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세계 상품시장 거래에서 새로운 각광을 받고 있는 농산물은 이제 석유의 자리를 빼앗 황제로 군림하고 있다.
"농산물은 상품시장의 새로운 석유이다."
수십년간 수지를 맞추기 위해 정부보조금의 지원하에 힘겹게 버텨온 농산업 분야는 이제 전성시대를 구가하고 있다.
지난 2년간 국제 밀가격은 287%, 옥수수 149%나 급등하였으며, 이 밖에 커피, 완두, 콩, 쌀, 카놀라, 낙동제품등 모든
농산물들의 가격이 전방위적으로 상승했다.
미국과 캐나다의 농부들은 금년도에 자신들이 수확한 농산물로 인해 엄청난 수익을 올리고 있다.
Credit Suisse SA의 농산분야 분석가인 Robert Moskow는 이를 두고 "농산업의 황금시대"라고 설명했다.
캐나다의 대초원(Canadian Prairie)에서 농부들이 선호하는The hard red spring wheat 는 현재 부셀당 $18달러에
거래되고 있는데, 2년전에는 가격이 단지 $3~6달러에 불과했다. 또 다른 프레리 대초원의 대표작물인 Durum wheat는
파스타를 만드는데 주로 사용되는데 이도 가격이 기록적인 수준으로 상승했다.
U.N.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FAO)의 글로벌 가격지수는 2007년 한해동안 무려 40%나 급등했다.
캐나다의 오타와주는 금년도 캐나다 농부들의 평균수입은 약 16% 가량 증가할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국제농산물 가격의 급등은 지난 1990년대 후반의dot-com 주식들의 가격급등과 매우유사하다.
미국정부의 바이오 에탄올과 바이오 디젤 생산장려 정책과 중국과 인디아로 대표되는 역동적인 경제개발 도상국가로
부터의 단백질에 대한 수요급증이 주 원인이다.
대략 3억으로 추산되는 인디아의 중산층 인구는 미국 전체의 인구수와 맞먹는다.
이 같은 농산물에 대한 수요측면의 요인에 더하여 오스트레일리아와 우크라이나등 주요 밀 생산국들의 수년에 걸친
가뭄이 공급측면에서 가격인상에 복합적으로 기여했다.
그 결과 전세계 밀의 평균재고량은 30년 이래 최저수준으로 감소하였으며, 미국의 밀 재고량은 1948년 수준으로 급감
했다.
미국과 캐나다는 여전히 농산물의 수출창구를 유지하고 있지만, 중국, 카자흐스탄 그리고 다른 일부 국가들은 자국내
농산물의 재고수준을 유지하기 위해 농산물 수출을 통제하기 시작했다.
이에 따라 국제 농산물의 공급능력은 더욱 제한되고 있다.
이에 따라 소위 Soft Commodities로 불리는 농산물의 상품가치는 더욱 상승하고 있다.
게다가 Richard Branson은 자신이 소유한 Virgin Atlantic jets의 보잉 747여객기에 바이오 연료를 사용하는 비행실험
을 했다. 지난달 이 비행기는 상업비행기 역사상 처음으로 일반 항공유 80%와 브라질의 babassu palm에서 추출한
코코넛오일 20%를 혼합한 바이오 디젤을 연료로 항공실험을 했다.
이는 농산물을 더욱 매력적인 상품으로 만드는데 충분했다.
하지만, 북미대륙의 농부들이 역사상 최대의 황금시대를 구가하고 있는 동안, 농산물 가격의 급등으로 고통을 받는
사람들의 수는 급증하고 있다.
이달초, 식료품 가격의 급등으로 주로 동남아, 아프리카 그리고 중남미의 약 40개 국가들이 위기상황에 봉착했다고
FAO가 경고했다. 식료품의 공급부족과 급격한 가격인상으로 이미 멕시코와 세네갈의 주민들은 폭동을 일으켰다.
지난 2월 원료인 농산물의 가격급등으로 심각한 재정압박을 받고 있는 미국의 45개 식품가공 업체들은 미국의 농림부
장관에게 야생동물 보호를 위해 농부들이 자신들이 소유한 농지의 일정부분을 휴경하돌 하는 정부와 맺은 계약적 의무
를 해지하라고 요구했다. Kellogg Co., Sara Lee Corp.등으로 대표되는 미국의 The U.S. baking industry's trade association은 미국정부가 밀의 수출량을 축소하도록 압력을 행사하기 위해 이달 하순경 자신들의 직원들을 와싱턴
으로 항의성 시위행진을 시킨다는 계획을 하고 있다.
미국의 부시대통령도 이 메시지를 전달받았다. "만일 옥수수들 두고 무슨 일이 벌어지고 있는가를 관찰한다면, 당신은
식료품 이슈와 농산물 이슈가 서로 충돌하고 있다는 사실을 깨닳기 시작할 것이다. 라고 부시대통령은 지난 목요일의
언론 컨퍼런스에서 말했다. "재생가능 에너지원을 다루는데 최상의 방법은 우리가 옥수수가 아닌 다른 원료로 에탄올
을 생산하는 방법을 연구 개발하는 것이다."
세계최대의 식품가공 업체인 Nestl의 CEO인 Peter Brabeck은 수자원의 고갈로 인해 식료품 산업과 바이오 연료
산업이 경작가능한 농지를 서로 많이 차지하기 위한 경쟁을 치르게 될것이라고 예측했다.
"우리는 필요한 모든 농작물을 생산하는데 충분한 물을 찾을 수 없게 될것이다."라고 지난주 Brabeck은 자사의 재무
결산 보고서를 발표하는 자리에서 말했다. "경각가능한 토지를 서로 차지하기 위한 심각한 전쟁이 벌어질 것이다."
실제로 경작가능한 농지의 면적은 해가 거듭될 수록 축소되고 있다.
경제의 지속적인 성장으로 인해 농지를주거지나 산업용지로 전환하면서 매년 수백만 헥타의 농지가 사라지고 있다.
담수의 공급부족은 경작이 가능한 농지의 면적을 추가적으로 축소시키고 있다.
농부들도 연료, 비료비 그리고 영농장비 등의 원가상승으로 인해 고통을 받고 있다.
보다 효율적인 영농장비를 사용하여 단위면적당 수확량을 올리려는 농부들에 의한 높은 수요로 인해 트랙트와 수확용
기계는 품절되고 있어 대기자 명단에 이름을 올리고 상당기간 장비를 인도받기 위해 대기하여야 한다.
비록 이전보다는 형편이 나아지기는 했지만, 농부들은 영농비용의 증가로 인해 농산물 판매수입의 상당부분을 빼앗
기고 있다. 축산농가들은 옥수수를 비롯한 가축사료 가격의 급등으로 인해 타격을 입고 있다.
대부분의 농업경제 전문가들은 비록 지금의 최고수준은 이닐지라고, 높은 농산물 가격이 장기간 유지될 것이라고 확신
하고 있다. 높은 농산물 가격은 밀가루와 치즈가격의 전례없는 급등을 초래해 미국내 $300억달러 시장규모인 핏자산업에 큰 타격을 주었다. 이들 가공식품 업체들은 원재료인 농산물 가격의 급등에도 불구하고 미국내 경기하강 분위기로
인해 원가의 상승을 제품가격 인상을 통해 최종소비자들에 전가하는데 상당한 애로를 겪고 있다.
중국의 6%에 달하는 인플레이션율 가운데 5%도 식료품 가격의 급등에 의한 것이다.
농산물 가격급등의 일부 원인은 투기적 세력의 가세에 있다. 국제신용위로 인해 투자자들은 안전한 은신처로 농산물에
대한 투자를 선택했다. 최근들어, 특히 1월중, 투기적 투자자들은 엄청난 자금을 농산물 상품시장에 유입시켰다.
이로 인해 최근의 믿을 수 없을 정도의 농산물 가격 상승랠리가 펼쳐졌다.
과거의 dot-com주식들의 몰락과 최근의 미국의 주택가격 붕괴에서 보는 바와 같이, 투기적 투자는 매우 단기간에
그치는 경향이 아주 높다.
현재 농산물 부문의 버블은 한껏 커지고 있으며, 이 버블이 더욱 커질지, 또는 언제 터질지 예측하기는 어렵다.
다만 확실한 것은 2년전의 가격수준으로 다시 회귀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 할것이다.

고객 센터 02-2636-9807 FAX 02-2636-98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