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식 난방 예스맨이 다시 부산 지하철로 출동합니다.
2021년 동시다발적으로 28개 역사 내 휴게실, 침실, 대기실 등을 공사 한 이후
부산교통공단에 저희 예스 온 난방의 제품 규격이 설계에 반영되어
당시 하지 않은 역사 내 개보수 공사가 진행되는 경우 바로바로 달려가야 합니다.
2021년 3월~11월 (일괄 동시 공사)까지 부산지하철 역사 내 건식 난방 보일러 설치공사 소개 블로그
https://blog.naver.com/5154997/222587420089
예스온 "2021년 제 6차 지하철 역사 바닥난방 프로젝트" 〈26 of 27〉 _ 부산 해운대 장산역
안녕하세요? 건식온수바닥난방 전문기업 예스온입니다. 올해 5월부터 서울, 부산,대구의 지하철 역사내 [...
blog.naver.com
<부산지하철 1호선 간단 개요>
1985년 개통한 34개 역사에 2017년 연장된 6개 역을 포함 총 40개 역(노포역~다대포 해수욕장 역)
차량기지 : 노포, 신평차량사업소
길이 : 40.4km
2021년 동시 공사에서 빠진
노포역에서 다대포 방향 3번째 역인 <두실역>에 건식 난방 +전기보일러 설치 현장 소개입니다.
도시철도 노후시설물 개량 건축공사로
숙소, 업무시설, 근로자 편의시설을 개선하는 일환으로 바닥난방을
온수난방 방식의 건식 난방과 전기보일러를 설치하는 공정입니다.
단열성과 습기 냉기에 가장 강한 소재 XPS 표면에 열전도성이 탁월한 알루미늄 포일을 부착한 온수패널을
유동성 방지를 위해 일부를 바닥에 고정합니다.
알루미늄이 결국 난방 호스 엑셀 파이프를 감싸고
냉기나 습기는 고압축 단열 패널이 막아주게 되어
난방 기능을 강화하고 난방 유지비는 감소시켜 줍니다.
난방 온수가 순환되는 난방 배관은 수축을 반복하는데
난방 배관을 고정하는 기능을 하는 온수패널이 고온 수에 접촉되는 패널은 변형이 없어야 하고
쉽게 배관이 이탈되지 않아야 이로 인한 소음 발생이 없습니다.
온수는 술술 흘러 돌고 돌아야 하는데
배관이 좁은 데다가 스케일, 이물질이 구경 속에 들러붙으면 어떻게 될까요?
KS 최소 구경은 내경(반지름) 12mm (1.2cm)
바닥에 까는 자재와 그 위에 덮는 자재 그리고 난방 배관이 상호 접촉이 많이 될수록 꿀렁이지 않고 견고하며
난방률이 높아지게 됩니다.
강판이 닿지 않는 온수패널과 엑셀 파이프는 없습니다.
온수패널의 알루미늄호일과 열전도 강판이 닿지 않는 곳도 없습니다.
고로 "꿀렁일 틈도 없습니다."
전체 바닥에도 동일 강도, 동일 소재 온수패널을 깔았듯이 위에 1mm 열전도 아연도금강판을 모두 덮습니다.
열전도 강판은 난방 배관의 온수의 열을 전달하고
생활가구나 냉장고, 농, 전자제품 등의 하중 물로 난방 배관과 바닥을 견고하게 유지시키는 기능을 합니다.
양 측면으로 분리된 곳에 중앙 부위 공간에 보일러를 설치하는 구조
이제 온수를 가열해서 순환시키는 보일러를 설치하는데
상담 시 많이 물어보시는 전기보일러와 가스보일러에 대한 픽은?
도시가스(LNG)를 사용할 수 있는 환경이라면
가스보일러가 픽 1번이고
도시가스를 사용할 수 없고 누진제 적용을 받지 않는다면 픽 2번으로 전기보일러
도시가스(LNG)를 사용할 수 없는 환경이라면
누진제 적용의 주거용 건축물이라면 픽 1번 기름보일러
픽 2번으로는 LPG 가스보일러
상공업, 공기관, 교육, 종교, 의료 등 전기 요금제 적용은 다르지만 동일한 점 하나는
누진제가 없다는 점이고 반대로 주거용 건축물에는 누진제 적용과 용량 제한까지 있는 게 한국 사정
이곳은 전기보일러를 설치하고 양측 구조로 각방온조조절시스템 분배기를 달아
각자 생활공간에서 온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됩니다.
부산 금정구 도시철도공사 지하철 역사 내 건식 보일러 설치 공사
▣ 공사 내용/면적 : 건식 난방 (25A 공법 / 시공 두께 26mm), 16평
▣ 시공 제품 : 25T 온수패널+내경 12A/외경 16A PE-XL+ 1T 열전도 강판+ 5구 각방 온도 제어시스템 분배기 +
12kw 전기보일러 1대
▣ 공사 특이점 : 양측 분리된 구조에 각 방 3곳과 복도 2곳에 온도조절 시스템
▣시공팀 : 예스 온 본사 2팀
▣ 공사일/장소 : 2025년 4월 6일 당일
두실역 부산1호선
부산광역시 금정구 중앙대로 1927-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