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문 虛辭(허사)의 용법
민근홍 언어마을
문장 안에서의 허사는 문법적 기능을 결정하는 역할을 한다. 허사의 용법을 정확하게 이해하면 한문실력을 높일 수 있다. 개사, 접속사, 종결사 등의 허사용법은 매우 중요하다.
1) 於(=于, 乎)의 용법, 於뒤에 오는 말은 보어가 된다
① 처소(장소) : ∼에, ∼에서 ( 於+장소)
例) 讀書於三角山 → 삼각산에서 독서를 하다
② 시간 : ∼에, ∼에서( 於+시간)
例) 三歲之習 至于八十 → 세살 버릇이 여든까지 간다
③ 대상, 목적 : ∼에게, ∼에, ∼을
例) 己所不欲 勿施於人
→ 자기가 하고 싶지 않은 것을 남에게도 시키지 말라
④ 시발, 유래 : ∼에게서, ∼로부터
例) 出乎爾者 反乎爾 →너에게서 나온 것이 너에게로 돌아간다
⑤ 피동 : ∼에게 당하다
例) 治於人者 食人 治人者 食於人
→ 납에게 다스림을 당하는 자는 남을 먹이고,
남을 다스리는 자는 남에게 먹힌다
⑥ 비교 : ∼보다
例) 霜葉 紅於二月花 → 서리 맞은 잎이 2월의 꽃보다 붉다
※ 於是, 於此등은 (여기에, 여기서, 이보다)의 뜻으로 쓰인다)
2) 以의 용법
① 도구, 수단, 방법, 자료 : '∼으로, ∼으로써, ∼을 가지고' 등으로 해석한다
例) 君使臣以禮
→ 임금은 신하를 예로써 부린다.
② 원인 : ∼때문에, ∼로 인하여
例)勿以惡小爲之
→ 나쁜 짓이 작은 것이라하여<조그마한 나쁜 짓도>그것을 하지마라
③ 以 A 爲 B : A를 B라고 여기다(생각하다), A를 B로 삼다,
以爲 : 생각하다 以爲 C : C라고 생각하다
例) 虎以爲然
→ 호랑이는 그렇다고 여기었다
④ 所以 : 까닭,∼인 까닭은, ∼인 것이다. 쭬쭬쭬쭬
例) 敢問其所以異
→ 감히 그것이 다른 까닭을 묻겠습니다
⑤ 可以∼, 足以∼ : ∼을 할 수 있다
例) 俯不足以畜妻子
→ 아래로는 처자를 기를 수 없다
3) 之의 용법
① 관형격(소유격)조사 : '∼의'로 해석한다
例) 君子之德風 小人之德草
→ 군자의 덕은 바람이고, 소인의 덕은 풀이다
② 주격조사 : '∼이, ∼가, ∼은, ∼는' 등으로 해석한다
例) 此天之亡我
→ 이것은 하늘이 나를 망하게 하는 것이다
③ 관형사형어미 : '∼한∼, ∼하는∼'등으로 해석한다
例) 適善之家 必有餘慶
→ 선을 쌓는 집안에는 반드시 남아도는 경사가 있다
④ 동사 : '∼에 가다'로 해석한다
例) 孟子之平陸 → 맹자께서 평륙에 가다
⑤ 지시대명사 : '그, 그것'등으로 해석한다
例) 結者解之 →맺은 사람이 그것을 풀어야 한다
4) '而'의 용법
① 순접 : '그리고, 그리하여, 그래서, ∼하면서'로 해석한다
例) 兄怪而問之
→ 형이 괴이하게 여겨서 그 까닭을 물어보았다
② 역접 : '그러나, 그런데도..'로 해석한다
例) 小人有勇而無義爲盜
→ 소인이 용기는 있으나 의로움이 없으면 도둑이 된다
③ 접미사 : 今而 (지금), 昨而 (어제), 然而 (그런데도)등
시간부사 뒤에 붙는다
④ 대명사 : '너, 당신'의 2인칭 대명사
例) 夫差 而忘越人之殺而父耶
→ 부차야, 너는 월나라 사람이 너의 아버지 죽인 것을 잊었느냐?
5) '與'의 용법
① 접속사 : '∼와, ∼과'의 뜻으로 쓰인다
例) 富與貴 是人之所欲也
→ 부와 귀는 사람들이 바라는 바이다
② 전치사 : '∼더불어, ∼와 함께' 뜻으로 쓰인다
例) 與人同處 → 남과 더불어 살다
③ 동사 : ∼을 주다
例) 與之禾稿 → 볏짚을 그들에게 주었다
④ 의문, 반어, 감탄형종결조사 : ∼인가, ∼하였는가?
例) 燕可伐與 → 연나라를 칠 수 있겠습니까?
⑤ 비교 : ∼하기 보다는 차라리 ∼이 낫다(하는 것만 못하다)
與其∼ 寧∼, 與其∼ 不如(若)∼
例) 與其生辱不如死快
→ 살아서 모욕을 당하기 보다는 죽어서 상쾌한 것만 못하다
6) 自의용법
① 전치사 : (=由, 從) ∼로부터
例) 有朋自遠方來 → 벗이 먼 곳에서부터 오다
② 명사, 대명사 : 자기, 자신
③ 부사 : 스스로, 저절로
④ 숙어 : 自A 至B ( A로부터 B까지 )
例) 自白頭山至咸興 → 백두산으로부터 합흥까지
7) 如의 용법
① 비교형용사 : 같다(=若), 마치 ∼와같다
例) 夫財譬如井也 汲則滿廢則竭
→ 무릇 재물이란 비유하자면 우물과 같다,
퍼내면 가득차고 내버려두면 말라 버린다
② 가정부사 : 만약(=若), 만약∼이라면
例) 如詩不成 罰依金谷酒數
→ 만약 시를 짓지 못하다면금곡원의 술잔수에 따라 벌을 주겠다
③ 동사 : 가다 (=之)
例) 二人如唐 爲武寧軍小將
→ 두사람이 당나라에 가서 무령군 소장이 되었다
④의문의 어구를 이루는 경우
如何, 何如, 如之何 : 어떠냐?, 어찌할 것인가?
例) 何如 斯可謂之士矣
→ 어떻게 하여야 선비라 할 수 있는가?
8) 者의 용법
'者'가 붙음으로써 보다 강조를 할 수 있다
① 사람을 가르킴 : ∼이라는 사람, ∼하는 사람
例) 仁者樂山 → 어진자는 산을 좋아한다
② 사물이나 사실 : ∼라는 것, ∼하는 것
例) 天地者 萬物之逆旅 → 천지라는 것은 만물의 여관이다
③ 접미사 : 시기, 시간을 뜻하는 말 뒤에 붙어 부사어를 만든다
例) 昔者, 近者, 嚮者 (지난번)
9) 所의 용법
① 불완전 명사로 쓰이는 경우 : ∼이라는 것, ∼하는 것, ∼하는 곳
한문에서는 수식어가 뒤에 오는 경우가 거의 없는데 '所'만이 유일하게 수식어가 뒤에 놓인다. 참고로 '者'의 경우는 알다시피 수식어가 앞에 놓인다
② 숙어인 경우 : 所以 (까닭), 所謂 (이른바)
爲A 所B (A에게 B 하는 바가 되다 → 피동문)
例) 所謂誠其意者 毋自欺也
→ 이른바 뜻을 성실하게 한다는 것은 자신을 속이지 않는다는 것이다
例) 身爲人所笑
→ 자신은 사람들에게 웃음거리가 되었다
10) 諸의 용법
之+於 : ∼ 에 그것을
한문에서는 한 개의 글자가 두 가지의 뜻을 지닌 것이 있는데,
이러한 것을 '合者'라 한다
다른 예로 焉 (於+此), ? (何+不) 등을 들 수 있다.
※ 諸는 본래 <모두 제>의 뜻을 가지고 있으나,
합자인 경우는 '저'로 발음을 한다
例) 不若投諸江而忘之
→ 강에다 그것을 던져 그것을 잊는 것만 못하다
※ 焉 (於+此) : 여기에, 이보다 音은 '언'
例) 愚莫大焉
→ 어리석음이 이보다 큰 것이 없다
※ ? (何+不) : 어찌 ∼하지않으리오? 音은 '합'
例) 子?爲我言之
그대는 어찌 나를 위해 말하지 않느냐?
한문_虛辭(허사)의_용법.hw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