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악목회자의 자격
1. 신학적인 이론을 갖춘자이어야 한다.
첫째, 여기엔 조직신학 즉 창조론에서 종말론에 이르기까지 총체적인 것과 둘째, 성서신학 셋째, 교회사 넷째, 실천신학분야로 그 속엔 설교, 예배, 교육, 목회, 선교 등이며
2. 교회음악이론과 실제 연주 능력이 있는 자이어야 한다.
첫째, 교회음악 이론에는 찬송가학, 악전, 화성악, 대이법, 악기, 바성, 예배음악, 음악목회, 교회음악사, 합창지도법 등 수많은 학문을 연마 해야하며 둘째, 연주라 함은 독주, 독창, 작곡, 등 악기까지 잘 다룰 수 있어야 한다.
3. 원만한 인격자로서
이는 자신을 하나님앞에 온전히 바치는 헌신하는자이며, 함께 즐거워하고 함께 울어줄 선한 사마리아인 같은 사람이며, 성숙한 신앙과 신학적 이론을 갖춘자를 의미한다.
4. 건강한자이어야 한다.
위의 내용을 바탕으로 크게 네가지 분야로 나누어 보았다. 자연적인 자격, 도덕적인 자격, 영적인 자격, 법적인 자격으로 나누어 세분화 해 보았다.
1) 자연적인 자격 목회자 인간 본성에 대한 자격을 말하는 것으로
⑴ 정신적으로 안정 된 자 사람은 감정의 동물이기 때문에 흥분하기 쉽고 흥분하면 실수하기 쉽다. 그러므로 침착과 안정이 필요하다. 특히 중상모략, 억울함, 돌발적 사고, 임종의 순간, 슬픔을 당할지라도 침착 안정을 추구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① 하나님과의 참된 관계 즉 영적 관계를 수립해야 하고 ② 세상일 즉 성공에 몰두하지 말며 ③ 자기의 정체성을 분명히 알고 자각 하여야 하며 ④ 항상 안정된 심령을 가지려 노력해야 한다.
⑵ 동정심 ~와 함께 ~을 겪다 혹은 경험 하다는 뜻으로 타인의 슬픔과 아픔을 함게 경험한다는 뜻이다. 즉 주변에 슬픔을 당한 사람들이 많고, 실패와 재난으로 실의에 빠진 대원들 및 소속원들이 많다. 이런 사람들에게 동정을 베풀어 그리스도의 사랑을 몸으로 전하는 일은 매우 중요하다.
⑶ 어울림 대원들과 친구가 되어야 한다. 예수님께서는 제자들을 종이라 하지 않고 친구라고 하셨다. 그러므로 대원들의 좋은 친구, 믿을 수 있는 친구가 되어야 한다.
⑷ 열심 : 음악목회자는 열심이 있어야 한다.
⑸ 진실 : 목회자는 진실해야 한다. 즉 하나님의 말씀이 진리이기 때문에, 하나님께서는 진실한 목사를 통하여 진리를 나타내신다.
2) 도덕적 자격 성경적인 자격을 갖춘 자(딤전 3:1~7)
⑴ 책망할 것이 없는 사람(딤전3:2, 딛1:6-7) 리더자로서 삶에 모델이 되며, 한사람의 인간으로서 그들 가운데 살기 위함이다) ⑴ 술에 인배기지 않은 사람 ⑵ 한 아내의 남편 ⑶ 분내거나 구타하지 않는 사람 ⑷ 경제적 의무를 가진다. 즉 지나치게 가난해도 안되고 성경에서도 가족들을 돌보지 않는 자는 불신자 보다 더 악한 자라고 했다(딤전 5:8) ⑸ 가족에 대한 의무를 다하여야 한다. 교회를 사랑 하듯 가족도 사랑해야 한다. 가족을 위하여 신간을 배려하고 가족들 끼리의 사랑을 돈독히 해야 한다. ⑹ 물질에 있어서 초연해야 한다. 이는 물질 문제에 있어서 분수에 관계 없이 봉사하라(A. W. Palmer), 한사람이 두 주인을 섬기지 못한다(마6:24), 부하려 하지 말라(딤전 6:12) 즉 특히 사례금에 대해서 초연해야 한다. ⑺ 이성문제에 있어서 물의를 일으키지 않는 자이어야 한다. ⑻ 절제하는 자이어야 한다. ⑼ 자기집을 잘 다스리는 사람이어야 한다. 이는 일관성 있는 훈육과 그의 말의 진실성을요구 한다. ⑽ 가장으로서, 남편으로서, 아버지로서의 의무를 다 하여야 한다. ⑾ 사역지에서 음악목회 하는 것처럼 모범적목회 생활이 곧 가정생활이어야 한다. ⑿ 자녀 교육에 힘서야 한다. ⒀ 구타하지 아니하는 자 이는 사람들과 싸움 하는 사람이 아니라 마귀와 싸 우는 자이기 때문이다.
3) 영적 자격 ⑴ 음악목회자는 영적 지도자이다. 그러므로 신령한 생활에 최선을 다해야 한다. ⑵ 목회의 은총에 대한 확신(구원에 대한 확신)이 있어야 한다. ⑶ 기도의 사람이어야 한다. ⑷ 말씀을 연구하는 자이어야 한다. ⑸ 음악목회에 대한 깊은 연구가 선행되어야 한다. ⑹ 음악목회학을 체계적으로 깊이 연구 해야 한다. ⑺ 일반 서적에도 관심을 갖고 풍부한 지식이 있어야 한다. ⑻ 그러기 위해서는 복음을 기초로 하고 있는 신학과 음악에 관한 이론을 먼 저 적립해야 한다. ⑼ 끊임 없이 배우기를 즐겨하는 자 이어야 한다. ⑽ 음악목회를 위해서 희생하는 자 여야 한다. ⑾ 다른 목회자와의 관계가 원만해야 한다. ⑿ 다른 목회자와 서로 협력해야 한다. ⒀ 잘 가르치는 사람이어야 한다(딤전3:2, 딤후 2:24) ⒁ 자기 몸을 잘 관리 하는 자 이어야 한다. (건강 문제로서 휴식도 적절히 잘 하여야 한다) ⒂ 건전한 취미 생활을 하는 자 이어야 한다 (16) 교제의 삶을 살아야 한다. (17) 소명이 있는 자이어야 한다. 이는 오직 하나님의 부르심을 받은 사명감을 가진자만이 할 수 있다.
① 내적 증거 ⓐ 영혼에 대한 뜨거운 열정이 있다. ⓑ 자신의 삶에 대하여 기쁨이 있어야 한다.
② 외적 증거 ⓐ 소명받은 증거는 효과적 사역의 결신이다. ⓑ 타인으로부터 인정을 받아야 한다. ⓒ 은사가 있어야 한다.(음악적인, 교사, 목사 등)
4) 법적 자격
각 교단의 정해진 법에 준한 자
위의 각 항목들을 고찰 해 볼 때 일반 목회자의 역할과 마찬가지로 음악목회자도 교인들의 영적, 정신적, 육체적, 정서적 그리고 특별히 예술적으로 원하는 부분을 공급해 주어야 한다. 그러므로 음악 목회자는 음악으로서, 하나님을 섬기되 교인들의 영적 필요조건을 채워주는 지도자로서, 연주능력이 뛰어난 연주자로서, 많은 음악 지식과 기술을 겸비한 유능한 교육자로서, 그리고 교회의 전체적인 균형을 고려하여 알맞는 행정을 펼 수 있는 행정가로서의 직무도 겸비 하여야 한다고 볼 수 있다.
내용출처 : 목회학 한국장로교출판사 이상운지음 외 서울기독대학교 교회음악행정 강의안 및 성서
* 위 글은 웹서핑 중에 옳다고 생각되어 게재합니다. 이 글을 올려주신 분에게 감사드립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