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의론] Chapter 1장_6절_4(2021년 7월 13일, 화)
The last contrast that I shall mention now is that utilitarianism is a teleological theory whereas justice as fairness is not. [번역판_68p, 지금 이야기하게 될 마지막 대조점은 공리주의는 목적론인데 반해 공정으로서의 정의는 그렇지 않다는 것이다.
By definition, then, the latter is a deontological theory, one that either does not specify the good independently from the right, or does not interpret the right as maximizing the good. 그런데 정의상으로 보아서 후자(공정으로서의 정의)는 의무론적인 이론으로서 좋음을 옳음과는 상관없이 규정하지 않거나 혹은 옳음을 좋음의 극대화로 해석하지 않는 입장이다.
(It should be noted that deontological theories are defined as non-teleological ones, not as views that characterize the rightness of institutions and acts independently from their consequences. All ethical doctrines worth our attention take consequences into account in judging rightness. One which did not would simply be irrational, crazy.) (주의해야 할 것은 의무론이란 비목적론인 것으로 규정되기는 하지만, 그렇다고 해서 제도들과 행위들의 옳음 여부를 결과와 상관없이 규정짓는 그러한 입장을 말하려는 것은 아니라는 점이다. 우리가 주목할 가치가 있는 모든 윤리설은 옳음 여부를 판단하는 데 있어 결과를 고려하는 입장들이다. 그렇지 못한 학설은 비합리적이고 비정상적인 것이다.)
Justice as fairness is a deontological theory in the second way. For if it is assumed that the persons in the original position would choose a principle of equal liberty and restrict economic and social inequalities to those in everyone’s interests, there is no reason to think that just institutions will maximize the good. (Here I suppose with utilitarianism that the good is defined as the satisfaction of rational desire.)
Of course, it is not impossible that the most good is produced but it would be a coincidence. 물론 최대의 선이 산출되는 경우가 있을 수 없는 것은 아니지만 그것은 우연의 일치에 불과한 것이다.
The question of attaining the greatest net balance of satisfaction never arises in justice as fairness; this maximum principle is not used at all. 만족의 최대 순수 잔여량을 달성한다는 문제는 공정으로서의 정의에서는 결코 일어나지 않으며, 이러한 극대화 원칙 같은 것은 전혀 소용이 없다.
There is a further point in this connection. In utilitarianism the satisfaction of any desire has some value in itself which must be taken into account in deciding what is right.
In calculating the greatest balance of satisfaction it does not matter, except indirectly, what the desires are for. 그리고 만족의 최대 잔여량을 계산하는 데있어 오직 간접적으로만 그것이 무엇에 관한 욕구인가가 문제시된다.
We are to arrange institutions so as to obtain the greatest sum of satisfactions; we ask no questions about their source or quality but only how their satisfaction would affect the total of well-being. 우리는 만족의 최대 총량을 달성하도록 제도를 편성하면 되는 것이며, 만족의 원천이나 성질에 대해서는 묻지 않고 단지 그 만족이 행복의 총량에 어떤 영향을 미칠게 될지만을 문제 삼는다.
Social welfare depends directly and solely upon the levels of satisfaction or dissatisfaction of individuals. 사회의 복지는 직접적으로 그리고 오로지 개인이 갖는 만족이나 불만의 정도에만 달려 있다.
Thus if men take a certain pleasure in discriminating against one another, in subjecting others to a lesser liberty as a means of enhancing their self-respect, then the satisfaction of these desires must be weighed in our deliberations according to their intensity, or whatever, along with other desires. [번역판_69p, 그래서 만약 사람들이 서로 차별 대우를 함으로써, 자신의 자존심을 고양시키는 수단으로 타인들의 자유를 감소시킴으로써 어떤 쾌락을 얻는다면 이러한 욕구의 만족도 다른 욕구와 더불어 그것의 강도 등이 고려되고 평가되어야 할 것이다.
If society decides to deny them fulfillment, or to suppress them, it is because they tend to be socially destructive and a greater welfare can be achieved in other ways. 만일 사회가 그러한 욕구의 충족을 거부하거나 억제하려는 결정을 하게 된다면, 그것은 그러한 욕구가 사회적으로 파괴적인 경향을 띠고 있으며 다른 방식에 의해서 보다 큰 복지가 성취될 수 있기 때문이다.
In justice as fairness, on the other hand, persons accept in advance a principle of equal liberty and they do this without a knowledge of their more particular ends. 반면에 공정으로서의 정의에 있어서는 사람들은 먼저 평등한 자유의 원칙을 받아들이며 그리고 자신의 보다 특정한 목적들에 대한 지식 없이 이러한 작업을 수행한다.
They implicitly agree, therefore, to conform their conceptions of their good to what the principles of justice require, or at least not to press claims which directly violate them. 그럼으로써 그들은 정의의 원칙들이 요구하는 것에 자신의 가치관을 순응시키고, 적어도 그 요구에 직접적으로 위배되는 주장을 고집하지 않으리라는 데에 암암리에 합의하게 된다.
An individual who finds that he enjoys seeing others in positions of lesser liberty understands that he has no claim whatever to this enjoyment. 자유를 구속당하는 처지에 있는 다른 사람들을 보고 즐거워하는 개인은 자신이 이러한 즐거움을 요구할 아무런 권리도 없음을 알게 된다.
The pleasure he takes in others’ deprivations is wrong in itself: it is a satisfaction which requires the violation of a principle to which he would agree in the original position. 다른 사람들의 손실에 대해 갖는 괘락은 그 자체가 부당한 것이며 이러한 만족은 그가 원초적 입장에서 합의의 원칙의 위반을 요구하는 것이 된다.
The principles of right, and so of justice, put limits on which satisfactions have value; they impose restrictions on what are reasonable conceptions of one’s good. In drawing up plans and in deciding on aspirations men are to take these constraints into account.
Hence in justice as fairness one does not take men’s propensities and inclinations as given, whatever they are, and then seek the best way to fulfill them. Rather, their desires and aspirations are restricted from the outset by the principles of justice which specify the boundaries that men’s systems of ends must respect. 그래서 공정으로서의 정의에 있어서는 우리는 사람들이 갖는 성향이나 경향성을 그 내용에 상관없이 전제하고 그것들을 만족시킬 최상의 방법을 강구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처음부터 사람들의 목적 체계가 준수해야 할 한계를 밝히는 정의의 원칙들을 통해서 그들의 욕구와 포부를 제한하려는 것이다.
We can express this by saying that in justice as fairness the concept of right is prior to that of the good. 이러한 공정으로서의 정의에 있어서는 옳음(의)이라는 개념이 좋음(선)이라는 개념에 선행한다는 말로 표현될 수 있을 것이다.
A just social system defines the scope within which individuals must develop their aims, and it provides a framework of rights and opportunities and the means of satisfaction within and by the use of which these ends may be equitably pursued. 정의로운 체제는 그 속에서 개인들이 자신의 목적을 개발해가야 할 범위를 규정하며, 또한 그러한 체제는 이를 이용하고 그 안에서 이러한 목적들이 공정하게 추구될 수 있는 권리와 기회의 틀 및 만족의 수단을 제공한다.
The priority of justice is accounted for, in part, by holding that the interests requiring the violation of justice have no value. [번역판_70p, 정의의 우선성이란 어떤 면에서는 정의의 위반을 요구하는 욕구는 무가치하다는 주장에 의해 설명되어진다.
Having no merit in the first place, they cannot override its claims. 일차적으로 합당한 가치를 갖고 있지 못한 이상, 그것들이 정의의 요구를 침해할 수는 없는 것이다.
This priority of the right over the good in justice as fairness turns out to be a central feature of the conception. 이와 같이 좋음에 대한 옳음의 우선성은 공정으로서의 정의에 있어 중심적인 특성임이 드러나게 된다.
It imposes certain criteria on the design of the basic structure as a whole; these arrangements must not tend to generate propensities and attitudes contrary to the two principles of justice (that is, to certain principles which are given from the first a definite content) and they must insure that just institutions are stable. Thus certain initial bounds are placed upon what is good and what forms of character are morally worthy, and so upon what kinds of persons men should be. Now any theory of justice will set up some limits of this kind, namely, those that are required if its first principles are to be satisfied given the circumstances. Utilitarianism excludes those desires and propensities which if encouraged or permitted would, in view of the situation, lead to a lesser net balance of satisfaction. But this restriction is
largely formal, and in the absence of fairly detailed knowledge of the
circumstances it does not give much indication of what these desires and
propensities are. This is not, by itself, an objection to utilitarianism. It is
simply a feature of utilitarian doctrine that it relies very heavily upon the
natural facts and contingencies of human life in determining what forms
of moral character are to be encouraged in a just society. The moral ideal
of justice as fairness is more deeply embedded in the first principles of
the ethical theory. This is characteristic of natural rights views (the contractarian tradition) in comparison with the theory of utility.
In setting forth these contrasts between justice as fairness and utilitarianism, I have had in mind only the classical doctrine. This is the view of Bentham and Sidgwick and of the utilitarian economists Edgeworth and Pigou. [번역판_71p, 공정으로서의 정의와 공리주의 간에 이상과 같은 대비를 논하는 데 있어서 내가 염두에 두어온 것은 오직 고전적 이론뿐이었다. 이것은 벤담이나 시즈워크의 입장이요, 공리주의적 경제학자인 에지워드나 피구의 견해이다.
The kind of utilitarianism espoused by Hume would not serve my purpose; indeed, it is not strictly speaking utilitarian. 흄이 지지하는 종류의 공리주의는 우리의 의도에 부합하지 않으며 사실, 그것은 엄격히 말해서 공리주의가 아니다.
In his well-known arguments against Locke’s contract theory, for example, Hume maintains that the principles of fidelity and allegiance both have the same foundation in utility, and therefore that nothing is gained from basing political obligation on an original contract. 로크의 계약론에 대한 흄의 유명한 논박 중에서 그는 성실과 충성의 원칙들은 모두가 동일한 근거를 갖고 있으며, 따라서 정치적 의무의 바탕을 원초적 합의에 두어서는 아무런 소용이 없다고 주장한다.
Locke’s doctrine represents, for Hume, an unnecessary shuffle: one might as well appeal directly to utility. 흄이 볼 때 로크의 학설은 불필요한 군더더기일 뿐이므로 우리는 곧바로 공리에 의거해도 좋다는 것이다.
But all Hume seems to mean by utility is the general interests and necessities of society. 그런데 흄이 의미하는 공리란 사회의 일반적인 이익과 필요라고 생각된다.
The principles of fidelity and allegiance derive from utility in the sense that the maintenance of the social order is impossible unless these principles are generally respected. 성실과 충성에의 원칙들이 공리에서 도출된다고 하는 것은 이러한 원칙들이 널리 준수되지 않고서는 사회 질서 유지가 불가능하다는 의미에서이다.
But then Hume assumes that each man stands to gain, as judged by his long-term advantage, when law and government conform to the precepts founded on utility. 그런데 흄의 생각에 따르면 장기적인 이득으로 판단할 때 법과 정부가 공리에 입각한 신조를 따를 경우 각 개인은 이득을 보게끔 된다는 것이다.
No mention is made of the gains of some outweighing the disadvantages of others.
For Hume, then, utility seems to be identical with some form of the common good; institutions satisfy its demands when they are to everyone’s interests, at least in the long run. 그래서 흄에게 있어서 공리란 일종의 공동선과 동일한 것으로 생각되며, 제도가 적어도 결국에 가서는 모든 사람에게 이득을 줄 경우 그 제도는 공리의 요구를 만족시키게 된다.
Now if this interpretation of Hume is correct, there is offhand no conflict with the priority of justice and no incompatibility with Locke’s contract doctrine. For the role of equal rights in Locke is precisely to ensure that the only permissible departures from the state of nature are those which respect these rights and serve the common interest. 만일 이러한 식으로 흄을 해석하는 것이 옳다면, 당장은 정의의 우선성과도 상충되지 않으며 로크의 계약론과도 양립 불가능하지 않다. 왜냐하면 로크에 있어서 평등권의 역할은 자연 상태로부터 떠나도 좋은 유일한 경우가 그러한 권리가 존중되고 공통 이익에 도움이 되는 경우뿐임을 정확히 보장하기 위한 것이기 때문이다.
It is clear that all the transformations from the state of nature which Locke approves of satisfy this condition and are such that rational men concerned to advance their ends could consent to them in a state of equality. 로크가 시인한 자연 상태로부터의 모든 변화 형태는 이러한 조건을 충족시키며 자신들의 목적을 달성하고자 하는 합리적 인간들이 평등한 상태에서 동의하게 될 것임은 분명하다.
Hume nowhere disputes the propriety of these constraints. [번역판_72p, 흄은 어느 곳에서도 이러한 제한 조건의 적합성을 반박하지 않는다.
His critique of Locke’s contract doctrine never denies, or even seems to recognize, its fundamental contention. 로크의 계약론에 대한 그의 비판은 결코 그 근본 주장을 부인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그것을 인정하고 있다는 생각마저 든다.
The merit of the classical view as formulated by Bentham, Edgeworth, and Sidgwick is that it clearly recognizes what is at stake, namely, the relative priority of the principles of justice and of the rights derived from these principles. 벤담, 에지워드, 시즈위크 등에 의해 정식화된 고전적 견해가 갖는 한 가지 장점은, 정의의 원칙들과 이러한 원칙들로부터 도출되는 권리의 상대적 우선성이란 중요한 문제점을 분명히 인식하고 있다는 것이다.
The question is whether the imposition of disadvantages on a few can be outweighed by a greater sum of advantages enjoyed by others; or whether the weight of justice requires an equal liberty for all and permits only those economic and social inequalities which are to each person’s interests. 문제는 소수에게 불편을 부과하는 일이 다른 사람들이 누릴 더 큰 이익의 총량에 의해 정당화될 수 있는지의 여부이며, 또한 정의의 중대성이 과연 모든 사람들의 평등한 자유를 요구하며 모든 사람들에게 이익이 되는 경제적·사회적 불평등을 허용할 만큼 대단한 것인지의 여부이다.
Implicit in the contrasts between classical utilitarianism and justice as fairness is a difference in the underlying conceptions of society. 고전적 공리주의와 공정으로서의 정의 간의 대비 속에는 암암리에 사회관에 있어서의 근본적인 차이가 있다.
In the one we think of a well-ordered society as a scheme of cooperation for reciprocal advantage regulated by principles which persons would choose in an initial situation that is fair, in the other as the efficient administration of social resources to maximize the satisfaction of the system of desire constructed by the impartial spectator from the many individual systems of desires accepted as given. 우리는 질서정연한 사회를 후자에서는 공정한 최초의 상황에서 사람들이 선택하게 될 원칙에 의해 규제되는, 상호 이익을 협동 체제로 생각하며, 전자에서는 주어진 것으로 인정된 여러 개인들이 욕구 체계로부터 공평한 관망자에 의해 구성된 하나의 욕구 체계를 최대한 만족시킬 수 있도록 사회적 자원을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것으로 생각한다.
The comparison with classical utilitarianism in its more natural derivation brings out this contrast. 보다 자연스럽게 전개되는 고전적 공리주의와의 비교를 통해서 이러한 대조가 나타나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