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런 (어부생활) 속에 근심 걱정할 것 없으니 어부의 생활이로다. 한 척의 조그마한 배를 끝없이 넓은 바다 위에 띄워 놓고 인간 세상의 일을 다 잊었으니 세월 가는 줄을 모르겠도다.
(아래로) 굽어보니 천 길이나 되는 푸른 물, 돌아보니 겹겹이 쌓인 푸른 산 열 길이나 되는 속세의 띠끌(어수선한 세상사)은 얼마나 가리워졌는가 강호에 밝은 달이 밝게 비치니 더욱 무심하구나.
연잎에 밥을 싸고 버들가지에 잡은 물고기를 꿰어서, 갈대와 억세풀이 우거진 곳에 배를 대어 묶어 두니, 이런 자연의 참된 재미를 어느 분이 아실까.
산봉우리에 한가로운 구름이 피어나고(일어나고) 물 위에는 갈매기가 날고 있네. 아무런 사심없이 다정한 것은 이 두 가지뿐이로다. 한평생의 시름을 잊어 버리고 너희들과 더불어 지내리라.
서울을 돌아보니 궁궐(임금님 계신 곳)이 천 리로구나. 고깃배에 누워 있은들 (나랏일을) 잊은 적이 있으랴.
두어라, 나의 걱정할 일이로다. 세상을 건져낼 현인이 없겠느냐?
요점 정리
지은이 : 이현보
연대 : 조선 중종 때
갈래 : 평시조, 연시조
성격 : 강호한정가
제재 : 어부의 생활
주제 : 자연을 벗하는 풍류적인 생활, 자연에 은거하는 어부의 생활
내용 연구
1장 |
자연에 묻혀 살기를 소망 |
2장 |
자연에 몰입하는 심정을 그림 |
3장 |
자연의 참된 의미를 아는 사람이 적음을 탄식 |
4장 |
한가롭게 지내고 싶은 소망을 그림 |
5장 |
세상에 대한 근심과 염려 |
일엽-편주(一葉片舟) : 한 척의 조그마한 배
만경파 : 넓은 바다
인세 : 인간세상의 일, 홍진
니젯거니 : 잊었으니
천심녹수 : 천 길이나 되는 푸른 물
만첩청산 : 겹겹이 둘러 싸인 푸른 산
십장홍진 : 열 길이나 되는 속세의 티끌
언매나 : 얼마나
월백하거든 : 달이 밝게 비치니
청하에 : 연잎에
바블 : 밥을
녹류 : 버들까지
노적화총 : 갈대와 억새풀이 가득한 곳
일반청의미 : 자연의 참된 의미
산두 : 산봉우리
한운 : 한가로운 구름
백구 : 갈매기
무심 : 아무 욕심이 없음
두 거시로다 : 두가지로다
조차 : 따라
노로리라 : 놀리라
장안 : 서울(한양)
북궐 : 궁궐
어주 : 고기잡이 배
니즌 스치 : 잊은 적이
이시랴 : 있으랴
안니라 : 아니라
제세현 : 세상을 구제할 만한
이해와 감상
어부가(漁父歌)는 고려 때부터 전해 내려오는 '어부가'를 개작한 것으로 '어부단가'라고도 불리우며, 우리 선인들의 요산요수의 운치있는 생활을 잘 나타내고 있으며 자연을 벗하며 고기잡이를 하는 한가한 삶에서 당시 양반 계급의 풍류 생활을 엿볼 수 있는 좋은 작품이다. 그리고 이 작품을 통해서 아무리 자연 속에서 은둔생활을 한다고 하더라도 세상에 대한 관심이 끊임없이 나타나고 있다는 것이 제5장의 초장과 중장에 "장안을 도라보니 북궐이 천리로다. 어주에 누어신들 니즌 스치 이시랴"라는 말에서 작자의 세상에 대한 관심을 엿볼 수 있다. 이 또한 문학 작품이 사회와의 관계에서 그 사회의 영향에서 벗어날 수 없다는 논리를 뒷받침해주는 작품의 하나로 볼 수 있다.
이해와 감상1
조선 중기에 이현보(李賢輔)가 지은 시가. 단가 5장과 장가 9장으로, ≪농암집 聾巖集≫에 수록되어 있다.
작자가 그 당시에 얻은 ≪악장가사≫의 〈어부가〉 12장과 다른 〈어부가〉 10장이 말이 많고 순서적이지 못하고 혹 중첩이 있음(語多不倫或重疊)이 옮겨 쓰는 과정에서 사실과 다르게 전해진 것으로 판단하고, 전자는 3장을 제거하여 9장으로 장가(長歌)를 지어 읊을 수 있게 하였고, 후자는 축약하여 단가(短歌) 5결(价 : 곡을 이르는 말)로 짓고 엽(葉)을 하여 창(昌)으로 부를 수 있게 하였다.
전반적으로 ≪악장가사≫의 〈어부가〉 12장에서 보이는 많은 한글토를 생략하였고, ‘지곡총 지곡총 어嗜와 어嗜와’를 ‘지곡총 지곡총 어사와’로 축약하였다. 또한 일부 행들을 다른 시어로 바꾸기도 하고, 다른 장들의 시행을 다시 엮기도 하였다.
제1장 제4행의 ‘의선어부(倚船漁父)ㅣ 일견(一肩)이 고(高)로다’를 비롯한, 제3장의 제4행, 제4장의 제3행, 제6장의 제4행, 제7장의 제1·2·4행 등은 새로 바꾼 것들이다. 제2장의 제4행, 제4장의 제4행, 제6장의 제1·2·3행, 제7장의 제3행, 제8장의 제4행, 제9장의 제1·2·3·4행들은 ≪악장가사≫〈어부가〉의 다른 장의 행들을 각각 옮겨 놓고 있다.
≪악장가사≫〈어부가〉는 다른 〈어부가〉가 가지고 있던 문제들을 극복하기 위한 개작 동기를 실현하여, 순서화와 중첩의 삭제에서 성공한 것으로 평가되기도 한다. 그러나 윤선도(尹善道)는 ‘소리가 서로 응하지 않고 말뜻이 잘 갖추어지지 못하였으니, 대개 옛 글을 모으는 데에 얽매였던 관계로 옹색해지는 결함을 면하지 못했다’(音響不相應 意不甚備 盖拘集古 故不免於有局促之缺)고 평하였다.
≪참고문헌≫ 聾巖集, 孤山遺稿, 朝鮮詩歌史綱(趙潤濟, 을유문화사, 1937). 高麗末·李朝初의 漁父歌(李佑成, 論文集 9집, 성균관대학교, 1964), 漁父歌攷(崔東元, 人文論叢 24집, 부산대학교, 1983), 漁父歌의 表象性 硏究(呂基鉉, 성균관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89), 漁父歌系 詩歌硏究(宋靜淑, 부산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0).(출처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심화 자료
이현보(李賢輔)
1467(세조 13)∼1555(명종 10). 조선 중기의 문신·시조작가. 본관은 영천(永川). 자는 비중(菲仲), 호는 농암(聾巖)·설빈옹(雪靈翁). 예안 출신. 참찬 흠(欽)의 아들이다. 1498년(연산군 4) 식년문과에 급제한 뒤 32세에 벼슬길에 올라 예문관검열·춘추관기사관·예문관봉교 등을 거쳐, 1504년 38세 때 사간원정언이 되었으나 서연관의 비행을 논하였다가 안동에 유배되었다. 그 뒤 중종반정으로 지평에 복직되어 밀양부사·안동부사·충주목사를 지냈고, 1523년(중종 18)에는 성주목사로 선정을 베풀어 표리(表裏)를 하사받았으며, 병조참지·동부승지·부제학 등을 거쳐 대구부윤·경주부윤·경상도관찰사·형조참판·호조참판을 지냈다. 1542년 76세 때 지중추부사에 제수되었으나 병을 핑계로 벼슬을 그만두고 고향에 돌아와 만년을 강호에 묻혀 시를 지으며 한거하였다. 홍귀달(洪貴達)의 문인이며, 후배인 이황 (李滉)·황준량(黃俊良) 등과 친하였다. 조선시대에 자연을 노래한 대표적인 문인으로 국문학사상 강호시조의 작가로 중요한 자리를 차지하고 있다. 저서로는 ≪농암집≫이 있으며, 작품으로는 전하여오던 〈어부가 漁父歌〉를 장가 9장, 단가 5장으로 고쳐 지은 것과 〈효빈가 效嚬歌〉·〈농암가 聾巖歌〉·〈생일가 生日歌〉 등의 시조작품 8수가 전하고 있다. 1612년(광해군 4) 향현사(鄕賢祠)에 제향되었다가 1700년(숙종 26) 예안의 분강서원(汾江書院)에 제향되었다. 시호는 효절(孝節)이다.
≪참고문헌≫ 聾巖集, 聾巖先生年譜, 聾巖의 詩歌觀(柳增善, 詩文學 4, 1959). (출처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강의 귀먹바위(聾巖), 사자바위(獅子石), 코끼리바위(象巖), 자리바위( 石)로 이어지는 농암의 강호풍류는 이 무렵 인기를 잃고 망각되어가던 전래의 ‘어부가’를 드디어 영(詠), 창(唱) 할 수 있도록 새롭게 창작하는 문학적 성과를 이루게 하였다. 옆 사진의 우측으로부터 귀먹바위, 사자바위, 코끼리바위가 보인다. |
|
|
분강 |
농암은 '어부가', '농암가' 등의 농암문학의 창작 현장인 분강에 대해 이렇게 묘사했다. |
"북쪽은 높은 산에 의지해 있고, 구름에 닿을 듯한 서쪽은 긴 숲이 무성하게 삼싸 안았다. 동쪽은 긴 강이 유유히 흐르는데, 멀리 청량산으로부터 만학천봉 사이를 구비 돌아 반나절 정도 흘러와 '관어전(官魚箭)'에 이른다. 그 빼어난 모습은 긴 성과 같고, 그 앞에서는 충격으로 아래에 깊은 소(沼)를 이루는데, 이 소를 '별하연(別下淵)'이라 한다. 소는 절벽을 베개로 하는데, 절벽위에는 병풍암(餠風庵)'이라는 옛암자가 있다. 좌우로 기암과석이 뾰족한데 그 그림자가 소에 떨어져 쳐다보기조차 어렵다. 이곳으로부터 물결은 점점 완만해져서 그 모습이 징•홍•청•격(澄泓淸激)의 경걔를 이룬다, 이 물굽이가 농암아래 에 이르면 �고 가득하게 퍼지고 쌓여 조그마 배를 띄우고 노를 저을 수 있게 되는데, 이를 '분강' 이라 한다. 강 가운데는 반석이 있어 마치 자리바위와 같다 그리하여 그 이름을 '점석'이라 한다." | |
|
농암 선생 ‘어부가’ 서문 ------------------------------------------------------------
“ ‘어부가’ 2편은 누가 지었는지 알 수 없다. 내가 늙어서 강호로 물러나 마음이 한가하고 일이 없어 고인의 글을 모아 읊조리던 중, 노래부를 수 있는 시문 몇 수를 비복에게 가르쳐 때로 듣곤 하였다. 아들 손자들이 늦게 이 노래를 얻어 보이기에 살펴보니 노래말(詞語)이 한적하고 의미가 심원하여, 읊조리니 사람으로 하여금 공명에 초월하게 함이 있고, 표표하고 아늑한 것이 탈속의 경지가 있었다. 이를 얻은 후에는 전에 감상하던 모든 가사는 버리고 오로지 여기에만 뜻을 두었다. 손으로 써서 꽃피는 아침과 달뜨는 저녁에 술잔을 잡고 벗을 불러 분강의 조각배 위에서 영(詠)하게 하면 흥미가 더욱 참되어 권태로움을 잊을 수 있었다. 다만 그 가사가 불륜스럽고 중첩됨이 많았는데, 이는 전해지는 과정에서 와전됨이 있었을 것이다.... 이에 개찬하여 일편 12장 가운데 3장을 버리고 9장으로 장가를 만들어 영(詠)할 수 있게 하고, 일편 10장은 단가 5장으로 지어 창(唱)하도록 하여 합하여 ‘새로운 곡(新曲)’을 이루게 했다.” 『농암집』 ‘어부가서(漁父歌序)’ |
퇴계 선생 ‘어부가’ 발문 ------------------------------------------------------------
그 후 서울에서 이 곡을 두루 찾았으나 비록 늙은 창기(娼妓)라도 이 곡을 아는 사람이 없었다. 이것으로 이 곡을 알고 좋아하는 자가 없음을 알았다. 그 사이 밀양의 박준(朴浚)이란 자가 이런 음악에 이름이 있어 속아(俗雅)의 구분 없이 모아 책으로 엮었는데, 그 속에 이 ‘어부가’와 ‘쌍화점’ 여러 곡이 함께 실려 있었다. 그런데 사람들이 저것(쌍화점 여러 곡)을 들으면 수무족답(手舞足踏)하고, 이것(어부가)을 들으면 권태로와 잠이 오는데 이는 왠 일인가? 진실로 그 사람이 아니면 그 음을 알지 못하는 것이니 어찌 그 즐거움을 알 수 있으리오. 우리 농암 선생은 벼슬을 버리고 분수가로 염퇴했다. 부귀를 뜬구름처럼 여기고 회포를 물외(物外)에 붙였다. 항상 조각배를 타고 물안개 낀 강 위에서 즐겁게 읊조리거나 낚시 바위 위를 배회하며, 물새와 고기를 벗하여 망기지락(忘機知樂)했으니, 그 강호지락(江湖之樂)의 진(眞)을 터득한 것이다.... 사람들이 이를 바라보면 그 아름다움은 신선과 같았다. 아! 선생은 이미 그 진락(眞樂)을 얻은 것이다.” 『도산전서』 ‘서어부가후(書漁父歌後)’ |
윤선도 선생 ‘어부사시사’ 서문 “ -----------------------------------------------------
우리 나라에는 예로부터 ‘어부사’가 있었는데 누구의 작품인지 몰랐다. 어부사는 옛 시의 구절들을 모아 만든 것이었다. 그것을 읊으면 갑자기 강에 바람이 일고 바다에는 비가 와서, 사람으로 하여금 ‘표표(飄飄)’하여 ‘유세독립(遺世獨立)’의 정서가 일어나게 하였다. 이런 까닭으로 농암 선생께서 좋아하셨으며, 퇴계 선생께서도 탄상해 마지 않으셨다.” 『고산유고』 ‘어부사시사발(漁父四時詞跋)’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