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77장
天之道, 其猶張弓乎. 高者抑之, 下者擧之, 有餘者損之, 不足者補之. 天之道損有餘, 而補不足, 人之道則不然, 損不足以奉有餘. 孰能有餘以奉天下. 惟有道者. 是以聖人爲而不恃, 功成而不處, 其不欲見賢.
하늘이 일삼는 이치(道; 自然·無爲)는 그 활대에 시위를 거는 모습에 비유된다! (활대에 시위를 거는 사람은 시위의 길이가 부족하면) 위의 고자 그것을 내리누르거나, 아래의 고자 그것을 들어 올리며, (시위가) 남아도는 바를 가지는 바가 있으면, 그것을 잘라내고, 부족하면 그것을 이어붙인다. 하늘이 일삼는 이치道는 남아도는 바가 있는 바를 덜어내는 바로써, 부족한 바를 보태주는 모습이지만, 사람이 일삼는 이치道는 그러한 모습이 아닌데, 부족한 바를 덜어내는 바로써 남아도는 바를 가지는 바가 있는 바를 받든다. 누가 (자신의) 남아도는 바를 가지는 바가 있는 바(有餘; 無爲)로써, 천하 (곳곳의 부족한 사람들)를 받을 수 있는가? (하늘이 일삼는) 이치道를 가지는 바가 있는 사람이다. 따라서 성인은 일삼지만, (자신의 공능功能을 일부러 일삼아) 기대지 않고, (자신의) 공功이 이루어지지만, (그것에 일부러 일삼아) 머물지 않으며, 그는 (자신의) 어짊을 (일부러 일삼아) 드러내고자 하지 않는 것이다.
天之道, 譬如張弓. 張弓者, 常視其高下, 及其有餘不足. 而抑之, 擧之. 損之, 補之.
하늘이 일삼는 이치(道; 自然·無爲)는 활대에 시위를 거는 모습에 비유된다. 활대에 시위를 거는 사람은 늘 그러하게 그 (활대의) 위 고자와 아래 고자를 살피고, 그 (시위의) 남는 바를 가지는 바가 있는 바와 부족한 바를 살핀다. 따라서 (활대의 길이와 시위의 길이를 맞추는데, 시위의 길이가 부족하면, 활대의 위 고자) 그것을 내리 부르거나, (아래 고자) 그것을 들어 올린다. (시위의 길이가 남는 바를 가지는 바가 있으면) 그것을 잘라내고, (부족하면) 그것을 이어붙인다.
天道, 亦然常損有餘而補不足. 奈何人之道, 則不然, 損下之不足, 而益上之有餘. 厲民奉君. 薄於人而厚於己. 此, 殆反乎天之道矣.
하늘이 일삼는 이치(道; 自然·無爲)는 늘 그러하게 (그) 남아도는 바를 가지는 바가 있는 바를 덜어내는 바로써, (그) 부족한 바를 보태주는 모습이다. (그런데) 어찌 사람이 일삼는 이치道는 그러하지 못한 채, (그) 아래의 부족한 바를 덜어내는 바로써, (그) 위의 남아도는 바를 가지는 바가 있는 바를 더해주는 모습인가? (사람이 일삼는 이치道는 아래의 부족한) 백성을 괴롭히는 바로써, (위의 남아도는 바를 가지는 바가 있는) 임금을 받든다. 타인을 얇아지게 하는 바로써, 자신을 두텁게 한다. 이것은 하늘이 일삼는 이치(道; 自然·無爲)를 해치고 어기는 일이다.
夫孰, 能施其有餘以奉天下元元之所不足者. 其唯有道者, 可以能之乎. 慈儉, 我之所有餘. 而用之不窮. 旣以爲人, 而己愈有. 此, 有道之所以奉天下者也.
누가 그 (자신이) 가지는 바가 있는 남아도는 바를 베풂으로써, 천하 곳곳의 부족한 사람들을 받들 수 있는가? 그 (하늘이 일삼는) 이치(道; 自然·無爲)를 가진 사람이 그것을 일삼을 수 있다! (그런데 무위無爲를) 아낌과 (유위有爲를) 덜어냄, (이것이) 그가 가지는 바가 있는 남아도는 바이다. 따라서 (그는 천하 곳곳의 부족한 사람들을 받듦) 그것을 일삼지만, (자신이 가지는 바가 있는 남아도는 바) 그것을 (그 끝점까지) 다할 수 없다. (그는 천하 곳곳의 부족한) 사람들을 (더해주는 바를) 일삼지만, 자신이 더욱 (많이) 가지게 된다. 이것이 (하늘이 일삼는) 이치(道; 自然·無爲)를 가진 사람이 천하를 받드는 까닭이다.
不欲見賢. 言旣以有餘而奉天下人. 不恃其能. 不居其功. 爲其, 不欲見賢故也. 見賢, 則有誇矜自大之心, 而失其所以賢矣.
(따라서 성인은 자신의) 어짊을 (일부러 일삼아) 드러내고자 하지 않는다. (그는 자신이) 가지는 바가 있는 남아도는 바(有餘; 無爲·自然·道)로써, 천하를 받드는 사람이다. (따라서 그는) 그 (자신의) 공능功能을 기대지 않는다. 그 (자신의) 공功에 머물지 않는다. (이것이) 그가 (자신의) 어짊을 (일부러 일삼아) 드러내고자 하지 않는 바를 일삼는 까닭이다. (자신의) 어짊을 (일부러 일삼아) 드러내게 되면, (자신의 공능功能과 공功을 일부러 일삼아) 자랑하고, (공능功能과 공功이 자신만 하지 못한 타인을 일부러 일삼아) 불쌍히 여기며, (자신의 공능功能과 공功을) 일부러 일삼아 커지게 (하고자) 하는 마음을 가지는 바가 있게 되고, 따라서 그 어질게 되는 까닭을 잃어버리게 된다.
첫댓글 잘못된 부분이 있다면, 모두 저의 부족함 탓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