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적용 재료
표 2.8에 써멀 라미네이션에 이용되는 대표적인 재료를 나타내었다. 포장재료에 특히 이용되고 있는 재료로서는 폴리올레핀계 기재, 폴리스틸렌계 기재(PSP 포함), 알미늄박, 부직포를 들 수 있다. 열접착성 필름은 표 2.9에 제시한 타입을 들 수 있다.
표2.8 써멀 라미네이션에 이용되는 대표적인 재료
플라스틱 기재 | 폴리올레핀계 기재, 폴리스틸렌계 기재, 폴리에스테르계 기재, 폴리아미드계 기재, 엔지니어링 플라스틱계 기재, 불소 수지계 기재 등 |
열접착성 필름 | 표 2.9 참조 |
금속박 | 알미늄박, SUS(스테인레스)박, 스틸박, 동박 등 |
기타 | 페블릭(직물, 부직포, glass gross 등), 우레탄 폼, 종이 등 |
표 2.9 열접착성 필름의 타입
열접착성 필름 | 변성 폴리올레핀 수지 | 에틸렌 공중합 수지 | 기타 |
MAH-g-PO | E-MAA | (변성)공중합 폴리에스테르 |
AA-g-PO | E-AA | (변성) 공중합 폴리아미드 |
GMA-g-PO | E-MAH |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
MPTMS-g-PO | E-GMA | 변성 PPS |
1) 변성 폴리올레핀 수지
폴리에틸렌이나 폴리프로필렌의 폴리올레핀 수지에 반응성을 가진 극성 재료를 그라프트 반응시킨 재료로, 일반적으로는 MAH(무수 올레인산)에 의해 변성된 재료가 사용된다. 극성 재료가 각종 금속박과의 밀착성에 기여하는 것으로 후술하는 이종 기재의 써멀 라미네이트에 활용된다. 또한 MPTMS(메타크릴계 실란)은 시라놀(silanol)기를 형성하는 것으로 유리 접착성을 부여하는 것이 가능하다.
일반적으로 써멀 라미네이션용의 열접착성 필름은, 용융 캐스트에 의해 필름으로 제막되는데, 일부에서는 변성 폴리올레핀 수지를 톨루엔 등의 유기 용매에 분산시킨 dispersion으로 이용하고 금속박에 코팅, 건조로 처리를 행하는 것으로 열접착 필름 층을 형성하고, 후에 써멀 라미네이션을 행하는 케이스도 있다.
크라프트 반응에 의해 얻어진 변성 폴리올레핀 수지는, 본래의 폴리올레핀 수지의 내열성을 손상시키지 않기 때문에, 내열성이 요구되는 용도로 이용된다.
2) 에틸렌계 공중합수지
반응성을 가진 극성 재료를 중합 단계에서 에틸렌과 공중합시키는 것으로 얻어지는 수지로, E-MAA나 E-AA 또는 이들의 이온 가교물(아이오노머)이 이용된다. 이들 필름도 용융 캐스트 또는 인플레이션에 의해 필름으로 제막된다. 에틸렌계 공중합 수지는 에틸렌 골격 중에 극성 재료를 도입하기 위해 결정성을 저하시키고, 내열성이라고하는 점에서는 1)변성 폴리올레핀 수지에 비해 뒤떨어진다.
3) 기타
PET(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나 PEN(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테르 기재나 Ny(나일론) 등의 폴리아미드 기재만이 아니고, PC(폴리카보네이트)나 PVC(폴리염화비닐)이라고 하는 난접착성 기재나, 아라미드, PPS(폴리페닐설파이트)라고 하는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에 대해서 접착성을 갖는 열접착성 필름이 있고, 또한 알미늄박 이외의 금속박(SUS박, 스틸박, 동박 등)에 대해서도 양호한 접착성을 갖는다. 주로 공업용도에 이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