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토록 애절한 해금김정림의 서도소리 해금교본저자김정림출판지금풍류 | 2024.5.31.페이지수176 | 사이즈 210*297mm판매가서적 18,000원
책소개
음악은 악보를 통해 음악적 정보를 기록하게 되는데, 음악을 듣고 악보로 적는 것을 채보라 한다. 민요는 음악적 정보의 변화가 많은 비고정적 음악이기 때문에, 악보에 민요의 모든 음악적 정보를 담아낼 수는 없다. 동일한 민요일지라도 가창자마다 조금씩 다르며, 같은 가창자도 부를 때마다 조금씩 달라질 수 있다. 그런데 채보는 그 가운데 어느 한 가지 상황만을 기록할 뿐이다. 그러므로 악보화 된 민요는 해당 민요의 전부를 보여주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악보에는 정확한 시김새가 들어가 있지 않으며, 오히려 골격에 해당하는 음만 간결하게 적혀 있다. 시김새와 같은 꾸밈의 영역은 개인적인 차원에서 즉흥적으로 달라질 수 있으므로 악보화하여 한 가지만 전승하는 것이 불합리하다. 따라서 악보를 지나치게 자세히 적어 그러한 자율성을 없애는 것은 좋지 않다. 결론적으로 본 교재의 채보 악보들은 악보로서의 보편성을 지키면서, 민요의 주요한 특성을 최대한 실제에 가깝게 담아내고자 하는 목적으로 만들어졌다. 본 교재를 참고하여 선율 진행 방식과 리듬의 변주, 다양한 시김새 표현 등의 어법들을 추가로 학습한다면 민요 연주의 깊은 맛을 한층 더 살릴 수 있을 것이다.
이 악보집은 『서도민요 교본Ⅰ』을 재편집하고 잡가와 수심가를 더해 서도소리 학습에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서도민요 문화재 김광숙 명인과 유지숙 명인의 음원을 채보하였으며 음반이 없는 노래는 직접 선생님을 찾아가 녹음하여 발췌하였다. 이 악보를 채보하는 데 있어 우선적으로는 창자의 가락을 충실히 담을 수 있도록 노력하였고, 표현상에 다소 차이가 있더라도 해금으로 연주할 수 있는 가락을 상세히 기록하여, 이론적인 면보다는 해금 주법의 실질적인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출처 : 인터넷 교보문고
저자
김정림
저자 : 김정림
국립국악원 민속단 지도단원
서울대학교 강사
평안남도 무형문화재 제2호 향두계놀이 이수자
서울시 무형문화재 제44호 삼현육각 해금 이수자 및 보존회장
(사) 경기 향제줄풍류 보존회 이사
(사) 지영희류 해금 산조 보존회 부회장
〈학력〉
이화여자대학교 음악대학원 음악학박사(D.MA) (2008.08)
이화여자대학교 음악대학원 석사 (1995.02)
추계예술대학교 국악과 졸업 (1992.02)
국립전통예술고등학교 졸업
〈음반〉
2023 포항 AI 風流 위상수학과 인공지능으로 만든 우리 음악, 도드리
2016 김정림 해금독주곡8 〈樂〉 -(주)조은뮤직-
2016 김정림 해금독주곡7 〈산조와 풍류〉 -(주)조은뮤직-
2011 김정림 해금독주곡6 〈서용석류 해금산조〉 -신나라레코드-
2010 김정림 해금독주곡5 〈김영재류 해금산조〉 -신나라. 다다미디어-
2008 김정림 해금독주곡4 〈가즌회상〉 -다다미디어-
2007 김정림 해금독주곡3 〈해피해금〉 꿈벗꽃길 -서울레코드-
2004 김정림 해금독주곡2 〈산조와 풍류〉 -예전미디어-
2002 김정림 해금독주곡1 - 서울음반-
1997 Sound Space 시리즈 〈젊은산조4〉 -삼성뮤직-
〈논문/저서〉
"취타계열음악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3.
"경기지역 향제 줄풍류의 선율적 특징과 보존가치: 국악원 줄풍류의 해금선율과 비교연구." 해외학술지, 필리핀대학. 2015.
"초등학교 음악교과서에 수록된 우리나라 민요에 대한 연구" ,한국국악교육학회, 2014.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음악교과서의 민속기악 감상곡 내용분석" ,한국국악교육연구학회, 2014.
"취타계열음악연구: 유예지 이후 현행까지", 국악과 교육 제26집, 2008.
〈교본집〉
2024. 홍옥미, 김정림 저, 『산조와 풍류 해금교본』
2024. 김정림 저, 『이토록 애절한 해금 - 김정림의 서도소리 해금교본』
2020. 김정림 저, 『해금교본 남도민요』
2020. 김정림 저, 『민속악교본』
2013. 김정림 저. 『김정림의 해금 창작곡 교본 II』
2011. 김정림 저, 『해금교본 경기민요』
2011. 김정림 저, 『해금교본 서도민요』
2011. 김정림 저, 『김정림의 해금 창작곡 교본 I』
출처 : 인터넷 교보문고
목차
Ⅰ. 민요 개관
1. 민요의 특징
2. 서도민요
3. 서도잡가
4. 민요의 음고 관련 요소
Ⅱ. 선법·음계·토리
Ⅲ. 해금으로 연주하는 서도소리
서도잡가
1. 놀량
2. 앞산타령
3. 뒷산타령
4. 경발림
수심가조
1. 수심가
2. 엮음 수심가
서도민요
1. 긴 아리
2. 자진아리
3. 산 염불
4. 자진염불
5. 연평도 난봉가
6. 호무가
7. 방아 찧기
8. 금다래타령
9. 싸름타령
10. 배치기
11. 긴 난봉가
12. 잦은 난봉가
13. 병신 난봉가
14. 사설 난봉가
15. 느리개 타령
16. 양산도
17. 날 찾네
18. 야월 선유가
19. 간장타령
20. 금드렁 타령
21. 함경도 애원성
22. 잦은 배따라기
23. 술비타령
24. 잦은 술비타령
25. 굼베타령
26. 신경 발림
27. 배꽃타령
28. 봉죽타령
29. 산천가
30. 삼동주 타령
31. 나물타령(끔대타령)
32. 풍구타령 1
33. 풍구타령(토리) 2
34. 애원성
35. 아스랑가
36. 전갑섬 타령
37. 청사초롱
38. 농부가
39. 투전놀이
40. 몽금포 타령
41. 개성 난봉가
42. 오봉산 타령
43. 안주애원성(물레타령)
44. 자진 호미타령
45. 호무타령
46. 평안도 모내기
47. 평안도 자진모내기
48. 황해도 모내기
49. 개성 산염불
50. 개타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