에 호소하려는 방법의 광고. 인상광고에 대응하는 말.
198. selling point
상품 자체가 갖는 디자인, 특징, 기능 소재 등의 매력에 따라 소비자의 마음을 붙잡는 것. sales point 라고도 한다.
199. sales promotion agency
SP 의 기획, 실시를 광고주에 대행해서 행하는 회사. 하지만, 실제로는 판매촉진에 관한 모든 자료를 개발, 제작하고 서비스 면을 제공하는 회사이다. POP, DM, 견본배포, sales show , 소비자의 그룹화, 판매점 지도 등 많은 분야가 있다.
200. sales promotion ad
판매촉진을 위한 광고. 신문 잡지 광고나 TV, 라디오의 경우처럼 매스컴 매체에 하는 광고가 아니라 판매에 직결한 광고의 총칭. DM 이나 접지 광고, 지역이 한정된 옥외 광고, 영화 광고, 소매점의 점두에서 하는 POP 광고 등을 말한다. SP 광고라고도 줄여서 말한다.
201. 여론 public opinion
어떤 공적인 문제에 대해서 자유로운 토론, 선택의 결과에 따르는 그 집단 성원의 의견
202. 여론조사 opinion poll
국민의 의견이나 태도를 조사하는 것. 보통 random sampling 에 의해 대상자를 선택하고, 조사원이 질문지에 의해 면접해서 조사한다.
203. 선거 광고 election campaign ad
공직 선거에 기초해서 선거 운동 기간 중에 행해지는 후보자의 광고. 衆參양의원 등의 선거에 대해서는 선관위가 비용을 부담하나, 그 외에는 후보자 자신이 부담한다. 정당이 행하는 광고는 정당광고로 구별한다. 참고)신문광고 → 게재 승낙 통지서
204. 선호 test preference test
소비자의 기호를 비교에 의해 테스트하는 방법. 신제품의 개발, 기존 상품의 개량을 위해서 장래 구매자에 대해서 행하는 package, naming design, 품질 등을 결정한다.
205. 전국 광고
대상 시장이 일정 지역에 한정되지 않은 업종의 광고 또 유통 기구의 미정비, 판매망의 관계에서 광고의 노출 구역이 한정되는 것이 있다.
206. 전국 광고주
지역을 한정하지 않고, 전국적으로 광고하는 광고주. 전국 방송 광고주라면 national sponsor. 이에 대해 어떤 지역만을 대상으로 하는 광고주를 지역 광고주 (local advertiser)라고 한다.
207. 잠재 시장 potential market
표면에 나타나지 않지만 추정되는 시장. 참고) 混在市場
208. 선전 propaganda
다수의 사람들에게 정보를 흘려서 의도하는 방향으로 설득하는 것. 옛날에는 광고와 똑같은 의미로 사용되었지만 지금은 광고는 상업 선전에, 선전은 정치 선전을 가리키는 것이 많다. propaganda 는 원래 선교하는 것을 가리켰다.
209. 전면 광고 full page ad
신문 한 면 크기의 광고. 전 페이지 광고
210. 전문 광고 professional ad.
전문가(의사, 변호사, 건축가 등)를 대상으로 한 광고
211. 전문지 (專門誌) technical paper(magazine)
업계지(trade paper(magazine))이라고도 한다. 특정의 전문 분야 (의료, 약품, 화장품, 자동차 등)에 대해서의 정보를 그 업계에 보도하는 것. 광의로는 영문지, 경제지를 포함하는 것도 있다. 일반지에 대응하는 말.
212. 종합 광고 대행사 full-service (complete service) agency
광고에 드는 모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규모를 가진 광고 대행사. 광고주에 요구되는 광고 활동에 필요한 조사, 계획, 실시에서부터 모든 광고매체의 원고 제작, 매체 선택, 효과 측정 등을 일관해서 실시할 수 있는 광고 대행사.
213. tied-up ad
상승 광고. 2개 이상의 광고주가 각각의 상대의 이점을 고려해서 공동으로 실시하는 광고. 식품과 영화, 항공 회사와 화장품 회사와 같은 이업종(異業種)간의 것을 말한다.
214. directmail campaign
광고 목적을 한 번의 DM 으로 달성하려 하지 않고 시간을 두고 시기마다 발송하는 등 장기적으로 DM을 행하는 것.
215. DAGMAR (Defining Advertising Goal for Measured Advertising Result)
1959년, 미국 전국 광고주 협회는 어느 기업에 있어서 광고비는 증대하는 경향이 있으나 그 효과에 대해서 명확한 방법이 없기 때문에 광고 효과 측정에 관한 통일 기준을 만드는 작업을 추진할 것을 채택했다. 이 작업을 담당한 것이 경영 consultant 인 Colley.R.H 이다. 그는 광고주 협회가맹의 광고주 실태 조사를 실시하고, 거기에서 이 목표에 따른 광고 관리 방법을 이끌어 내고, 1961년 DAGMA 란 이름으로 발표했다. DAGMA 는 광고 관리 방법이지, 광고 효과 측정 기술은 아니다. 이 방식에 의하면 광고 효과 측정을 명확하게 할 수 있다는 것이다.
DAGMA 를 요약하면 ① 광고의 과제를 커뮤니케이션에 한정하는 것. ② 광고 목표를 광고를 하기 전에 설정할 것. 2 가지이다. 광고의 최종 목적은 매상고를 늘린다든지 인재를 모은다든지 하는 것이지만 예를 들어 상품광고의 경우 광고만으로 매상고를 늘리는 것은 할 수 없다. 따라서 광고 성과를 매상고로만 판정하는 것은 일반적으로는 무리이다. 또, 광고는 본래 기업이 상품을 판다든지 인재를 모은다든지, 기업의 신뢰도를 올린다든지 하는 데에 필요한 정보를 정하는 것이 일이고 그 이상의 것을 광고에 기대하는 것은 광고의 기능을 과대시 하는 것이 된다.
colley 는 목표와 목적을 구별한다. 목적은 포괄적인 내용을 가지고 있는 데에 비해 목표는 한정된 표적이다. 목표는 숫자로 구체적으로 나타낸다. 광고 목표에 있어서는 광고의 대상 시장, 광고의 실시 기간이라는 한정 하에서 도달되어야 할 목표가 숫자로 나타난다. <건설업자 사이에는 ‘6개월간에 새로운 나사가 녹슬지 않는다.’ 라는 메시지 지명도를 현재 30 %에서 60 %까지 높인다>라는 것이 광고 목표가 된다. 이렇게 해서 캠페인을 완료한 후 대상자 사이에 이 메시지가 어느 정도 도달했는 가를 샘플링 조사에 의해 측정하고 위에서 60%를 넘으면 광고 효과가 있었다라고 판정하고 그 이하에 있으면 광고 효과가 없었다고 한다. 이 때문에 광고 활동에 들어가기 전에도 대상 시장의 상태를 측정해 두는 것이 필요하게 된다. 여기가 소위 벤치 마크(출발점)가 된다.
colley 는 광고의 커뮤니케이션 작업을 5개로 분류했다. 이것을 communication spectre 라 부른다. 상품, 기업 또는 어떤 메시지에 대해서 communication 정도에 따라 대상자의 심리상태를 ① 未知 ② 認知 ③ 理解 ④ 確信 ⑤ 行動 의 5개로 나뉜다. 어떤 상품에 대해서 말하면 알지 못하는 상태에서부터 이름만을 알고 있는 상태, 관심을 가지고 점두에 가보고 싶다는 상태, 상품의 효용, 성능, 사용법에 대해서도 이해한 상태, 경쟁 품종과도 비교 검토하고 우수함을 납득한 상태, 그리고 점두에 구입하기 위해서 나가는 상태 5 rank 이다. 따라서 광고 목표의 설정에 있어서도 이 5 단계의 spectre 의 변화를 중심으로 생각한다.
DAGMA 원서에 있어서는 광고 목표는 마케팅 목표에서 연역되고, 마케팅 목표는 기업 목표에서 나온다고 지적되어 있다. 이번 기간의 매상 목표가 10%에서 20%로 M/S 를 높이는 것이라고 하면, 그것에 따라 움직이는 광고 활동에는 상품 지명율을 50%에서 60%로 높인다는 정도이다. 많은 미국 기업에 있어서는 長年의 마케팅 활동에 있어서 매상고와 광고비의 관계를 경험적으로 받아들이고 있다. 때문에 광고의 과제를 오히려 커뮤니케이션에 한정한 것에 따라 광고제작팀, 광고매체의 선택에 기준을 주는 것이 되어, 일반 목표 관리와 똑같이 “목표가 주어지면 인간은 좋은 일을 한다”는 것이 한층 기대할 수 있다고 한 것일 듯하다.
DAGMA 에 대한 비평은 1965년 국제 마케팅 대회나 그 밖의 모든 논문에서 보여지지만, 그 대부분은 광고 과제를 커뮤니케이션에 한정한 것에 집중하고 있다. 오히려 이점은 colley 가 유력 기업의 실태 조사에서 이 방식을 끌어내고 있기 때문에 그의 주장 쪽에 근거가 있다.
216. task method
광고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필요한 예산을 계산하는 방법. task 는 과제의 의미. 가장 정통적인 광고 예산 설정 방법. (참고) 과업 기준법
217. 지역 광고 local ad.
어떤 소매점 판매 지역, 또는 어떤 업종의 일정한 지역 내에서만 하는 광고의 총칭. 소매 광고, 영화관의 광고, 가스 전력 회사의 광고 등. 지방 광고, 지원(地元)광고라고도 한다.
218. 지명률 awareness rate
어떤 사항의 명칭을 알고 있는 사람의 비율. 광고에서는 회사명, 지명율, 상품 지명율, 상표명 지명률이 관심이 된다. 회사명 지명율도 상품광고의 효과의 하나를 나타낸다. 이해율, 명시율, 확신율, 행동율의 선행 지표가 된다.
219. 주목율 readership score
어떤 신문, 잡지를 읽은 사람들 사이에 광고를 본 사람의 비율. 판매하고 있는 신문 또는 잡지를 빠른 시기(신문이라면 다음날, 잡지라면 1주일 이내)에 한번 더 보여주고, 회람에 의해서 재인(再認)효과를 얻고 이것을 주목율이라 한다.
신문으로 말하면, 다음 식에서 얻을 수 있다.
그 광고를 본 사람 ------------------------------- x 100 그날의 신문을 읽은 사람 |
광고를 봤다는 것은 아래 그림에서 나타난다.
신문광고를 본다.
본 기억이 있다. |
작은 문자까지 읽었다. |
대 충 봤 다 |
대 상 자 |
본 기억이 있다. |
220. 주목율 조사
인쇄 광고가 어느 정도 보여졌는가를 밝히는 조사. 인쇄 광고가 배포된 사람 중에서 샘플을 선택해 봤는가 보지 않았는가를 묻는다. 이때 어떤 힌트를 주지 않고 묻는 순수 상기법, 업종이나 색등의 힌트를 주고 묻는 조성 상기법(助成相忌法), 광고물을 보여주고 묻는 재인법 등이 있다. 이중 마지막 再認法 에 의한 조사만 주목률 조사라고 하는 것도 있다.
다니엘 스타치가 1933년 최초에 ‘기업화해’ 이 방법이 퍼졌다.
221. 청취율
라디오 세트 소유자중 어떤 프로그램 또는 CM을 듣고 있던 사람 내지는 세대의 비율
222. 직접광고 direct action ad
즉효적인 효과를 의도한 광고. direct mail , 통신판매 광고, 각집에 배포한다든지 행인에게 나눠주는 찌라시등. 또 기업 광고를 간접 광고라는 것에 대해서 상품광고를 직접 광고라고 하는 것도 있다.
223. 찌라시 figger circulation
광고주가 스스로 만드는 1장이나 소형 인쇄 광고. “흩뿌린다” 점에서 온 말이라고 말해지며, 옛날은 광고 쪽지라고도 했다. 기능 면에서 부르는 이름이기 때문에 크기나 형태는 각기 다르다. 직접 건네는 것. 각집에 배포하는 것. 신문에는 끼워 넣는 것 등을 말한다.
224. 통신판매
DM 이나 space 광고에서 상품 또는 서비스 판매를 실시하는 것.
225. 돌출 광고 side box ad
기사 space 하부의 좌우, 광고 space 상부에 결정된 크기로 게재하는 광고. 잡보(雜報)광고의 하나. 크기의 표준은 5.25cm x 2단, 또는 5.5cm x 2단, 1.75cm x 2단 이 있다. 돌각(突角)이라고도 한다.
226. teaser approach
놀리는 사람, 조롱하는 사람의 의미에서부터 호기심을 일으키게 하는 듯한 표현이나 반복 DM 등으로 최초에는 발신자가 목적을 숨기고, 2회, 3회 째에 차례로 알게하는 것 등.
227. design policy
기업에 있어서 건조물, 상품, 광고, 심볼 등의 종합적인 디자인 방침. 기업 이미지를 디자인 적으로 통일하는 것. design policy 의 수집에 따라 house style 이 실현화된다.
228. 수수로 agency commission
마진(margin) 이라고도 한다. 광고 대행사가 광고주의 의뢰에 따라 매체에 광고를 게재 또는 방송하는 것에 의해서 매체 측에서 지불되는 수수료. 대행사 수수료, 조사, 기획, 제작 등의 비용은 포함되어 있지 않다. 대행사 발족 당시는 25%, 그후 15%로 정착됐다. 발행 부수가 적은 매체의 경우 또는 전속 광고 대행사에서는 이것보다 높은 수수료가 지불되는 것도 있다.
229. demonstration
실연(實演)판매. 백화점, 슈퍼, 소매점 등에 특설해서 상품의 해설을 하고 판매하는 것.
230. duplication
같은 개인 또는 세대에 광고 매체가 중복되어 도달하는 것.
231. 점두광고(店頭廣告) ad on a store
상점의 店頭에서 행하는 광고의 총칭. 점두의 간판, 상호가든 막에서부터 window, display, POP 광고를 포함한다.
232. 전파 매체
TV, 라디오를 이용한 매체
233. 전화조사법 telephone survey
전화를 이용해서 질문하고 그 회답을 조사, 분석하는 수법. TV, 라디오 프로그램의 시청 상황을 방송중에 조사할 때 자주 이용된다.
234. 투영법 projective technique
사람들의 이미지를 그 대상자가 눈치채지 못하게 테스트를 통해서 꺼내는 조사 방법.
로르샤하 테스트, TAT, 약화법(略畵法), 문장 완성법 등
* 로르샤하 테스트 : 잉크의 얼룩처럼 그린 여러 장의 그림을 보여주고 느낀 대로 설명케 하여 그 사람의 성격 등을 판단하는 정신 상태 진단법
235. 동기 조사 motivation research
마케팅에서는 구매 행동의 동기부여가 되는 심리적 요인을 밝히는 조사. 정확하게는 구매 동기 조사. 수법으로서는 집단 면접법, 심층 면접법, 투영법 등이 있다.
236. total communication
광고, PR, publicity, 판매촉진 등이 한 부분으로서 활동하고, 그것들의 힘이 종합되어 전체적인 커뮤니케이션이 완전하게 된다는 사고방식
237. dodge 빙산 이론
미국의 shewood dodge 의 광고는 그 기업, 상품에 대하고 친밀성이 있을 때, 효과가 크다는 이론. 빙산은 해면 밑에 80%가 숨어 있고, 이 부분이 소위 기업, 상품의 친밀성이다. 친밀성은 이미지, 높은 상기, 기억의 3개로 이루어진다. 광고가 해면 위의 얼음에 도달해서 효과가 크게 되는 것은 이 해면 밑의 3요소와 동조할 때이다.
238. traffic audit
교통량의 정기적 조사. 철도역에서의 traffic audit는 오리콤이 발표하고 있다.
239. traffic circulation
교통량. 옥외광고, 교통 광고 등의 접촉 기회를 갖는 것은 보행자나 교통기관의 이용자 이지만, 그것들의 한 매체의 보행 자수, 교통기관 이용자수, traffic 이라고 줄여서 말한다.
240. trickledown theory
상품의 보급이 상급 계층에서부터 차례대로 하급 계층에 침투해 간다는 이론. 소비자 행동에 관한 고전적 이론이지만 지금도 상당한 타당성이 인정된다.
241. trade character
기업 또는 상품을 표시하는 독특한 인물이나 동물을 그림 또는 인형으로 창작하고, 반복 사용하는 것에 의해 그 기업이나 상품과 결부시키려고 하는 것. eye catch 에 trademark의 성격을 갖게 하는 것.
242. hanging car card
전철 내의 통로위 천정에 매달려 있는 광고. 차내 광고의 하나. B3횡장의 크기가 보통. 한 차량 한 장을 모든 차에 걸어 놓는다. 기간은 2,3일. 교통광고중 가장 주목율이 높다고 되어 있다.
243. 일본 ABC 협회 audit bureau of circulation
발행 부수 공사국. 회원사의 신문, 잡지의 판매 부수를 조사해 인정하는 비영리 단체. 광고주, 매체사, 광고 대행사를 회원으로 하고 객관적으로 조사된 수량적 자료를 배포하는 기관. circulation의 기본 자료. 아직 미가입 매체사도 많다. 일본 이외에도 25개국이 ABC 조직을 갖는다. 일본에서 보고 부수가 공포된 것도 1960년 부터이다. 사단법인 창립 1952년. ABC라고 줄여서 말한다.
244. 일본 광고업 협회 japan advertising agency association(JAAA)
매체사, 광고주의 경영 지배권을 갖지 않는 광고 대행사에 의해 구성. 목적도 일본 광고 대행 업자의 보호, 질적 향상. 창립 1950년.
245. 일본 광고주 협회 japan advertiser's association(JAA)
각업종의 광고주에 의해 구성. 광고주의 입장에서 광고에 대한 정보의 교환, 공동 연구나 광고 요금 문제의 의견을 통일해 공동 대처하고 있다. 매년 소비자를 위한 광고 콩쿨 주최. 기관지 <JAA>를 발행. 사단법인. 창립 1957년
246. 인지 광고
상품의 특성, 사용법, 가격이나 상품 지식이나 판매점, 취급점 등의 구입 경로 등을 명시한 광고.
지명(知名)광고와 거의 같은 의미로 봐도 좋다.
247. 인지율 recognition rate
대상을 인지한 사람의 비율. 광고 인지율도 광고 주목율과 같음.
248. naming
이름을 붙이는 것. 상품명을 붙이는 것.
249. novelty
신기(新奇), 신안(新案)물을 의미. 광고에서는, 광고주가 회사명을 넣어서 증정하는 것의 총칭. 기증 광고, 파렐라, 연필, 재떨이, 라이타 등의 다수가 있고 또는 아이디어를 집중시키면 무수하게 생각할 수 있다. 할인 가격으로 제공하는 것도 있다.
250. shop curta in ad
점포 입구에 걸려 있는 발의 의미에서 점포명(회사명) 또는 상품명만의 광고.
251. non-personal communication
사람을 매개로 하지 않는 커뮤니케이션. 매스컴 광고, DM, PR 지 등에 의한 커뮤니케이션.
252. non-verbal communication
언어에 의하지 않는 커뮤니케이션. 광고의 표현 수단으로서 사진, 일러스트레이션, 그림 도표 등. visual communication (시각 전달)의 범위에 포함된 것을 수단으로 하는 커뮤니케이션.
253. 매체 계획 media planning
매체를 평가하고 선택하고, 스케줄을 세우는 것. 먼저 광고 목표에 맞춘 매체를 가능한 많이 모아 그것들을 평가하고(매체 평가), 광고 예산 내에서 가장 큰 효과를 올리는 매체를 선택해 내고(매체 선택) 동시에 스케줄을 결정한다.
254. 매체 타입 media type
매체 vehicle 의 상위 개념. 매체의 하위개념. 신문이라면 전국지, 부록지, TV라면 network TV, 독립 TV 등
255. media vehicle
vehicle 은 탈것의 의미, 광고의 탈것. 결국 매체 특정의 상품의 상표를 말하고 신문이라면 A신문, TV라면 모 방송이라고 지명할 수 있는 것. 매체 type의 하위개념. 매체 unit이 상위 개념
256. 매체 목표 media objective
어떤 매체에 기대되는 목표. 어떤 대상에 전달하고 싶은 메시지를 효율적으로 전달해 준다고 기대되는 목표.
257. house organ
기업 또는 단체가, PR을 목적으로 하여 사내, 사외를 대상으로서 발행되는 booklet 또는 신문. 사내(종업원)용의 것을 사내보, 사외(고객, 예상 고객)용의 것을 PR誌 등이라고 한다. company paper, company magazine 이라고도 한다.
258. package
포장. commercial package 와 industrial package로 나뉜다. commercial package는 상품을 보호하는 동시에 디자인적 표현에 의해 점두효과를 높이고, 구매에 자극을 주는 package. industrial package 는 소위 packing 으로, 생산자에서 소매점까지 수송에 적합한 포장을 말한다.
259. panel
① 어떤 광고 중에서 특히 눈에 띄게 하기 위해 붙여진 테두리.
② 디자인 용어로는 종이를 붙이기 위한 틀, 조판, 또는 포스터 등을 붙이는 게시 장소.
③ 조사 용어로는 파넬조사 항을 참조
260. panel survey
특정의 조사 대상을 설정해 일정 기간 계속해서 조사하는 방법. 어떤 기간에 걸쳐 조사하기 위해 시계열적인 데이터를 얻을 수 있다. 조사 대상이 되는 그룹을 파넬이라고 한다.
261. publicity
기업에 있어서 유리한 정보를 각종 정보기관에 문제삼을 수 있도록 하는 광고 활동. 예를 들어 신제품 발매 뉴스를 각 신문사, 잡지사에 보낸다든지 하는 것으로 광고가 아니라 기사로서 받아들여지기 쉬운 요소를 주장한 원고를 흘린다. 그밖에 연구소의 설립, 개발 중인 연구, 회사 간부의 사회적 발언 등을 모든 기회를 받아들여 기사든지 사진으로서 지면이나 TV, 라디오의 화제가 되도록 하는 광고 활동. PR의 유력한 수단의 하나.
262. public release
기업이 publicity 로서 각 정보기관에 배포하는 인쇄물, 또는 사진. 문장은 기사로서 받아들여지기 쉽게 배려된다.
263. public opinion
어떤 공적인 문제에 대해서 자유로운 토론, 선택의 결과에 의한 그 집단 성원의 의견
264. public relations
법인 또는 개인의 생존, 번영을 위해 자기가 둘러싸인 환경과의 사이에 양호한 관계를 수립해 유지하는 것. 또 그것을 위한 모든 활동. 특히 그 중에서 커뮤니케이션 활동에 한정하는 것도 있다. PR 이라고 줄여서 말한다. 때론 광고 활동과 혼동되지만 PR은 경영 기능(management function)이고, staff 기능으로 이해되고 있다. 광고는 마케팅 수단 또는 넓게 봐서 경영 수단이다.
265. program commercial
프로그램 제공자(스폰서)가 그 프로그램에 넣은 커머셜. 보통 프로그램前, 中, 後에 넣는다.
266. 판매촉진 sales promotion
sales를 원조하고 촉진하는 활동. 프로모션 활동의 하나로 광고와 인적 sales 이외의 promotion 활동을 가리킨다. 광고, 인적 sales, publicity 등, 프로모션 중의 각주(各柱)를 어떻게 통합하고, 판매 효율을 올리고 재 촉진할까 하는 방법.
267. pamphlet
표지도, 속도 같은 종이로 인쇄된 가제본의 소책자. 1장의 인쇄물(리플렛)과 책에 가까운 booklet 의 것에 중간 정도의 것. 영업 안내, 제품 안내, 입사 안내 등에 많다.
268. PR agency
PR 활동의 업무를 전문으로 행하는 대행사. 기업에 있어서 PR의 인식이 깊은 데에 따라 PR 기술의 고도화, 대상의 다양화에 의해 전문 staff의 필요성이 인식되어 일본에서도 전문 대행사가 계속 생기고 있다. PR counseling 업무와 PR활동 업무가 있지만 종합적인 대행사와 어느 한쪽을 행하는 대행사가 있다. 최초의 PR agency 는 1904년에 NEWYORK에서 설립된 파카리社
269. PR誌 magazine for public relations
PR을 목적으로 발행된 잡지, 본래는 사내보, 사외보를 포함하지만 일본에서는 사외보의 의미로 사용하는 일이 많고 양쪽을 포함하는 경우로 house organ 이라고 하고 있다.
270. POS point of sales
판매 시점 광고. 구매 시점 광고(POP 광고)와 같은 의미. 일본에서는 POP 광고라는 말이 많이 이용되고 있다.
271. POP 광고 point of purchase ad
구매 시점 광고. 구매 시점, 즉 소매점의 안팎에서 하는 광고, display 류의 총칭. 매스컴 매체에서 하는 광고가 넓게 일반에게 주지되어 욕망을 환기시키는 광고라고 하면, 이것은 직접 구매에 결부된 광고로서 상승적 효과가 기대된다.
272. 비교 광고 comparison ad
자사의 기존 상품, 또는 타사의 브랜드와 비교해서 상품의 특징을 주장하는 광고. 타사 브랜드와 비교하고 있기 때문에 도전 광고가 되기 쉽다.
273. BGM back ground music
BG, BGM 이라고 줄여서 말한다. ① 업무중의 직장, 판매점 등에 조용하게 흐르는 음악 ② 방송에서는 대사나 코멘트 사이에 흐르는 음악
274. 비즈니스 광고
산업 광고, 유통 광고, 전문 광고 등의 총칭. 對비즈니스 광고
275. human approach
인간성에 호소하는 표현법. 어린이, 한 가정의 단란등 누구에게나 교감시킬 수 있는 사진이나 일러스트레이션을 eye catch 로서 소구하는 방법.
276. 표현 전략 creative strategy
광고의 컨셉이 결정된 후. 그것을 어떻게 표현할까 하는 표현 type이나 전개 방법 등을 종합적으로 작전을 세우는 것.
277. 표현 목표 creative goal
광고에 있어서의 아트와 카피가 전달하고 달성해야 할 목표
278. 표지 광고 cover ad
잡지 표지에 게재한 광고. 잡지 제서(題書)가 들어 있는 표지들. “표1” 그 뒷면을 “표2 front cover inside” , 잡지의 뒤 표지의 안쪽을 “표3 back cover inside”, 잡지 뒤쪽의 바깥을 “표4 back cover”라고 한다. 또 “표4”를 大票라고 하고 이 大票광고가 가장 수요가 많은 space 라고 한다.
279. billing
취급고. 광고 대행사가 광고주에게 청구하는 금액. 매체표, 제작비, 서비스료 등으로 된 총계산금액
280. build-up ad
신제품 발매시에 사전 광고나 publicity 등에 따라 미리 평판을 놓이려고 하는 광고. 또는 판촉활동
281. billboard
게시판, 금속제 또는 목재의 틀에 광고면을 붙인 간판. 일본에서는 페인트로 칠해서 장식한 간판이 많지만 미국에서는 고속도로의 연선에 설치하고 여러 장의 포스터를 경쟁시키는 큰 것이 많다. → seat poster
282. pin-up
벽에 pin으로 고정시켜 놓은 것. 또는 고정시킬 수 있는 것. 미인이나 누드, 유행의 차, 자동차 사진이나 포스터 등 잡지의 접지 사진이나 광고 포스터, pin-up 되도록 의식적으로 제작된 것도 많다.
283. family package
메이커 전 상품 또는 같은 계열 상품의 package에 형태, 색채 등 어떤 공통성을 갖게 하는 것. home package 라고도 한다.
284. family brand
같은 메이커의 제품인 것을 명시하기 위한 대표 상표
285. fee system (fee 제도)
대행사에 지불하는 요금을 매체 수수료가 아니라, 정해진 금액으로 지불하는 제도
① 매체 수수료의 범위 내에서는 광고 대행사가 충분한 서비스를 할 수 없을 때 광고주에 대해서 수수료를 지불하는 대신에 수수료 이상의 정액 요금을 받는 계약을 하는 경우
② 매체 취급 이외의 서비스로 수수료를 얻을 수 없을 때 이용된다.
286. field survey
임시 조사. 광고가 실제로 노출된 시점에서 조사하는 것. 시험실 조사에 대응하는 말.
287. format
책의 크기, 체제의 의미. ① 광고에서는 디자인의 스타일이나 형태 ② 전파 매체에서는 내용은 별개로서 프로그램의 조합, 구성을 말한다.
288. push strategy
유통 경로 (도매업, 소매업)을 push 하는 것에 의해 판매 촉진의 효과를 올리려고 하는 전략. pull 전략이 소비자에게 호소하는 것에 대응하는 용어.
289. blind test
눈가림 test. 장님의... 숨겨진... 의 의미에서 상품으로부터 고유명사(제조 회사명, 상품명, 마크 등)를 숨기고, 그것을 맞추게 한다든지 이미지를 듣는다든지 하는 test
290. franchise system
franchiser가 franchisee에 대해서 일정 구역의 독점권 판매권을 다양한 마케팅상의 know-how 로 함께 전해주고, 담보와 보증으로 내놓아서 franchise fee 를 받는 제도
291. brand
상표. 특정의 메이커의 상품인 것을 표시하는 명칭 또는 마크
292. brand image
브랜드에 대한 생각. 믿음 (참고) 브랜드 로열티
293. brand royalty
상표 충실도. 소비자가 습관적으로 동일 상표의 상품을 구입하는 경우. 여기에는 브랜드 이미지를 높이는 것이 중요하게 된다.
294. free appeal
무료라는 것을 강조하는 소구법. 광고에 무료로 견본, 경품, 초대권 등을 보내는 것을 광고하는 것. 기업이나 상표를 친숙하게 한다든지 독자의 반응에 의해 제품에의 관심의 정도를 노리는 것도 할 수 있다. (참고) 프리미엄 광고
295. frequency
도달 빈도. 광고가 대상자에 도달하는 회수. 연도달율(GRP, GR), 적도달율(NRP,NR)에서 나눈 값.
296. pre-test
본 조사를 실시하기 전에 소수의 샘플로 실시하는 사전 조사. 또는 “카피 테스트”로 광고게제 전에 실시하는 테스트 (참고) post test
297. pull 전략 pull strategy
직접 소비자에게 작용해서 자사의 상품을 지명 구매하게 하려는 전략. push 전략에 대응하는 말
298. press release
기업이 자사의 뉴스중 사회적으로 선도 가치가 있다고 생각되어지는 것을 퍼블리시티로 기사화 해서 보도 관계에 배포하는 것. 또는 배포하는 문서.
299. presentation
제시하는 것. 광고 거래에 있어서 광고 활동에 관한 계획안을 제출하는 행위. 광고 대행사, 매체사 또는 production이 광고주에게 또는 매체나 production이 광고 대행사에 하는 presentation이 있다. 또 광고 활동 전반에 걸친 presentation과 표현 또는 조사했던 부분에 관한 presentation이 있다. 여러 개의 회사가 경쟁하는 presentation은 당선할 확률이 적기 때문에 speculative(투기적) presentation이라 불린다.
300. 프리미엄.
할증금, 상금의 의미에서부터 경품이라고도 한다. premium sale 로 메이커 또는 판매점이 구입자에게 증정하는 것. 경품류 및 부당 표시 방지법의 규제를 받는다.
301. 프리미엄 광고
상품의 구입자에게 경품 또는 상금이 걸려 있음을 강조하는 광고. 현상 광고와는 달리 누구라도 규정된 것(레벨, 쿠폰, 빈상자 등) 을 보내면, 경품(상품)을 받을 수 있는 것을 강조한 광고.
302. premium campaign
판매 촉진을 위해 상품에 경품을 붙이는 캠페인. 경품류 및 부당 표시 방지법의 규제를 받는다.
303. product concept
어떤 상품을 소비자에게 소구하기 위한 기본적인 사고방식. 이것에 따라 상품을 개성화 해서 유사 상품과의 차별화를 꾀하고 예상 고객층을 설정할 수 있고 판매 계획을 세울 수 있다. 자동차를 운항 기구라는 컨셉으로 팔 것인가, 움직이는 응접실로서 팔 것인가 또는 high life 의 심볼로서 팔 것인가에 의해 판매 계획이 변해 간다.
304. block ad
여러 현에 걸쳐서 하는 광고. 지방 광고와 전국 광고의 중간 정도의 경제권을 대상으로 하는 광고 활동 (참고) 블록誌
305. promotion agency , sales promotion agency
판매촉진에 필요한 모든 업무를 대행하는 광고 대행사. 매스컴 광고매체는 취급하지 않고 각종 demonstration, 판매점에 대한 지도, 진단, POP 광고, 판매원 교육, 훈련, DM 제작 등을 대행한다. SPA 라고도 한다.
306. 평면 디자인 space design
포스터, 신문 등을 이용하는 디자인. 입체 디자인에 대응하는 말 (참고) 디자인
307. heavy-viewer
장시간 시청자. 단시간 시청자는 light-viewer라고 하지만 엄밀한 시간의 구분은 없다.
308. whispering CM
속삭이는 듯한 CM의 메시지. 속삭이듯이 얘기를 해 청취자에게 귀를 기울여 듣게 해 주위를 끄는 방법.
309. hot media
인간의 감각에 자세한 정보를 보낼 수 있다. TV, 라디오는 hot media 이고 전화는 cool media이다. 맥루한의 용어 “cool media”에 대응하는 말. hot media는 받는 사람의 참가 의식이 결여되고, cool media는 반대로 받는 사람이 보완하는 부분이 크다.
310. body copy
광고 본문. 캐치프레이즈에 의해 주의를 끌고 이것을 받아서 광고 상품에 대해서 설명하는 문장.
311. market share
시장 점유율. 어떤 기업 또는 브랜드의 시장 전체 중에서 매상고 비율.
312. marketing
상품 또는 서비스의 생산자에서 소비자에로의 흐름을 효율적으로 하기 위한 기업 활동. 구체적으로는 ① 제품계획 ② 판매촉진 ③ 광고선언 ④ 시장조사 ⑤ 물적유통 ⑥ 가격전략 ⑦ 제품 차별화(product differentiation) 등의 전 활동을 유기적으로 실시하는 것.
313. marketing communication
마케팅을 위한 커뮤니케이션
314. Madison Avenue
뉴욕시 맨허턴의 동부를 약 10km에 걸친 가로명(街路名). 미국 광고업계의 다른 명칭. 이 거리의 200번지에서 650번지에 이른 일획이 “廣告橫丁”이라 불리고, J.W.Tomson, BBDO, 영 앤 루터컴, 그레이 어드벤티지 등 일류 광고 대행사가 모여 있다. 증권 업계를 월스트리트 라고 하는 것과 같은 표현.
315. 매스 미디어
TV, 라디오, 신문, 잡지 등으로 대표되는, 정보를 불특정 다수에게 전달하는 수단. 미디어(media)는 mediam 의 복수형. 따라서 매스 미디어라는 경우는 2개 이상의 매체를 가리킬 때 사용하는 것이 바르다.
316. merchandising
넓은 의미로는 마케팅과 같은 의미로 풀이되고, 좁은 의미로는 상품 계획 또는 판매 활동, 스폰서가 TV, 라디오 광고의 의의를 유통업자에게 알리는 것이나 신문, 잡지광고물을 전시용으로 다시 만들어 내는 것도 가리킨다.
317. multi brand policy
어떤 기업이 하나의 상품에 대해서 품질, 포장, 가격이 다른 것을 만들고, 다른 브랜드 또는 유통업자의 브랜드를 붙인다든지, 브랜드가 없는 상품을 판매하는 방법.
318. 무작위 추출법 random sampling
조사 대상이 되는 모든 사람(모집단) 속에서 소수의 샘플을 추출하는 것에 각 샘플이 等確率인 것을 조건으로 한 방법. field survey는 오로지 이 방법으로 대상자를 선택한다. 이것에 의해 모집단의 상태를 추정할 수 있다. (참고) 샘플링 조사
319. mood ad
상품의 hard cellmotor를 주체로 하지 않고 분위기에 의해 욕구를 자극하려고 하는 표현 기법.
320. 명함 광고 name card style ad.
명함처럼 회사명, 대표자명, 주소만 기재한 광고. 신년 인사에 사용하는 것이 가장 많다. 이밖에 복중 문안에도 사용한다.
321. media schedule
광고계획중 광고를 출고하는 매체명, 광고(방송)일, 광고의 스페이스(time)등 광고실시의 일정 또는 그 일정표
322. media mix
상정된 광고대상에로 유효하게 광고메시지가 도달하도록 각 매체의 특성을 감안해 편성을 결정하는 것 (참고) 매체계획
323. mail order
통신판매. 점두나 세일즈맨이 아니라 스페이스 광고나 DM에 의해 직접 판매하는 것.
324. mail survey
질문지를 우송하고 회답을 반송해 받는 조사방법. 광범위하게 조사할 수 있고 회답자가 편하게 기입할 수 있는 잇점이 있지만 일반적으로 회수율이 낮은 결점이 있다.
325. 면접조사 interview method
면접해서 조사하는 방법. 보통 조사원이 무작위로 뽑은 대상자를 방문하고, 미리 작성해둔 질문지에 의해 질문해 회답을 기입하는 조사법을 가리킨다. 그 밖에 심층 면접법, 집단 면접법 등이 있다.
326. 모니터 제도 monitor system
전문가 또는 소비자, 청취자를 조직해서 자사의 상품, 제공 프로그램, 광고 등에 대해서 의견을 보고하게 하는 제도. 장기간에 걸치면 의견이 고정화 되기 때문에 짧게 3개월, 길게 1년 정도로 모니터를 교체한다.
327. mobil ad.
여러 종류의 물체를 조합해서 배런스를 맞추고 천정에 매달아서 작은 바람으로 흔들려 움직이는 모빌이라는 것을 광고에 이용한 디스플레이.
328. 유선방송 wire broadcasting
유선에 의한 라디오 또는 TV 방송. 예를 들면 가두방송이나 학교, 공장 등에서는 유선에 의해 여러 곳에 방송한다. CATV도 물론 유선방송.
329. 유료 TV pay television, subscription television
시청요금을 지불하는 가입자에게만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무선 또는 유선 TV
330. USP
Unique(독특한) Selling(판매) Proposition(제안)의 약어로서 광고는 독특한 판매를 할 수 있는 제안을 하지 않으면 안된다 라는 설. 미국의 광고대행사 테드 베에츠의 사장 Rosser Reeves의 광고론에서 나온 말.
331. humor ad.
질이 높은 우스운 표현에 의해 상품의 친근감을 주어 효과를 높이려 하는 광고.
332. 浴場廣告
목욕탕에 게시된 광고의 총칭
333. 예고광고 pre announcement
사전에 고지하는 광고. 개점, 개교, 신제품 발매, 영화개봉, 개통 등의 사전 광고.
334. 라디오 광고 radio commercial
라디오 방송을 매체로 하는 광고. 청각에만 호소하는 광고로, 라디오 시청률의 personal화와 단가가 TV, 신문에 비해 저렴하기 때문에 반복해서 개인에게 호소하는 데에 사용된다. 1920년 피츠버그에서 최초의 정기방송이 시작되고, 일본에서는 1925년 동경방송국이 시작되었지만 광고를 방송하도록 된 것도 1951년 민방이 탄생된 후.
가장 많은 것은 중파(535~1605 KMZ) 방송. 일본에서는 하나의 단파(3~30MHZ)와 하나의 초단파(30 MHZ)의 민간방송이 있다.
335. rough lay-out
디자이너의 발상을 정리한 thumbnail 속에서 가장 적당하다고 생각 되어지는 것을 실제 광고가 되는 사이즈로 그린 것. 거의 레이 아웃이 결정된 단계에서 실시한다.
336. label
포장용기 또는 상품 자체에 그 상품의 브랜드, 품질, 서비스 등을 게시한 표찰.
337. recruting ad.
신졸자를 대상으로 한 구인광고. 매체는 대학신문, 학생잡지, 학생용 기업안내 등.
338. reason why copy
“왜 사지 않으면 안되는 가”, “왜 이 상품은 좋은가”의 이유를 설득하는 형태의 광고수법. 미국 근대광고가 확립된 초기의 광고이유의 하나. 이유광고.
339. rational appeal
소비자의 이성에 소구하는 것. 정서소구, 감정소구에 대응하는 말.
340. reach
도달, 도달율. 복수회 광고를 게재할 때, 한 회라도 그 광고에 접한 사람의 수의 대상자 수에 대한 비율을 순수 도달율, 중복 도달율(gross)라고 한다. 후자를 전자로 나눈 값을 도달빈도 (frequency)라고 하고 3개로 매체평가를 실시한다.
341. cubic design
3차원적 표현에 의한 디자인. illustrial design, product design, package design, display design 등. 평면 디자인에 대응하는 말.
342. leaflet
1장형의 인쇄물. 찌라시나 접지용, DM용 등. (참고) 카다로그, flyer
343. reminder ad
간단히 회사명 상품명을 표시하고 이전에 행하였던 광고의 임팩트를 지속시키는 광고. POP 광고에 이런 것들이 많다.
345. 임시광고 transient ad
신문광고 중 영업광고가 아니라 임시로 출고되는 광고. 구인광고, 사망광고, 결산광고, 선거광고 등
346. 누적효과
광고를 반복함에 따라 생기는 중첩효과. 동일매체에 의한 누적효과, 미디어 믹스에 의한 누적효과 등이 있다.
347. 누적 시청자
동일 CF를 반복하여 방송했을 때에 1회 이상 시청한 사람. 송신자측에서 보면 누적 도달율이 된다.
348. 누적 도달율
일정 기간에 노출된 광고의 1회이상 접촉한 사람의 대상자 전체에 대한 비율. 전파매체에서는 일정기간에 방송된 프로그램 혹은 CF를 1회이상 시청(청취)한 세대의 수를 지역내에 TV(radio)소유세대수로 나눈 비율.
349. 레이아웃
사진, 일러스트레이션, 문자(lettering, 활자) 등의 구성요소를 지면에 효과적으로 배치하는 작업 혹은 그 기술.
350. lettering
수작업 문자. 활자와 사진식자에 의하지 않고 특이성을 주기 위해 쓴 문자. 로고타입, 캐치 프레이즈 등
351. review board
광고대행사에 있어서 모든 작업의 feed back 기관(일종의 자문기관)
plans review board와 creative review board가 있다.
352. 연상법
상품 또는 기업명을 제시하여 무엇을 연상할 것인가를 듣고, 시장에 있어서의 그 상품 혹은 기업의 이미지를 측정하는 방법. “00 이라고 한다면 무엇을 연상하십니까?”와 같은 질문에 생각나는 대로 “예”와 “아니오”를 대답하는 제안 연상법이 있다.
353. local communication media
어떤 지역을 대상으로 한 매체. 농협이 실시하고 있는 유선방송. CATV 등. 한 도시를 대상으로 한 지방지, 지역단위로 이용하는 찌라시 등을 포함한 것도 있다.
354. local sponsor
지방방송 광고주 (참고) 전국 광고주
355. local brand
제한된 지역에 판매되는 상품의 상표 national brand에 대응하는 말.
356. logotype
2개 이상의 문자를 편성해서 마크로 한것. 또는 회사명이나 상품명을 특정의 스타일로 표현한 문자.
357. rotater
이발소의 노상 간판처럼 폴 사인을 회전시킨 간판.
358. wide spread ad.
대형광고. 예를 들어 신문에서는 2페이지 폴러 광고, 잡지에서는 여러 페이지에 걸친 multiple ad. TV, 라디오 에서는 1시간 이상의 프로그램(wide 프로그램 이라고 한다) 등.
359. one word headline : 한마디의 헤드라인
360. 1업종 1사제 / 1상품 1사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