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外感
#1. 風
【中風】은 卒倒하니, 眞 似를 分하여야 하느니라.
風은 百病의 長이고 善行하며 數變하느니라.
(풍에) 卒中하면 昏倒하거나, 竄視 喎僻하거나, 搐搦 反張하거나, 或 寒中이 되거나, 或 熱中이 되거나, 或 癘風이 되니라.
(풍이) 陽經에 入하면 狂하고, 陰經에 入하면 癲하며, 皮膚에 入하면 痒하고, 筋에 入하면 攣急하며, 骨節에 入하면 疼痛하고, 肉分에 入하여 衛氣과 相搏하면 不仁하며, 榮氣와 相搏하면 半身不遂하고, 經에 入하면 癱瘓하고, 絡에 入하면 膚頑하며, 腑에 入하면 곧 不識人하고, 臟에 入하면 곧 舌强 吐沫하니라.
(풍이) 熱을 挾하면 痿緩하고, 寒을 挾하면 拘攣하며, 濕을 挾하면 腫滿하니라.
直中이 있고, 兼中이 있으며, 似中이 있느니라.
陽病은 身熱하고 陰病은 身凉하니라.
烏 附는 行經하니 槪用하면 不可하니라.
口眼이 喎斜하고 語話가 難하니라.
風邪가 初에 入하면 도리어 緩하게 하고 正氣가 도리어 急하여 牽引하니 口眼喎僻가 或左 或右하니라.
急히 人中을 搯(도:두드리다)하고 頂髮을 拔하며 耳垂珠에 粟米大의 艾 三五壯으로 灸하니라.
外用으로는 南星 草烏 各一兩 白芨 一錢 殭蠶 七枚를 가루내고 薑汁에 調하여 喎處에 塗하니 正하면 곧 洗去하니라.
內用으로는 正舌藥인 白附子 殭蠶 全蝎을 等分하여 가루내고 酒에 調하여 二錢을 服하니라.
○ 不語에는 數 端이 있느니라.
風이 心脾에 中하면 資壽解語湯으로 하느니라. 風이 心經에 中하면 小續命湯 去 桂 附 加 菖蒲로 하느니라. 痰이 心竅에 塞하면 導痰湯 加 菖蒲 人蔘 竹茹 或 芩 連으로 하느니라. 舌本이 强硬하여 語言이 不正하면 蝎梢 二錢半 茯苓 一兩 薄荷 二兩을 用하여 가루내고 酒에 調하여 二錢을 服하느니라. 或 擦牙하면 더 妙하느니라. 또한 風熱이 壅한 경우도 있고, 血虛 氣虛한 경우도 있으며, 腎虛나 老人이 忽하게 言不出하는 경우도 있는데, 十全大補湯 去 桂 加 菖蒲 遠志로 하느니라.
痰이 喉中에 塞하여 聲이 噫噫하고
上과 同하게, 卒倒 喎斜 不語하는 것을 風癔이라 名하느니라. 身軟 有汗하면 生하고 汗不出 身直하면 死하니라.
痰은 水에서 化하니 火로 制하니 心竅를 閉塞하면 不語하느니라.
熱이면 凉膈散 加 黃連이나 或 牛黃淸心丸으로 하고 虛하면 星香散 三生飮 導痰湯 小省風湯으로 하느니라.
半身(或은 一肢만)이 不遂하거나 (이를 偏枯라 名하니, 言가 不變하고 智가 不亂하며 病이 膚腠之間에 在하는 것이니라. 溫하게 臥하여 取汗하니라.) 四肢가 癱하느니라.
이를 風痱라 名하느니라. 智가 亂하여 不能言하면 難治이니라. 그 證은 身體가 無痛하되 緩하면 四肢가 不擧하며 急하면 一身이 모두 仰하여 或 左癱 右瘓하거나 或 一臂가 不遂하다가 時로 다시 一臂로 轉移하느니라.
去風化痰 調氣養血을 主로 하니 換骨丹 黑虎丹 神仙飛步丹으로 하느니라.
脾가 實한 경우가 있으니 膏梁의 疾이며, 肝腎의 虛痿가 아니며, 搜風順氣丸으로 하느니라.
脾가 虛한 경우가 있으니, 十全大補湯 獨活寄生湯 萬寶回春湯으로 하느니라.
또한 五痺가 있으니 風의 狀과 類하고
後를 見할지니라.
四證(風癔 風痱 偏枯 痺風)이 全無하면 浪猜하지 말지니라.
中暑 中寒 中濕 痰厥 氣厥 食厥 熱厥 虛暈 等證은 모두 卒倒 不語하지만, 但 風은 必히 喎斜 搐搦의 證이 있는 것이 異하느니라.
비록 內傷에 兼中하여도 그러하지만, 但 四證에서 一이라도 見하면 곧 風으로 作하여 治하여야 하느니라. 오직 輕重 緩急의 分이 있느니라.
輕하면 發이 過하면 如故하느니라.
或 口舌에 無恙하고 手足이 顫拽하면 大省風湯 加 人蔘 沒藥 等分하여 水煎하여 熱服하니 得汗하면 卽愈하느니라. 或 四肢에 無恙하고 口喎 語澁하면 古防風湯에 麝 一釐를 入하여 調服하느니라. 或 自醒하고 能言 能食하고 오직 身體가 不遂하면 地仙丹으로 하느니라.
西北(風이 高하니라)에는 直中하니, 마땅히 分治하여야 하고,
冬南(地가 濕하니라)에는 兼中(似中)하니, 實虛를 審하여야 하느니라.
主火(河間)하거나 主氣(東垣)하거나 或 主濕(丹溪)하는데
內傷의 兼中 似中이 盡으로 相須하느니라.
三子의 主하는 바는 비록 殊하나 實은 同하니라.
濕하면 中氣하고, 이것이 不運하면 痰을 生하느니라. 痰은 火로 因하여 動하여 風을 生하고, 이는 또한 二子의 見을 兼하니라.
氣가 衰하면 賊邪가 容易하게 襲하고
氣血이 壯盛하고 腠理가 緻密하면 邪가 能히 不入하느니라. 오직 中年에 氣血이 始衰하고 腠理가 空疎한데다 七情 勞役 飮食으로 元氣를 內傷한 것이 加하여지므로 門巷의 賊風이 乘虛하여 臟腑 血脈을 襲入하느니라. 故로 兼中하는 경우가 있으니, 東垣이 謂하기를 '外邪가 徑傷한 것이 아니라 本氣의 病이다'하느니라.
醉後에 當風하여 頭面多汗 善渴하는 것을 名하여 漏風이라 하니 마땅히 黃芪六一湯 加 蔘 朮 牡蠣 乾葛로 하느니라. 房勞로 中風하여 下體가 多汗하는 것을 內風이라 하니, 十全大補湯 加 附子 防風하느니라. 風府로 入한 것을 腦風이라 하느니라. 係頭(계: 목계?)로 入한 것을 目風이라 하느니라. 腠理에 재하는 것은 洩風이니, 漏風과 同하되 단지 身이 盡疼할 뿐이니라. 久하면 腸風이 되니라. 食後에(화장실 직행하면)는 胃風이라 하고 또한 挾食中風이라 名하며, 久하면 下血하느니라. 傷食이 變하여 暴厥이 되니, 또한 中風과 類하는데, 但 停食하면 胸中이 滿悶하며, 반드시 探吐나 理脾胃하여야 하느니라. 酒濕의 病도 中風과 類하니 마땅히 分하여 消하므로 濕毒을 瀉하여야 하느니라.
內傷의 熱證으로 中風과 似하는 경우가 있고, 雜病의 虛證으로 中風과 似하는 경우가 있으니, 모두 風으로 治하면 不可하니라.
火가 動하여 氣에 中하면 涎汚가 없느니라.
中氣는 脈沈 身凉 無痰涎하는 것이 異할 뿐이니라. 思慮로 肉이 脫하고 憂愁로 肢가 廢하며 悲哀로 筋이 攣하고 過喜로 皮가 槁하며 盛怒로 腰이 膌하니, 즉 河間이 謂한 '將息을 失宜하고 五志가 過極하면 心火가 暴甚하니 腎水가 難制하여 熱氣가 拂鬱하니, 昏倒하고 筋骨이 不用하며 久하면 癱瘓하니라' 이니라.
風藥의 服을 忌하느니라. 마땅히 藿香正氣散 合 星香散으로 하느니라. 虛하면 八味順氣散으로 하고, 實하면 四七湯으로 하느니라.
直中에서 中腑하면 四肢에 著하고
手足이 拘攣하느니라.
或 身前 身後 身側에 中하면 可히 治하느니라. 脈浮하면 表가 있는 것이니, 面에 五色이 見하고 惡寒하면 마땅히 小續命湯 或 排風湯으로 하니 風이 汗으로 散하며, 通因通用이 이것이니라. 만약 脈浮 不語하면 防風 黃芪를 用하여 煎한 水 一桶을 床下에 置하고 鼻中으로 薰入하기를 良久하면 능히 言하니, 이에 藥을 進하느니라.
中臟하여 (九)竅를 (閉)塞하면 昏危가 多하느니라.
臟의 絡을 中하면 口眼이 모두 閉하니, 可히 治하느니라. 만약 臟으로 深하게 入하였을 때, 心絶하면 口開하고, 肝絶하면 眼閉하며, 脾絶하면 手散하고, 肺絶하면 痰如拽鋸 鼾睡하며, 腎絶하면 遺尿하느니라. 或 大吐 大瀉 下血 吐血하는 者는 모두 死하느니라.
마땅히 三化湯 搜風順氣丸 麻子仁丸으로 하느니라.
대개 攻裏에는 腦麝 牛黃을 忌하니, 風을 引하여 骨로 入하고 芫花 甘遂를 忌하니 氣血을 損傷하느니라. 만약 汗多 尿少하면 滲利를 忌하니, 榮이 竭하여 制火하지 못하여 煩熱이 더욱 甚하게 되므로, 熱이 退하고 汗이 止하여 小便이 自利하기를 候하여야 하느니라.
中血脈(中絡)하면 口眼이 喎하니라.
或 腑에 近하고 外로도 六經의 形證이 있으면 小續命湯 加減으로 微汗케 하느니라. 或 臟에 近하고 內로도 便溺의 阻隔이 있으면 三化湯 加減으로 微利케 하느니라.
또한 中經이 있으니 또한 要知하여야 하느니라.
內(便溺의 阻隔이 없고) 外로 證(六經의 形證)이 없으면 中으로 治하고
汗 下는 不可하느니라. 대개 風은 熱에 本하니 熱이 勝하면 風이 動하느니라.
마땅히 養血하여 勝燥하니 大秦艽湯으로 하되 經을 分하여 加減하느니라. 或은 天麻丸 羌活愈風湯으로 하느니라.
만약 微汗하려면 愈風湯 加 麻黃으로 하고, 微利하려면 愈風湯 加 大黃으로 하느니라.
中腑은 비록 마땅히 汗하여야 하나 汗이 多하면 亡陽하느니라. 中臟은 비록 마땅히 下하여야 하나 下가 多하면 亡陰하느니라.
만약 臟腑가 兼見하면 或 先으로 汗하고 後에 利하느니라. 或 表裏를 兼攻하려면 防風通聖散으로 하느니라.
口不能言하고 肢不持하느니라.
手足으로 不能運動하는 것은 血이 弱하여 筋과 舌을 營하지 못하는 것이니라.
左는 死血(死血이 經絡에 留滯)과 少血이고
四物湯에 防風 羌活을 少加하여 主하고, 瘀血은 加 桃仁 紅花하느니라.
痰과 氣虛는 身의 右에 居하느니라.
血虛하면 痰火가 左로 流注하여 癱이 되고 氣虛하면 痰火가 右로 流注하여 瘓이 되니라.
急治하면 愈하고 久하여 痰火가 鬱結하면 難治이니라.
痛하면 實이니, 先으로 二陳 省風의 類로 治痰한 後에 防風通聖散 瀉靑丸의 類로 瀉火하느니라.
不痛하면 虛이니, 血虛하면 四物湯을 모두 薑汁으로 炒하고 加 竹瀝 薑汁하여 하느니라.
肥人은 濕痰이니, 附子를 少加하여 行經케 하느니라.
瘦人은 火動이니 加 黃柏하느니라.
氣虛하면 四君子湯으로 하고 虛가 甚하여 遺尿 聲鼾睡하면 濃煎한 蔘 芪에 加 附子 薑汁하여 하느니라. 勞에 傷하면 補中益氣湯 加 竹瀝으로 하니 兼하여 右瘓을 治하느니라. 痰이 盛하면 二陳湯 加 薑汁 竹瀝으로 하고 能食하면 換 荊瀝하느니라.
이상은 丹溪의 雜病 通法이니라.
通治(南北)는 開關하고 化涎沫하며
開關散을 吹鼻하여 有嚔하면 可히 治하나 無嚔하면 死하느니라.
牙關緊急으로 入藥이 不得하면 南星 五分 龍腦 一字를 用하니 端午日 午時에 合하고 每 一字에서 五分을 用하여 擦牙하니 熱하면 自開하느니라.
痰이 甚하면 마땅히 虛實을 量하여 吐하게 하니, 虛하면 稀涎散으로 微微하게 冷涎을 吐出케 하느니라. 實하면 瓜蒂를 炒黃한 가루 五分이나 或 一錢에 全蝎 가루 半分을 넣고 鼻中에 吹入하면 立吐하느니라. 만약 不吐하면 酸虀汁에 調하여 下하느니라. 만약 다시 不吐하면 熱虀汁을 用하여 投하느니라. 이 藥은 輕用하면 不可하느니라. 吐한 後에 마땅히 降火利氣 安神定志하는 藥을 服하여야 하느니라.
吐法은 傷寒을 見할지니라.
但 中風에 大吐하여 涎이 出하고 久하면 手足骨節이 모두 枯하게 되어 轉動 滑利가 不能하느니라. 藥으로 壓下하여야 다시 骨節로 歸하는 것이 可하느니라. 小兒의 驚搐에도 그러하느니라.
順氣 活血하면 風이 自祛하니라.
風證은 모두 痰이 患이 된 것인 故로 治는 開關 化痰을 爲先으로 하느니라. 急하면 祛風하고 緩하면 順氣하며 久하면 活血하느니라.
만약 眞氣가 漸復하고 痰飮이 漸消하거나 或 風邪가 있어 未退하면 羌活愈風湯으로 調하느니라. 實하면 川芎茶調散으로 하느니라. 虛하면 萬寶回春湯으로 하느니라. 可히 全으로 風으로 治하면 안되니라.
抑하여 論하건대 舊에는 西北에는 風高하니 眞中하므로 마땅히 臟腑 經絡을 分하여 調治하느니라. 冬南은 地濕하여 兼中 似中하니 마땅히 氣血의 虛實과 痰火의 多少를 分하여 調治하느니라. 그러나 眞中 兼中은 南北에 互有하고 또한 臟腑를 治하려면 可히 氣血의 虛實을 分하지 않겠는가? 氣血을 治하려면 또한 可히 臟腑 經絡의 邪의 多少를 分하지 않겠는가?
대저 外感이 重하고 內傷이 輕하면 先으로 반드시 表裏를 分하는 法으로 하여 祛風을 爲主로 하고, 그 次에 氣血痰을 調治하는 法으로 하느니라.
內傷이 重하고 外感이 輕하면 先으로 氣血痰을 調補하는 法을 爲主로 하고 그 次에 臟腑 經絡을 分하여 祛風하느니라.
이는 活法이니라.
만약 膚頑 肌蠕動을 覺하면
대개 手足麻木 肌肉蠕動 如有蟲行 心神憒亂을 覺하면 마땅히 烏藥順氣散으로 하느니라.
만약 眉稜骨痛하면 風의 兆이니 마땅히 古防風湯 加 芩 連으로 하느니라.
預防의 法을 또한 堪推하여야 하느니라.
禦風丹 五蔘散 史國公浸酒方 單稀薟丸으로 하느니라.
【冒風】하면 惡風하니 肺에 多屬하고,
肺는 主皮毛하고 通膀胱하니 最로 易하게 感冒하며, 新으로 咳嗽 惡風 鼻塞 聲重 噴嚔하는 것(☞전신이 아니고 폐 기관지에만 나타나는 증상)이 그것이니라. 柴胡半夏湯 蔘蘇飮으로 하느니라.
寒月에는 麻黃杏仁飮으로 하느니라. 重하면 頭疼 身痛 寒熱 咽乾 音啞하니 柴胡桂枝湯 防風沖和湯으로 하느니라. 頭痛이 甚하면 川芎茶調散으로 하느니라. 痰多하면 金沸草散으로 하느니라.
熱을 挾하면 人蔘敗毒散 升麻葛根湯으로 하느니라. 寒을 挾하면 十神湯으로 하느니라. 寒濕을 挾하면 消風百解散으로 하느니라. 濕을 挾하면 神朮散으로 하느니라. 暑를 挾하면 香葛湯으로 하느니라.
時行에는 柴胡升麻湯으로 하느니라.
挾內하면 愼하니, 專으로 攻外하지 말지니라.
服食이 過厚하고 素에 痰火가 있어 時常으로 鼻塞 流涕 聲重 咳嗽하고 略으로 外感하면 甚해지니, 防風通聖散이나 或 大黃 黃芩을 等分하여 丸으로 만들고 白水로 下하느니라.
素에 虛하면 단지 防風 羌活 川芎을 用하니 宜한 바를 隨하여 補藥 痰藥 中에 加入하느니라.
傷食에는 加 白朮 陳皮 靑皮 山査 麥芽하느니라. 形寒 飮冷을 挾하면 加 薑 桂하느니라. 房勞를 挾하면 加 蔘 朮 歸 地하느니라. 勞役으로 傷氣를 挾하면 補中益氣湯 加 羌活 防風으로 하느니라. 風의 虛가 甚하면 羌活丸 加味烏荊丸으로 하느니라.
重하면 傳變하고, 輕하면 不傳하느니라.
風이 重하면 裏로 傳하니 傷寒의 治法과 一同하니라.
久甚하면 能히 氣血의 害가 되니라.
風은 능히 燥血 散氣하는 故로 古에서는 桂附 八物 等湯을 用하느니라. 久하여도 不愈하면 단지 마땅히 三白湯에 加減하여 斂하느니라.
切忌할 것은 疎泄하는 것이니라. 비록 初起하여도 寒月의 無汗이 아니면 麻黃은 禁用하니라.
#2. 寒
【中寒】하면 無汗하고 肢僵仆하니
傷寒은 循經하여 漸入하고 中寒은 冬夏를 不問하고 或 當風한데 取凉하거나 或 坐地하여 受冷하므로 肅殺之氣가 皮膚에서 臟腑로 卒入하여 昏倒 四肢拘攣 强直 厥冷하느니라. 中風과 相似하니 牙緊 四肢不動하는 것이 異할 뿐이니라. 急히 蔥餠을 用하여 熨臍하고 아울러 氣海를 灸하니 手足이 溫煖하면 生하느니라. 만약 極冷하고 脣靑 厥逆 無脈 舌一捲縮하면 須臾에 卽死하느니라.
急히 三陰을 分하고 下元을 煖하여야 하느니라.
倉卒하여 經絡을 分하기가 難하면 急히 薑 附 理中을 煎하여 救하고 그 次에 中脘의 疼痛을 審하느니라.
太陰에 中하면 理中湯으로 하느니라. 脈沈 足冷하여 少陰에 中하면 四逆湯 加 吳萸로 하느니라. 或 臍腹疼痛하면 五積散 加 五味子로 하느니라. 陰盛 煩躁하면 熱藥을 冷飮하거나 或 몇 凉藥을 加하여 引하느니라.
溫中 散冷하고 下元을 補煖하여 陽氣가 復하면 寒이 自消하느니라.
切忌할 것은 吐下이니라.
方에 補血을 兼하는 것은 寒이 泣血하는 故이니라.
感冒는 尋常으로 하니 表裏를 和하고
西北는 苦寒하여 中傷하는 者가 多하고 東南은 溫和하여 中傷하는 者가 少하느니라.
尋常의 感冒에서 表證이 見하면 九味羌活湯 芎芷香蘇散으로 하느니라. 寒이 腸胃에 入하여 霍亂 轉筋 洞泄下利 乾嘔吐逆하면 藿香正氣散이나 或 五積散으로 하느니라. 挾食 停痰하면 人蔘養胃湯으로 하느니라. 夏秋의 暴寒으로 裏로 折熱하면 調中湯으로 微下하느니라.
대개 帶漏 遺精 痎瘧 疝瘕 脚氣 腰膝冷 虛勞 陰痿 諸痛은 모두 寒의 所爲이니라. 挾風하면 眩暈 不仁하고 挾濕하면 四肢腫痛하느니라.
內傷에는 補益에 辛溫을 加하니라.
內傷勞役에 感寒하여 困倦하면 補中益氣湯 加 薑 附로 하느니라.
內傷生冷에 感寒하여 腹痛 脈脫하면 附子理中湯으로 하느니라.
內傷房室에 感寒하여 厥冷하면 四逆湯으로 하고, 脈脫하면 三建湯과 煉臍法으로 하느니라.
#3. 暑
【暑】는 熱 汗 渴하니 實虛를 審하여야 하고
暑病은 身熱 自汗 口渴 面垢할 뿐이니라. 餘證은 모두 後의 傳變이거나 或 內傷을 兼한 것이니라.
必히 先으로 그 人이 素에 虛하거나 胃가 弱하거나 或 大病 大勞 後에 暑에 縱하여 中 傷하였는지를 問하여야 하느니라. 마땅히 淸暑 益氣하여야 하느니라.
素에 强盛 壯實하여 虛損의 病이 없었으면 마땅히 祛暑 和中하여야 하느니라.
陰陽 經絡과는 最로 難拘하니라.
高堂 大厦에 靜居하다가 得病하면 熱證과 似하고 心脾經에 屬하니 中暑 陰證이라 名하니라.
田野 道途에 動作하다가 得病하면 傷風證과 似하고 膀胱經에 屬하니 中暍 陽證이라 名하느니라.
그 實은 一이니라. 但 暑氣가 自襲한 것을 言하여 中暑라 하고, 日逼에 自被한 것을 言하여 中暍이라 하느니라.
그러나 暑가 初入하는 것은 口鼻 牙頰에서 手에 達하니, 心은 主胞絡하고 火로 火를 從하느니라. 故로 古法에서는 暑에 冷水를 取하여 灌漑하되 嚥하지는 않으니라.
肝에 入하면 眩暈 頑麻하고 脾에 入하면 昏睡 不覺하며 肺에 入하면 喘咳 痿躄하고 腎에 入하면 消渴하니, 專으로 心만 主하고 傳入이 없는 것은 아니니라.
中(驟)傷(緩) 冒(淺)伏(深)은 輕重을 分하여야 하고
中暑하여 心으로 歸하면 神昏 卒倒하느니라. 傷暑하여 肉分으로 가면 周身煩躁 或如針刺 或有赤腫하느니라. 대개 天氣는 地表로 浮하는 故로 人의 氣도 또한 肌表로 浮하느니라.
冒暑하여 腸胃에 入하면 腹痛 惡心 嘔瀉하느니라. 伏暑는 즉 冒暑가 久하여 三焦 腸胃之間에 藏伏한 것이니라. 熱은 傷氣하되 不傷形하므로 旬月에 覺하지 못하다가 變하여 寒熱不定 霍亂吐瀉 膨脹中滿 瘧痢煩渴 腹痛下血 等證으로 出하느니라.
但 暑病은 多하게 無身痛하고 間으로 痛이 있으니, 或 澡浴으로 그러하니 水濕이 相搏하는 것이니라.
暑風 暑厥은 또 어떠한가?
즉 暑暍證이니라. 但 手足搐搦은 風이고 手足逆冷은 厥이니라.
厥과 傷寒의 熱厥은 義가 同하니, 黃連香茹散으로 하느니라. 暑風 및 勞役으로 五臟之火를 內動하여 外火와 交熾하면 金衰 木旺하여 生風하니, 香茹散 加 羌活로 하거나 或 六和湯 合 消風散으로 하느니라. 素에 痰飮이 있는데 暑로 인하여 觸動하여 痰熱로 生風하면 六和湯 合 星香散으로 하느니라.
道途에서 卒倒하면 湯藥이 不便하니, 氣脫하여 難治할까 恐하느니라. 急히 陰凉한 處로 扶하고 濕冷한 地에 臥하는 것은 不可하며 道上의 熱土를 掬하여 臍上에 放하고 撥開하여 竅를 作하고 人이 그 中에 尿하며 待하다가 生薑이나 或 蒜을 求하여 嚼爛하고 熱湯이나 或 童便으로 送下하느니라.
外用은 布를 熱湯에 蘸하고 氣海에 熨하면 立醒하느니라. 이 後에도 더욱 冷水를 飮하는 것은 不可하니, 大劑의 滋補藥을 服하느니라.
만약 心神恍惚하면 五苓散 燈心을 同煎하고 朱砂 가루를 調服하느니라. 有汗하면 加 黃芪하느니라. 酒가 暑를 引하여 腹으로 入하므로 因하여 尿血하면 去 桂 加 黃連하느니라. 或 神昏 驚悸 妄言하면 益元散을 用하고 量하여 加 朱砂하여 新沒水에 二錢을 調服하니 降胃火 治煩熱하고 利濕 止渴하는 要藥이니라.
痰火나 絞腸에는 모두 가히 吐하고
暑毒 痰火가 胸中에 窒塞하면 體의 虛實을 量하여 吐하게 하느니라. 火鬱에는 發한다는 義이니라. 만약 痰喘 氣急 痞塞하여 入藥이 不得하면 急히 六和湯을 煎하고 麝 二釐를 調하여 服하니라.
○ 絞腸砂는 腹痛不可忍 或連心痛 展轉在地 手足亦有冷하느니라. 이는 腸이 絞縮하여 腹에 在하는 것으로 須臾에 능히 死하느니라. 急히 熱湯을 用하고 鹽 一兩을 調하여 灌入하면 卽安하느니라. 或 다시 陳艾 陳樟木 陳壁土 各等分을 用하니 水煎하고 連하여 三四服을 進하느니라. 刺血法은 急救를 見할지니라.
祛暑 和中(利濕消導하니라)하면 (그 雜)證이 自除하니라.
夏月에 人이 多하게 飮水 食冷하는 故로 마땅히 利濕하고 兼하여 消導하여야 하느니라. 汗多하면 滲을 忌하니라.
○ 祛暑에는 香茹散 黃連害毒湯 淸肺生脈散 白虎湯 加 蔘 柴로 하느니라. 寒熱이 不定하면 小柴胡湯으로 하느니라.
○ 和中하려면 大小調中湯 茹苓湯 枇杷葉散 胃苓湯 桂苓甘露飮 六和湯으로 하느니라.
寒鬱이 甚하면 반드시 反治하여야 하고
伏陰이 內에 在할 時에 避暑 貪凉하고 外로 또한 陰冷之氣를 襲하면 周身의 陽氣를 鬱遏하니 마땅히 辛溫으로 解散하니, 茹藿湯의 類이니라.
만약 外에 受寒하고 內에 다시 傷冷하면 加 乾薑 砂仁 神麯하느니라.
만약 外로 暑氣를 觸하고 內로 冷食에 傷하면 外熱 內寒하게 되니, 마땅히 淸暑益氣湯으로 하느니라.
만약 外로 受寒하지 않고 단지 內로 生冷에 傷하여 腹痛 嘔瀉하면 마땅히 理中湯 加 麥芽 砂仁으로 하거나 或 大順散이나 或 二氣丹을 冷水로 三十丸을 下하니라.
모두 暑로 인하여 傷冷한 것을 治하는 것이고, 溫散으로 暑를 治하는 것을 말하는 것이 아니니라.
誤服하면 發黃 發斑 蓄血 悶亂하여 死하느니라.
內傷은 滋補하여야 淸癯를 免하니라.
內傷勞役이나 或 素에 氣血虛弱하여 病暑하면 一하게 滋補를 爲主로 하느니라.
大熱 大凉한 劑를 愼用하여야 하느니라.
暑가 重하여 尿赤하면 淸暑益氣湯으로 하느니라. 暑가 輕하여 力倦하면 補中益氣湯이나 或 丸으로 하느니라. 中暍이면 暫으로 加 香茹 萹豆하느니라. 陰虛하면 滋陰降火湯 腎氣丸으로 하느니라.
三伏의 炎蒸은 더욱 가히 畏하여야 하고
大熱로 傷氣하느니라.
養生家가 謂하기를 '이 時에 縱酒 恣色하면 人으로 하여금 內腎이 腐爛하고 秋에 이르러 비로소 凝하게 되며 甚하면 水로 化하여 死한다'하니라.
預防은 不獨 羡香茹하느니라.
時에 常으로 書를 禦하여야 하느니라.
體實하면 香茹散 益元散으로 하니 虛한 자는 忌用하느니라.
대개 脾虛하면 必히 暑로 因하고 勞役하며 凉을 乘하여 病에 이르지 않아도 每 春末 夏初을 遇하면 頭疼 脚軟 食少 體熱하니 이를 注夏病이라 名하느니라. 마땅히 補中益氣湯 去 升 柴 加 黃柏 芍藥 五味子 麥門冬하느니라. 痰이 있으면 加 半夏 薑汁하니 實로 三伏에 卻暑하는 聖藥이니라.
만약 氣衰 精神不足 煩渴 懶食하면 生脈散 誘行丸으로 하느니라.
通用은 謝傳萬病無憂散으로 하느니라.
#4. 濕
【濕】氣의 覺來는 內外로 分하고
風寒暑를 暴傷하면 人이 곧 覺하지만 濕氣가 薰襲하면 人이 多하게 不覺하느니라.
外에서 入하는 경우가 있으니, 長夏에 鬱熱하여 山澤에서 蒸氣하거나 冒雨하여 行濕하거나 汗이 透하여 沾衣하니 多하게 腰脚이 腫痛하느니라. 內에서 得하는 경우가 있으니, 生冷 酒麵이 脾를 滯하여 生濕 鬱熱하니, 多하게 肚腹이 腫脹하느니라. 西北人은 多하게 內濕하고 東南人은 多하게 外濕하느니라.
內外는 또한 分하니 上 下 中이니라.
濕이 上에 在하면 마땅히 微汗하고 中下에 在하면 마땅히 利二便하거나 或 升提하니라.
初入에는 身이 沈(重)하고 多하게 困倦하며
或 肢節痛하거나 或 一身盡痛하느니라. 甚하면 濕이 聚하여 痰이 되어 昏不知人하거나 直視하거나 鄭聲하니라.
上薰하면 喘咳(茯苓湯으로 하니라)하고 首如蒙하니라.
首의 位는 高하여 氣가 淸하느니라. 濕이 薰하면 마치 物이 蒙한 것 같으니라. 單蒼朮膏가 妙하니라.
著脾(浮黃하니라)하면 腫脹(滿 或 臍下硬하니 退黃丸으로 하니라)하고 大便泄하며
朮附湯 三白湯 滲濕湯으로 하느니라.
著腎하면 脚腰와 小便이 濃하니라.
濕은 下가 先受하니 故로 腰脚이 攣痛하느니라. 獨活寄生湯 當歸拈痛湯 腎著湯 靑娥丸으로 하느니라.
治外하려면 微汗하여 通經絡하고
微汗은 防己黃芪湯 或 羌活勝濕湯으로 하느니라.
無汗하면 五苓散 加 蒼朮로 하느니라. 通經絡하려면 神仙飛步丹 乳香黑虎丹으로 하느니라.
治內하려면 滲(小便)利(大便)하는 것이 妙工이니라.
滲劑는 五苓散으로 하니, 黃이면 加 茵陳 一倍하고, 身痛하면 加 羌活 一倍하느니라.
濕이 盛하여 膨脹하면 또한 마땅히 車前 木通 葶藶으로 利水 行氣하니 君으로 하고 蔘 朮 茯苓으로 佐하느니라. 或 二朮을 君으로 하고 利水藥을 佐로 하느니라. 濕이 鬱하여 肢脹 或 遍身浮腫하면 모두 內에서 出하는 것이니, 虛實을 量하여 利하느니라. 不敢利하면 退黃丸이 妙하느니라.
四氣가 相兼(兼中 兼感)할 때 濕熱이 甚하고
除濕湯으로 하느니라. 兼風하면 合 桂枝湯하거나 或 古防風湯 敗毒散으로 하느니라. 兼寒하면 合 五積散하거나 或 古薑附湯으로 하느니라. 兼暑하면 合 五苓散으로 하느니라.
대저 百病에 兼風하면 必히 惡風 有汗 眩暈하고 兼寒하면 必히 惡寒 無汗 或 攣痛하며 兼暑하면 必히 面垢 煩渴하고 兼濕하면 必히 腫滿 沈倦하느니라.
四氣가 互相으로 兼倂하니, 오직 寒濕 濕熱의 病에서 濕熱이 더 多하느니라. 尿赤 有渴하면 濕熱이니, 黑瘦 膏粱의 人에 多하느니라. 便淸 不渴하면 寒濕이니 肥白 淡食의 人에 多하느니라.
昔에 專用한 경우가 있으니, 五積으로 寒濕을 治하였고 防風通聖散으로 濕熱을 治하니 宜하도다!
淸熱 燥濕하면서 補中을 兼하니라.
이는 濕熱을 治하는 法이니라.
대개 勞役 七情 飮食에 內傷하여 脾虧 火動하여 肺金이 受傷하니 木旺하여 脾를 侵하여 飮食이 不化하게 하고 鬱하여 痰積이 되며 甚하면 腹脹 浮腫하느니라.
實하면 下하여야 하느니라. 虛하면 補脾 利濕 消導하고 兼하여 淸熱하여야 하니, 淸燥湯이 그것이니라.
濕이 勝하면 筋痿하느니라. 熱이 勝하면 筋縮하니 더욱 宜하느니라.
通用(內外의 濕熱)은 燥脾과 升散하고
燥脾에는 枳朮丸 大安丸 單蒼朮丸 升陽除濕湯으로 하느니라.
通用은 二陳湯이나 或 平胃散 加 桑白皮를 爲主로 하느니라. 濕이 上焦에 在하면 加 羌活 蒼朮로 微汗하고 有熱하면 加 黃芩하느니라. 中焦의 濕에는 加 猪苓 澤瀉하여 滲利하느니라. 熱이면 加 黃連하느니라. 下焦의 濕에는 加 升麻 防風으로 升提하느니라. 熱에는 加 防己 黃柏 龍膽草하느니라.
肥人은 多濕하니 加 蒼朮 滑石하느니라. 瘦人은 多熱하니 加 芩 芍하느니라.
沈困하면 加 蔘 朮하느니라. 또한 四製蒼柏丸 三精丸으로 하느니라.
實하면 大便을 비로소 가히 攻하니라.
元氣가 實하면서 濕熱이 甚하면 導水丸이나 或 除濕丹 舟車丸으로 하느니라.
#5. 燥
【燥】에는 內 外가 있으며, 陽明에 屬하고
外因은 時가 陽明의 燥令이나 久睛의 不雨나 黃埃의 蔽空을 値하여 人으로 하여금 狂感하고 皮膚乾枯屑起하는 것이니라.
內因은 七情으로 火盛하거나 或 大病으로 吐利하여 亡津하거나 或 金石으로 燥血하거나 或 房勞으로 竭精하거나 或 饑飽 勞逸로 損胃하거나 或 炙煿 酒醬 厚味로 인하니 모두 能히 火邪를 偏助하여 血液을 消爍하는 것이니라.
總의 來는 金이 火의 相刑을 被한 것이니라.
六氣에서 風熱火는 陽에 屬하고 寒燥濕은 陰에 屬하느니라. 但 燥는 비록 秋陰에 屬하지만 도리어 風熱火의 化와 同하느니라. 대개 火가 盛하면 金이 熱傷을 입고 木이 制하지 못하여 風을 生하느니라. 風은 勝濕하고 熱은 耗津하느니라.
肝에 入하면 筋脈이 勁强 緊急 口噤하고 發하여 風癎이나 或 手足癱瘓 偏枯나 或 十指反而莫能搔痒하거나 或 雀目內障이 되니라. 心에 入하면 昏冒僵仆 語言蹇澁하느니라. 脾에 入하면 膈滿 不食 或 善饑而瘦하거나 或 傷積하여 變하여 水腫 腹脹이 되니라. 肺에 入하면 毛焦 乾疥 膹鬱 咳嗽하느니라. 腎에 入하면 津液이 竭하여 煩渴하거나 骨蒸 秘結하느니라. 總은 모두 肺金이 主하느니라. 陽明과 肺는 表裏이니라.
皴勁 渴秘는 비록 風熱이지만
表裏에 모두 潤衛榮하여야 하느니라.
表病은 皮膚皴揭하니 四物湯 去 川芎 合 生脈散 加 知 柏 天花粉하거나 或 單天門冬膏로 하느니라. 만약 筋攣하여 不能運動하면 大秦艽湯으로 하느니라.
○ 裏病에 消渴하면 活血潤燥生津飮으로 하느니라.
○ 燥結이 肝木의 自旺이거나 或 肺風이 大腸에 入한 것을 風燥라 하니 搜風順氣丸으로 하느니라. 臟腑에 積熱하거나 或 久病으로 鬱熱하면 熱燥라 하니 四順淸凉飮 當歸龍薈丸으로 하느니라. 脾胃의 伏火로 便閉 不食하면 血燥라 하니 四物湯 加 大黃 桃仁으로 하거나 或 丸을 지어 服하느니라. 大便이 偏秘하면 導滯通幽湯으로 하느니라. 小便이 偏秘하면 導氣除燥湯으로 하느니라. 陰虛로 火燥하면 虛燥로 하니 單黃柏丸 補陰丸 腎氣丸으로 하느니라. 勞役으로 氣虛하여 燥하면 補中益氣湯으로 하느니라.
通用은 四物湯 去 芎을 君으로 하고 天 麥門冬을 臣으로 하며 瓜蔞를 佐로 하고 升麻 紅花 甘草를 使로 하느니라. 風에는 加 秦艽하거나 或 牛膝하며 熱에는 加 黃芩하며 血에는 倍 生地하고 渴에는 加 天花粉 五味子하며 閉結에는 加 大黃 郁李仁 麻仁하며 氣虛하면 量하여 加 蔘 芪하고 陰虛에는 加 知 柏하느니라.
大抵 마땅히 甘寒한 潤劑로 하느니라. 忌할 것은 辛香하여 動火하는 것과 一切의 發汗하는 藥이니라.
經에 曰하기를: '燥하면 潤하게 하니라'하니, 이는 養血을 말하느니라. 대개 燥하면 血이 澁하고 氣液이 凝滯하게 되며, 潤하면 血이 旺하여 氣液이 宣通하게 되니라. 內神이 茂한 後에 外色이 澤하기 때문이니라. 그런데 積液은 진실로 능히 生氣하고 積氣하여도 능히 生液하느니라.
常用은 氣虛하면 瓊玉膏로 하고 津虛하면 單五味子膏로 하며 血虛하면 地黃膏로 하느니라.
대개 病으로 天燥를 遇하여도 마땅히 量하여 이러한 潤劑를 加하니라.
#6. 火
【火】는 內外로 因하니 虛實을 分하고
外因은 邪가 經絡에 鬱하고 臟腑에 積熱한 것이니 有餘之火이니라.
內因은 飮食의 情欲으로 氣盛 似火하는 것이니, 이는 有餘中 不足이니라. 陰虛火動은 不足之火이니라.
大要는 脈弦數無力하면 虛火이고 實大有力하면 實火이니라.
性이 暴하고 無常하여 主病이 多하느니라.
火病의 死人함은 甚暴하고 變化가 無常하며 一動하여도 곧 元氣를 傷하고 偏勝하고 移하여 他經을 害하느니라.
內經의 病耭 十九條에 火에 屬하는 것이 五이니라.
劉河間은 五運을 推廣하여 病으로 삼으니, 肝에 屬하는 것은 諸風之火이고 脾胃에 屬하는 것은 諸濕痰火이며 心肺에 屬하는 것은 諸熱實火이고 腎에 屬하는 것은 諸虛之火이니, 各 經의 浮遊之火로 散하느니라. 氣分에 入하면 無根之火이고 血分에 入하면 消陰하는 伏火이다'하느니라.
故로 曰하기를 '諸病에 痰火를 尋하라'하니, 痰火가 異證을 生하니라.
實火는 渴 閉하고 熱이 無間하며
實火는 內外가 모두 熱하니 口渴 日夜燥熱 大小便閉하느니라.
虛熱은 有間하고 口에 何가 無하느니라.
虛火는 燥熱有間 口燥不渴하니라.
瀉實 補虛하면 升하면서 降하고
實火가 外感한 邪가 鬱하여 表에 在하므로 인하면 九味羌活湯으로 하느니라. 半表裏이면 小柴胡湯으로 하느니라. 入裏하면 大承氣湯으로 하느니라. 燥渴이면 白虎湯으로 하느니라. 金石炙煿으로 인하면 黃連解毒湯 防風當歸飮 三黃丸 大金花丸으로 하느니라. 狂하면 黑奴丸으로 하느니라.
○ 虛火 氣虛火盛이 勞倦으로 傷胃하므로 인하여 無力 身熱하면 마땅히 保元湯 補中益氣湯 加 芍藥 黃柏으로 하거나 或 四君子湯으로 滲하느니라. 만약 大病이나 及吐瀉한 後에 身熱如焚 命門脈脫하면 陽衰의 病이니 마땅히 辛熱로 그 火를 溫養하면 熱이 自退하며 附子理中湯 霹靂散으로 主하느니라.
○ 血虛火動이 傷色慾으로 인하여 午後發熱하면 마땅히 四物湯 滋陰降火湯 加味逍遙散 腎氣丸 人中白散으로 하느니라. 만약 腎水가 受傷하면 生地 玄蔘을 煎한 膏로 主하느니라. 相火가 旺甚하고 氣從臍下起하면 正氣湯 坎離丸으로 하느니라. 氣從湧泉穴起入腹하면 虛가 極한 것으로 難治이며 四物湯 加 白馬脛骨로 降陰火하며 芩 連으로 代하거나 或 人中黃도 好하느니라. 外用은 附子 가루를 津에 調하여 足心에 塗하느니라. 또한 濕熱이 鬱한 경우도 있느니라.
○ 飮食의 鬱火가 內傷生冷 및 飮食不化로 陽氣를 脾土에 抑遏하여 四肢熱如燎하면 升散之劑로 發하니, 升陽散火湯 火鬱湯 瀉陰火升陽湯으로 하느니라.
○ 七情에서 五志의 火가 起하면 마땅히 각 經을 隨하여 調하느니라. 大努로 火가 肝에서 起하면 手掉 目眩하니 淸肝湯 加 龍膽草이나 古茱連丸으로 하느니라. 醉飽로 火가 胃에서 起하면 痞塞腫滿하니 瀉黃散 戊己丸 單石膏丸으로 하느니라. 悲哀로 火가 肺에서 起하면 氣上賁鬱하니 瀉白散 加 黃芩 葶藶이나 單黃芩丸 單苦蔘丸으로 하느니라. 房勞로 火가 腎에서 動하면 骨蒸 潮熱하니 大補陰丸 滋腎丸 單黃柏丸으로 하느니라. 心火가 輕하면 煩熱 痛痒하니 單瀉心湯으로 하고 重하면 自焚面靑 發躁 脈絶暴死하느니라. 故로 '五志之火의 動이 極하면 不治한다' 하느니라.
○ 總論: 虛火는 가히 補하고 實火는 가히 瀉하느니라. 輕하면 가히 降하고 重하면 그 性을 從하여 升하느니라.
君火는 正治하니 가히 濕으로 伏하게 하고 가히 水로 滅하게 하며 가히 直으로 折하느니라.
相火는 反治하니 水濕으로 折하기는 不可하고 오직 그 性을 從하여 伏하게 하느니라.
즉 實火로 發狂하면 마땅히 三黃 硝黃으로 正治하고 虛火로 發狂하면 先으로 薑湯을 與한 然後에 補陰하면 氣火가 自降하느니라. 대개 火가 盛하여도 不可猛하면 凉藥을 用하니 必히 酒로 炒過하거나 或 溫散 甘緩을 兼하느니라. 또한 가히 發汗하여야 할 경우도 있으니 風寒 生冷이 鬱하게 하느니라.
君 相 民은 모두 靜하면서 和하느니라.
五行에서 오직 火는 二가 있느니라.
心은 君火이고 一身之主이니라. 腎은 相火이며 身을 遊行하며 常으로 肝 膽 胞絡 三焦의 間에 寄하느니라. 또한 膀胱은 民火인데 또한 腎에 屬하느니라. 이는 모두 天賦이니 無하면 不可하느니라.
五志의 火는 人으로 由하니 따라서 內傷은 火가 多하고 外感은 火가 少하느니라.
아! 火는 妄動하면 안되니, 動은 心으로 由하느니라. 靜의 一字는 心中의 水로구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