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널리즘 토크쇼J’, 구독률 급감에도 줄지 않는 신문 발행부수의 비밀
[미디어비평] 탁발의 티비 읽기
요즘 신문 한 부에 얼마나 할까? 아마도 아는 사람이 거의 없을 것이다. 기억조차 가물거리는 지하철 신문판매원 그리고 통 본 기억이 없는 거리의 신문가판대. 인터넷을 넘어 모바일로 뉴스가 소비되는 시대에 너무도 당연한 현상이다. 어디 인터넷과 모바일의 영향뿐이겠는가. 모바일의 공세가 아니더라도 종이신문에 대한 신뢰·가치의 하락은 신문을 멀리하게 된다. <저널리즘 토크쇼J> 47회 방송 “공짜뉴스는 없다” 편은 이런 현상 속에서도 줄지 않는, 아니 오히려 증가세를 보이는 종이신문 발행의 기적(?)을 다뤘다. 정세진 아나운서가 주제를 소개하는 부분에서 모차르트의 레퀴엠 ‘라크리모사’가 흘렀다. 모차르트 레퀴엠 중에서도 가장 아름답고 슬픈 곡이다. 음악이 흐르는 동안 정세진 아나운서가 읽어 내려간 것은 ‘미디어오늘’의 유료신문 관련 기사였다. 심상치 않은 BGM의 이유를 짐작하게 된다.

<저널리즘 토크쇼J>가 강조한 기사 말미의 내용은 “조중동으로 분류되는 3대 보수 신문의 지난해 매출 총합은 8815억원으로 이는 전년에 비해 102억원 상승한 것이다. 진보 언론인 한겨레·경향의 매출 총합은 1736억원으로 전년에 비해 57억원 상승했다”는 부분이었다. 또 다른 자료를 참고해봐야 했다. 민주언론시민연합 김언경 사무총장이 들고 온 자료에 의하면 신문열독률과 구독률은 2018년 기준 9.5%에 불과하다. 1996년의 69.3%에는 차마 비교조차 할 수 없고, 그나마 가까운 2011년의 24.8%에도 현격하게 떨어진 수치이다. 이런 현상이면 종이신문사들은 경영난으로 최소 몇 군데는 문을 닫았을 거라는 예상을 해도 무리가 아니다. 그러나 현실은 데이터와 합리적 추론을 배신했다. 언론진흥재단이 조사한 ‘언론산업통계’ 결과에 따르면 언론사는 오히려 증가하고 있다. 신문 구독자는 눈에 띄게 줄었는데 정작 신문 산업 자체는 건재한 기현상을 발견하게 된다. 현실과 부합되지 않은 자료의 끝판왕은 아직 등장하지 않았다. 일간지 발행·유료부수를 인증하는 한국ABC협회의 발표에 따르면 종이신문의 발행은 뉴스소비의 혁명적 변화에도 불구하고 줄지 않고 있다. 어떻게 된 일일까?
http://www.mediaus.co.kr/news/articleView.html?idxno=154495
첫댓글 j가 선도하고 기사가 이슈를 확장하는 순환이 많이 이루어지길....
저도 이번 방송 보면서 충격을 금치 못했네요
최욱씨가 우리 일반인들을 대변하고 같이 공감할 때마다 박수를 쳤습니다 ㅠ
다른 분들은 이미 다 알고있는 공공연한 사실들이었다고요....
정말 충격과 분노 비슷한 허탈감 그 자체였어요!
종이 신문의 가치나 언론사의 갑질 횡포가 완전 쓰레기더라구요...결국 ABC협회도 악어와 악어새 관계 같은 구조가 참 문젠데
도대체 해결 방안은 뭘까요??
아니 어떻게 레퀴엠을 쓴 이유를????!!!!!!
나도 몰랐는데!!!!
음악 참 좋았어요.
일반인이 잘 모르는 이런 내용을 자주 언급해 주시면 좋겠습니다.
많은 매체에서 꾸준히 언급되었으면~ 하는 바램입니다.
저는 처음 알아서 놀랐고, 다들 알고 계셨던 듯 싶어서 또 놀랐죠. 제 주변 회사동료들은 역시나 처음 알았다는 반응이었어요.
완전 사기꾼들이 주인 노릇을 하는 이런 상황을 언제나 벗어날 수 있을런지.
많이 배우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