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흐미하다께"- 이 말뜻, 아시지요?
일본말을 만들 때 모델이 된 말은 "희미하다께로, 다 밉다께로"이다. 이 말을 일본인들은 더 심한 사투리로 "흐미하다께, 다 미하다께"라고 했다. 이 사투리를 다시 현대 일본인들이 주로 사용하는 "백제 글자"와 "이두"로 써보면 아래와 같다.
ふみはだけ, 踏 みはだけ
후미하다께, 답 미하다께 (이두인 '답'자의 종성을 없애면)
후미하다께, 다 미하다께 (이 사투리를 현대인이 알기 쉽게 고치면)
흐미하다께, 다 미하다께
희미하다께, 다 밉다니까 (가 된다)
*** 위에 기록한 말들이 일본말인가? 아니면 일본글자인가? 모두백제말이요, 백제글자이다. [이런 논리가 틀렸다고 생각 되는 분은 언제든지 어떤 매체를 통해서든 반론을 펴 주십시오. 그리고 이런 되지도 않는 글을 더 이상 쓰지 말고 집어치우라고 해주세요! 특히 한국에 거주하는 일본인들에게 요청하는 바이다]
*** 다 미하; '모두 다 미워'의 사투리.
*** 다께→ 당께; '~다니까'의 사투리.
명치이후 일본정부 산하 조선어 비밀연구원들이 위의 말의 띄어쓰기를 무시하며 함부로 갈라서 아래와 같은 사전적 단어를 만들어 내었다. 사실은 여기서 부터가 백제말(조선말)과 일본말? 과의 경계선이다.
ふみはだける[踏みはだける]; 양다리를 벌리고 자세를 취하다.
*** 위의 설명을 종합해보면 함께 잠을 잔 것은, 여러 사람이 관여되어 반 강제로 이루어 졌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래서 관련된 사람들이 밉고, 앞이 흐미해졌다는 뜻이 내재되어 있다.
'ふみはだける'의 뜻을 "양다리를 벌리고 자세를 취하다"라고 했는데, 무엇을 하기위한 자세를 취했는지 자명한 일이다.
*** 위 단어'ふみはだける'의 뜻은 위에 예시된 문장에 이미 “양다리를 벌리고 자세를 취하다.”는 뜻이 내재되어 있다. 踏자의 뜻과는 아무런 관련도 없다.
*** 이렇게 단어를 만든 결과 “踏み”자를 “ふみ”라고 읽는 웃지 못 할 꼴이 되었다. 이런 것을 우리는 “명치 식 읽기”라고 명명해 왔다.
*** ‘踏みはだける’자가 없었다면 ‘ふみはだける’가 원래 무엇을 의미했던 백제말인지 영영 몰랐을 것이다.
*** 위에서 보듯이 “백제글자”와 “이두”가 한 치의 착오도 없이 걸맞아 들어가므로 일본어는 백제어(조선어)를 이리저리 가공하여 만든 언어? 라는 것을
속 시원하게 밝혀주고 있다.
*** 파생
ふむ[踏む]; 밟다. (踏; 밟을 답)
*** 세상에 "踏"자를 "ふ"라고 읽다니 ... 그들은 사슴을 가리켜 말이라 하고 있다. 이렇게 해놓고도 '왜가 신묘년에 바다를 건너와 백제를 쳐부수고 신민으로 삼았다고 하고 있다. 뿐만아니라 任那日本府가 고대 한국을 다스렸다고 우기고 있다. 백제의 한 고을이면서 어떻게 백제를 처부수고 백제를 다스릴 수 있다는 말인가?
*** 이렇게 왜인들은 일상생활에서 백제말을 사용하였다. 그래서 왜인들은 백제왕의 신민이었다, 왜는백제고을이었다, 고 천명할 수 있는 것이다. 이제 우리는 한.일 간의 역사를 바로잡아야 한다. 바야흐러 그래야 할 시대가 도래해 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