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47년 3월 1일, 제주에서는 삼일절 기념행사 이후 통일 정부 수립 요구 시위가 열렸다. 이 시위에서 경찰이 시위를 구경하던 사람들에게 발포하면서 사상자가 발생하였고, 사건 수습 과정에서 미군정은 제주도 주민들을 탄압하였다.
미군정에 대한 반감이 높아진 상황에서 1948년 4월에 제주도 좌익 세력은 단독 선거 저지, 통일 정부 수립을 내세우며 무장봉기를 일으켰다.(제주4·3사건) 미군정이 경찰과 군대를 동원해 무력으로 이를 제압하는 과정에서 수많은 무고한 제주도민이 희생되었다.
(사진설명: 여수·순천 10·19사건 진압군이 부역 혐의자를 가려내기 위해 주민을 모아 놓았다. 오른쪽 대열에 앉아 있는 사람들이 부역 혐의자이다.)
대한민국 정부 수립 이후 이승만 정부는 여수에 주둔한 군부대 일부를 제주도로 출동시키려 하였다. 이에 부대 내 좌익 세력이 '제주도 출동 반대', 통일 정부 수립' 등을 내세우며 무장봉기를 일으키고 여수·순천 지역을 점령하였다.(여수·순천 10·19 사건)
정부는 반군을 진압하는 한편, 군 내부 좌익 세력을 제거하였다. 수습 과정에서 일부 반군은 지리산 등으로 이동하여 6·25 전쟁 때까지 활동을 지속하였다.
※ 자료제시(2쪽에 제시) : ‘잊혀지지 않는 기억, 제주 4·3사건’
자료1. 흐름으로 보는 4·3 사건 연표 제시(1947~2014)
‘3·1절 발포사건-파업-무장봉기-평화협상-5·10총선거-한라산 금족 구역 해제-순이삼촌 발표-4·3특별법 국회 통과- 추념일 지정’을 연표로 상세히 제시
자료2. 제주 4·3 사건의 현장
도내 6개 유적(관덕정, 영모원, 무명천 할머니 삶터, 섯알오름 학살터, 제주4.3평화공원, 너븐숭이 4·3기념관)을 지도로 표시하여 지리적으로 알리고, 각 유적의 사진으로 제시하고 설명을 간략하게 함.
자료3. 제주4·3사건 진상 조사
이 진상 조사 보고서는 '제주4·3특별법의 목적에 따라 사건의 진상 규명과 희생자 유족들의 명예 회복에 중점을 두어 작성하였으며, 제주4·3사건 전체에 대한 성격이나 역사적 평가를 내리지 않았습니다. -제주4·3사건 진상보고 서문- |
자료4. 노무현 대통령 사과문, 사과하는 대통령 사진 첨부
※고등학교 한국사 교과서 왜곡된 제주4·3사건 수정해야 할 내용 - 2. 동아출판
제주 4.3사건이 발발하다
1947년 3월 1일, 제주에서는 남조선노동당을 지지하는 삼일절 기념행사 이후 남로당의 계획대로 불법시위가 열렸다. 이 불법시위에서 망루에서 근무하던 경찰이 동료을 구하기 위해 사격을 하여 시위를 구경하던 사람들의 사상자가 발생하였다. 이 사건으로 관련자 문책과 치안 책임자 퇴진 요구 등 남로당제주도당은 파업단행의 선동방침을 토의한 후 투쟁 기금을 모금토록 하여 각 읍면위원회에 지령을 내렸다.
3·1 사건 이후 경찰과 주민의 관계도 매우 경직되어 종종 서로 간에 불상사가 일어났다. 남로당중앙당은 소위 2·7투쟁이 성과를 얻지 못하자 단선반대 투쟁에 정치적 사활을 걸고 있었다. 이런 상황에서 1948년 4월에 남로당 제주도당은 단독 선거 저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수립을 내세우며 무장폭동을 일으켰다.(제주4·3사건) 인민유격대는 5·10총선거 방해 공작과 테러를 계속하여 불안한 사회를 만들었고, 지하선거를 통하여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건국을 위한 선거에 투표토록 하였고, 대한민국정부에 선전포고를 하여 정부군과 인민해방군과의 교전과정에서 많은 제주도민이 희생되었다.
(사진설명: 1948년 10월 27일 여수 서국민학교 교정에 여수·순천 10·19사건 진압군이 부역 혐의자를 가려내기 위해 주민을 모아 놓았다. 왼쪽은 부역하지 않은 사람들의 줄이다. 오른쪽 대열에 앉아 있는 사람들이 반란군의 부역자로 분류된 사람이다. 좌측줄에 있던 사람도 누가 「저 사람 부역했다」고 하면 오른쪽 줄로 옮겨졌다. 교정 밖의 하늘엔 그때까지도 화염이 솟아올라 진압군의 사태진압이 마무리되지 않았음을 보여주고 있다.)
대한민국 정부 수립 이후 이승만 정부는 여수에 주둔한 국군 14연대 군부대 일부를 제주도로 출동시키려 하였다. 이에 부대 내 남로당 좌익 세력이 '제주도 출동 반대', 인민공화국 수립' 등을 내세우며 무장봉기를 일으키고 여수·순천 지역을 점령하였다.(여수·순천 10·19 사건)
정부는 반란군을 진압하는 한편, 군 내부 좌익 세력을 제거하였다. 수습 과정에서 일부 반란군은 지리산 등으로 이동하여 6·25 전쟁 때까지 활동을 지속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