十一. 止汗散
一名敗蒲散. 治睡而自汗.
故蒲扇 燒存性
上爲末. 每服三錢 溫酒調下.
11. 지한산(止汗散)
일명(一名) 패포산(敗蒲散)이니라. 수(睡)하면서 자한(自汗)하는 것을 치료(治)하느니라.
고포선(故蒲扇)(소(燒)하여 존성(存性))
가루 내고 매 3전(錢)을 복용하니 온주(溫酒)에 조(調)하여 하(下)하느니라.
十二. 調元散
治小兒變蒸 脾弱不乳 吐乳多啼.
人蔘 白朮 陳皮 厚朴(製) 香附 各一錢 炙甘草 藿香 各五分
上每服一二錢 薑 棗煎服.
12. 조원산(調元散)
소아(小兒)의 변증(變蒸)이나 비약(脾弱)으로 불유(不乳) 토유(吐乳) 다제(多啼)하는 것을 치료(治)하느니라.
인삼(人蔘) 백출(白朮) 진피(陳皮) 후박(厚朴)(제(製)) 향부(香附) 각 1전(錢) 자감초(炙甘草) 곽향(藿香) 각 5분(分)
매 1~2전(錢)을 복용하니 생강(生薑) 대조(大棗)를 넣고 달여 복용하느니라.
十三. 平和飮子
治小兒變蒸 於三月後 每三日進一服 可免百病 百日內宜服.
人蔘 一錢半 白茯苓 一錢 炙甘草 五分 升麻 二分
上咀 水半盞 煎三分. 不時服. 弱者加白朮一錢.
13. 평화음자(平和飮子)
3개월 후의 소아(小兒)의 변증(變蒸)을 치료(治)하니, 매 3일에 일복(一服)을 진(進)하면 백병(百病)을 면(免)할 수 있느니라. 100일 내에 마땅히 복용하여야 하느니라.
인삼(人蔘) 1전반(錢半) 백복령(白茯苓) 1전(錢) 자감초(炙甘草) 5분(分) 승마(升麻) 2분(分)
썰어서(:咀) 물 반잔(半盞)에 달여 3분(分)이 되면 불시(不時)에 복용하느니라.
약(弱)하면 백출(白朮) 1전(錢)을 가하느니라.
十四. 調氣散
治變蒸吐瀉 不乳多啼 欲發慢驚.
人蔘 陳皮 木香 藿香 香附 炙甘草 各一錢
上爲末. 每服一錢 薑 棗 水煎服.
14. 조기산(調氣散)
변증(變蒸)으로 토사(吐瀉) 불유(不乳) 다제(多啼)하여 만경(慢驚)을 발(發)하려는 것을 치료(治)하느니라.
인삼(人蔘) 진피(陳皮) 목향(木香) 곽향(藿香) 향부(香附) 자감초(炙甘草) 각 1전(錢)
가루 내고 매 1전(錢)을 복용하니 생강(生薑) 대조(大棗)를 넣고 물에 달여 복용하느니라.
十五. [錢氏]當歸散
治夜啼不乳.
人蔘 當歸 白芍藥 各二錢半 灸甘草 錢二分 桔梗 陳皮 各一錢
上每服一二錢 水煎灌之.
15. [전씨]당귀산([錢氏]當歸散)
야제(夜啼) 불유(不乳)를 치료(治)하느니라.
인삼(人蔘) 당귀(當歸) 백작약(白芍藥) 각 2전반(錢半) 구감초(灸甘草) 1전(錢) 2분(分) 길경(桔梗) 진피(陳皮) 각 1전(錢)
매 1~2전(錢)을 복용하니 물에 달여 관(灌)하느니라.
十六. [撮要]當歸散
治變蒸有寒無熱.
當歸 二錢 人蔘 炙甘草 木香 官桂 各一錢
上每服二三錢 薑 棗 水煎.
16. [촬요]당귀산([撮要]當歸散)
변증(變蒸)으로 유한(有寒) 무열(無熱)을 치료(治)하느니라.
당귀(當歸) 2전(錢) 인삼(人蔘) 자감초(炙甘草) 목향(木香) 관계(官桂) 각 1전(錢)
매 2~3전(錢)을 복용하니 생강(生薑) 대조(大棗)를 넣고 물로 달이느니라.
十七. 人蔘黃連散
治心經蘊熱夜啼.
人蔘 二錢半 黃連 錢半(炒) 炙甘草 五分 竹葉 二十片
上薑 水煎服.
17. 인삼황련산(人蔘黃連散)
심경(心經)의 온열(蘊熱)로 야제(夜啼)하는 것을 치료(治)하느니라.
인삼(人蔘) 2전반(錢半) 황련(黃連) 1전반(錢半)(초(炒)) 자감초(炙甘草) 5분(分) 죽엽(竹葉) 20편(片)
생강(生薑)을 넣고 물에 달여 복용하느니라.
十八. 無擇燈花散
治心躁夜啼.
燈花 二三顆
上硏細 用燈草煎湯調塗口中 乳汁送下 日三服. 一法用燈花塗乳上 令兒吮之. 如無燈花 用燈草燒灰 加辰砂少許亦妙. 一法用燈花七枚 硼砂一字 辰砂少許 蜜調塗脣上 立安.
18. 무택등화산(無擇燈花散)
심조(心躁) 야제(夜啼)를 치료(治)하느니라.
등화(燈花) 2~3과(顆)
세(細)하게 연(硏)하고 등초(燈草)의 달인 탕(湯)에 조(調)하여 구중(口中)에 도(塗)하며 유즙(乳汁)으로 송하(送下)하느니라. 하루에 3번 복용하느니라.
일법(一法): 등화(燈花)로 유상(乳上)에 도(塗)하고 아(兒)로 하여금 연(吮)하게 하느니라. 등화(燈花)가 없으면 등초(燈草)를 소(燒)한 회(灰)로 하니, 진사(辰砂) 소허(少許)를 가하여도 묘(妙)하느니라.
일법(一法): 등화(燈花) 7매(枚) 붕사(硼砂) 1자(字) 진사(辰砂) 소허(少許)를 밀(蜜)에 조(調)하여 순상(脣上)에 도(塗)하면 즉시 안(安)하느니라.
十九. [寶鑑]天麻散
治小兒急慢驚風 發熱抽搐 痰涎壅盛 或脾土虛弱 肝木乘侮 吐瀉不食 嗜臥困倦.
半夏 七錢 天麻 二錢半 甘草炙 白茯苓 白朮 各三錢
上爲末. 每服一二錢 薑棗湯調服.
19. [보감]천마산([寶鑑]天麻散)
소아(小兒)의 급경풍(急驚風) 만경풍(慢驚風)으로 발열(發熱) 추축(抽搐)하고 담연(痰涎)이 옹성(壅盛)하거나 비토(脾土)의 허약(虛弱)으로 간목(肝木)이 승모(乘侮)하여 토사(吐瀉) 불식(不食)하고 기와(嗜臥) 곤권(困倦)하는 것을 치료(治)하느니라.
반하(半夏) 7전(錢) 천마(天麻) 2전반(錢半) 감초(甘草)(자(炙)) 백복령(白茯苓) 백출(白朮) 각 3전(錢)
가루 내고 매 1~2전(錢)을 복용하니 강조탕(薑棗湯)에 조(調)하여 복용하느니라.
二十. [湯氏]異功散
止渴 消暑 生津 補脾胃.
猪苓 澤瀉 各三錢 人蔘 白朮 茯苓 各五錢 陳皮 二錢半 硃砂 一錢
上爲末 蜜丸 芡實大. 每服一丸 燈心竹葉湯化下.
20. [탕씨]이공산([湯氏]異功散)
지갈(止渴) 소서(消暑) 생진(生津)하고 비위(脾胃)를 보(補)하느니라.
저령(猪苓) 택사(澤瀉) 각 3전(錢) 인삼(人蔘) 백출(白朮) 복령(茯苓) 각 5전(錢) 진피(陳皮) 2전반(錢半) 주사(硃砂) 1전(錢)
가루 내고 밀(蜜)로 환(丸)을 감실(芡實) 크기로 만드느니라. 매 1환(丸)을 복용하니 등심(燈心) 죽엽(竹葉)의 탕(湯)에 화(化)하여 하(下)하느니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