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2장三十二章
도道는 (무위無爲에 대해 투박한 바이고, 따라서) 늘 그러하게 (일부러 일삼은) 이름을 가지는 바가 없다. 왕필은 일컬었다. “도道는 (일부러 일삼은) 모양을 가지는 바가 없고, (일부러 일삼은 모양을 가지는 바에 대해) 얽매이지 않으며, (따라서) 늘 그러하게 (일부러 일삼아) 이름 지어 부를 수 없다.” (비유컨대, 무위無爲에 대해) 투박한 바(樸; 道)는 비록 작지만, 천하가 감히 신하로 삼아 부리지 못한다. (따라서) 제후와 천자天子가 이른바 (무위無爲에 대해 투박한 바를) 지킨다면, 천하가 장차 저절로 그러하게 손님으로 찾아들게 된다. (따라서) 하늘과 땅이 (저절로 그러하게) 어우러지고 아우러지게 되고, 따라서 (하늘이 저절로 그러하게) 단 이슬을 내리게 되며, (따라서) 백성이 시키지 않아도 저절로 그러하게 가지런해지게 된다. (이른바, 사람이) 비롯되고 지어지자, (하늘과 땅은 하늘과 땅이라는) 이름을 가지는 바가 있게 되었고, 또한 이른바 (만물은 만물이라는) 이름을 가지는 바가 있게 되었다. 따라서 또한 장차 (세상 사람들은 도道를) 알아차리고 (도道에) 다다라야 하며, (도道를) 알아차리고 (도道에) 다다라야, 위태롭지 않을 수 있다. 비유컨대, 도道가 천하에 자리하고 있음은 이른바 시내 물과 계곡물이 강물과 바닷물에 흘러들어 있음과 같다. (따라서) 시내 물과 계곡물은 강물과 바닷물을 이룰 수 있고, (따라서) 강물과 바닷물은 시내 물과 계곡물을 거부할 수 없다. (이른바) 도道는 (천하에) 흩어진 채, 천하를 일삼는다. (따라서) 천하는 (도道를) 거부할 수 없고, 따라서 (천하는) 도道를 일삼아야 한다.
道, 常無名. 王輔嗣曰: 道, 無形, 不繫, 常不可名. 樸雖小, 天下, 不敢臣. 侯王, 若能守, 萬物, 將自賓. 天地, 相合, 以降甘露, 民, 莫之令而自均. 始製有名, 名亦既有. 夫亦將知止, 知止, 可以不殆. 譬道之在天下, 猶川谷之於江海. 川谷, 能成江海, 江海, 不能反川谷. 道, 散而為天下. 天下, 不能反, 而為道.
(이른바, 무위無爲에 대해 투박한 바가) 큰 바(大; 道)와 (저절로 그러하게 하늘과 땅을 짓고) 비롯한 바(始; 道)를 말미암는 사람은 (일부러 일삼은) 이름을 가지는 바가 없다. (그러나 무위無爲에 대해 투박한 바가 작은 바有爲와 사람이 일부러 일삼아 짓고 비롯한 바有爲에 따라) 그러할 따름인 바에 다다르는 사람은 (일부러 일삼은) 이름을 가지는 바가 있다. 따라서 이른바 (일부러 일삼은) 이름을 가지는 바가 있는 사람은 (일부러 일삼은 이름을 가지는 바가 없고, 하늘과 땅을 짓고 비롯되게 하며, 무위無爲가 투박한 바가 큰 바인 도道) 그것에 다다라야 한다. 왜냐하면, 전자前者가 가지는 바가 있는 이름은 (이른바 저절로 그러하게 오래 서는 바를) 이루게 되지만, 후자後者가 가지는 바가 있는 이름은 이른바 (일부러 일삼아 오래) 서지 못하(는 바를 이루)게 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세상 사람들은 유위有爲) 이것을 지나쳐야 하고, 따라서 (세상 사람들은 무위無爲에게) 나아가야 하며, 따라서 (세상 사람들은 무위無爲에 대해 투박한 바가) 크고, (저절로 그러하게 하늘과 땅을 짓고) 비롯한 바(인 도道)를 일삼을 수 있다.
因於大始者, 無名. 止於已然者, 有名. 然既有名, 而能止之. 則前名, 成, 而後名, 猶不立. 過此以往, 仍可為大始.
(이른바) 하늘과 땅은 (무위無爲에 대해) 순박한 바이다. (따라서 하늘로부터 내려오는) 단 이슬은 (유위有爲가) 텅 빈 바이다. (따라서 만물은 저절로 그러하게) 땅에서 (자라) 오르고, 따라서 땅은 (그러한 자신의) 공功에 머물지 않는다. (따라서 단 이슬이) 하늘로부터 내려오지만, 하늘은 끝내 (그러한 자신의 공功에 머무는 바를 가지지 않는다.
天地, 質也. 甘露, 冲也. 升於地, 而地, 不居功. 降自天, 而天, 不終有.
따라서 이른바 (제후와 천자天子가 무위無爲에) 다다르게 되면, 따라서 (이른바) 뒤이어 (천하) 그것이 저절로 그러하게 된다. 따라서 (이른바 제후와 천자가 일부러 일삼아) 시키지 않아도, 따라서 (이른바 천하가) 저절로 그러하게 가지런해지게 된다.
是既止, 以後之, 自然. 且莫令, 而自均. 後天之冲, 合於先天. 況夫未始有, 夫有止者乎?
첫댓글 잘못된 부분이 있다면, 모두 저의 부족함 탓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