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한국종합심리상담센터 입니다 : )
오늘은 다면적인성검사 MMPI 워크샵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MMPI 개요
MMPI는 Hathaway&Mckinley 가 개발한 대표적 자기보고형 성향 검사이다
현재는 원판 MMPI를 성인 대상으로 개정한 MMPI-2와 청소년 대상의 MMPI-A가 사용되고 있다
MMPI 본래 병원 장면에서 정신건강의학과 치료를 받는 환자들을 진단, 평가할 목적으로 개발되었다
오늘날에는 진단 평가 도구로서뿐만 아니라 환자들이 경험하는 구체적인 증상, 정신병리에 영향을 미치는 성격특성, 적응수준, 검사에 임하는 태도 등을 수량화해 객관적으로 측정하기 위해 사용되고 있다
또한 정상인을 대상으로 한 심리상담, 인사선발, 법적 자문, 정신건강 관련 선별 검사, 연구 등 여러 분야에서 광범위하게 활용되고 있다
MMPI 역사
원판 MMPI는 1930년대 후반부터 1940년대에 걸쳐 미네소타 대학병원을 배경을
해서웨이와 매킨리에 의해 개발되었다
개인의 성격특성과 다양한 생활 영역을 나타낼 수 있는 504개의 예비문항을 고안
미네소타 대학병원을 중심으로 모집된 일반인 집단과 주요 정신 장애 환자 집단 총 724명에 대해 질문지를 작성하도록 하여 정상집단과 각각의 환자집단을 변별하는 문항을 확인하였다
이후 새롭게 구성한 정상집단, 해당척도와 관련된 진단을 받은 환자집단 척도와 무관한 진단을 받은 환자 집단을 대상으로 검사를 재차 실시하여 각 집단 간에 척도별 점수 차이가 유의한지를 확인하는 교차 타당화를 진행하였다
이러한 일련의 과정을 거쳐
원판 MMPI는 4개의 타당도 척도와 10개의 임상 척도를 포함한 566개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추후 6개 임상척도에 대한 하위 내용 척도를 세분화한 해리스-링구스 소척도가 개발되었다
MMPI-2 개발
1982년 미네소타 주립대학 출판부에서 MMPI 재표준화 위원회를 결성하여 방대한 연구를 진행,
1989년 MMPI-2를 출시했다
■ MMPI 개정의 주요 내용
대표성이 있으면서도 광범위한 전국 규모의 표집으로 규준 제작
시대에 뒤떨어지는 고어체 문항 수정
현 시대에 이의가 제기될 소지가 있는 문항 삭제 또는 수정
원판 MMPI의 타당도 척도와 임상 척도 유지
단일한 백분위로 제시할 수 있는 동형 T점수로 규준 개발
개별 문항과 여러 척도를 평가하는데 필요한 새로운 임상 자료 수집
그동안 축적된 연구를 바탕으로 새로운 척도 추가 개발
한국판 MMPI의 개발과정
1960년대 원판 MMPI를 표준화한 한국판 MMPI가 처음으로 출시
1989년에 이에 대한 재표준화 작업이 진행되었다
한국판 MMPI-2 개발은 2001년 구성된 '한국판 MMPI-2 표준화위원회'를 통해 본격적으로 진행되었다
한국판 MMPI-2의 규준집단은 2000년 대한민국 인구 및 주택 총조사로 자료를 토대로 성별, 연령, 교육수준, 지역, 거주지 등을 고려한 다단 유층 추출 방식을 사용하여 표집하였고
19세 이상 성인 총 1,352명을 대상으로 표준화해 2005년 MMPI-2가 출시되었다
이때 만13-18세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한 한국판 MMPI-A도 함께 개발하였다
정신건강의학과를 기반으로 임상집단 395명, 대학생 423명을 대상으로 MMPI-2와 NEO-PI-R을 실시하여
타당화 자료 및 증상 타당도(F(B)S) 등을 보강한 개정판 MMPI-2가 출시되었다
MMPI 검사지 구매 및 운영 자격
- 관련 석사 졸업 이상 또는 관련 자격증 취득자
MMPI 워크샵 수료
이상심리(또는 정신병리) 수강
위의 세 가지 모든 조건을 충족하시면 MMPI 검사지 구매 및 운영자격을 취득하실 수 있습니다 ^^
*검사지 구매 등은 마음사랑에서 진행 가능하세요~~
MMPI 워크샵
TCI 기질 및 성격검사 워크샵
카페 게시글
심리검사 교육기관
(비대면 실시간 ZOOM)다면적인성검사 MMPI 워크샵이 궁금하다면
카페지기
추천 0
조회 73
23.03.21 08:47
댓글 0
다음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