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리를 듣고 몸의 평형을 유지하는 귀의 기능과 역할
사람의 귀는 구조적으로 세 부분으로 나뉜다.
귓바퀴에서 고막 직전까지를 외이, 고막에서 달팽이관 직전까지를 중이, 달팽이관과 청신경
그리고 반고리관을 합한 내이로 구분한다.
귓바퀴에 모인 소리가 고막에 닿으면 진동한다.
고막의 진동이 이소골을 거쳐 달팽이관으로 전달되면 전기적 신호로 변환된다.
이 신호가 청신경을 통해 뇌로 전달되면 우리는 비로소 소리를 듣게 된다.
귀는 소리를 듣는 것 뿐만 아니라 전정기관을 통해 몸의 균형을 잡아주는 역할도 한다.
내이에 있는 반고리관은 모든 방향의 회전성 운동을 감지하고,이석기관은 기울기를 느껴
우리 몸의 직선 운동을 감지하는 기능을 한다.
이 부위들에서 나오는 신호는 중추신경계로 전달되어 몸의 균형도 잡도록 도와준다.
우리는 생각보다 귀를 소홀히 대하는 경향이 있다.
증상이 나타나 불편감을 느끼기 전까지 귀 건강에 큰 관심을 두지 않는다.
하지만 귀질환은 흔히 발병하며 ,방치할 경우 큰 문제를 초래할 수 있다.
우리가 매일 듣는 소리는 외이, 중이, 내이와 신경 전달 경로 등 하나의 잘 짜인 시스템에
의해 뇌로 전달된다.
이 과정에서 문제가 발생하면 청력 감소, 즉 난청을 불러 오기 때문에 평소에 청력 관리를
잘 하는것이 중요하다.
최찬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