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금호칭에 조(세조)와 종(세종)으로 부른이유
조선시대 임금은 특별한 절차나 법칙에의하여 호칭이 정해지지는않으나,
종은 덕이 많은 임금에게 쓰였으며, 조는 업적이 많은 임금에게 붙혔습니다.
그러나 이 호칭은 보통 사후에 기록되므로 업적이나 치적의 평가가 다를수 있으므로
객관성인 확실한 법칙이라고 보기에는 어렵다..
임금들의 호칭에 -조(祖), -종(宗)을 붙인 것을 묘호(廟號)라고 하는데
태조.태종.세종.세조.성종.선조와 같은 호칭은 왕들의 이름이 아니고
임금들이 죽은 후에 신주를 모시는 종묘의 사당에 붙인 칭호이기 때문에 묘호라고 한다
묘호는 그 왕이 죽은 후 신주를 종묘에 모실 때 그 묘실(廟室)을 지칭하기 위해
조정에서 의논해 정하는 것입니다.
또한 우리가 알고있는 광해군, 연산군 등은 한때는 임금의 위치에 있었으나
반정으로 폐위된 군왕이기에 군 이라는 호칭이 붙습니다.
"군" 이라는 호칭은 왕의 아들을 칭하는것이 보통이나
광해군, 연산군은 예외로 부르고 있다
연산군과 광해군은 반정으로 축출되고 죽은 후 종묘에 들어가지 못하였기
때문에 당연히 묘호가 없으며 연산군이나 광해군이라는 칭호는
그들이 왕자시절에 받은 봉군(封君) 작호(爵號)이며
이는 그들이 다시 왕자의 신분으로 강등되었음을 뜻합니다
정종(定宗)과 단종(端宗)은 오래동안 묘호 없이 공정왕(恭靖王)과
노산군(魯山君)으로 불리웠으나
숙종 때 와서 비로소 정하여 올린 묘호이다.
즉위는 못하였으나 후에 왕으로 추존된 이들에게도 묘호를 올렸다
성종의 생부인 덕종(德宗)
인조의 생부인 원종(元宗), 정조의 생부인 장조(莊祖) 양부인 진종(眞宗)
헌종(憲宗)의 생부인 익종(翼宗: 후에 文祖로 개칭)이
그들로 이들은 모두 왕자의 신분이었으나
사후에 아들들이 왕이 되어 국왕의 지위로 예우 격상된 것이다
그러나 선조의 생부인 덕흥대원(德興大院君)이나
고종의 생부인 흥선대원군(興宣大院君)은 왕자가 아니었고
또 계승의 차례에도 맞지 않아 왕으로 추존되지 못 했다
왕이 살았을때 반란이 일어나면 죽어서 '조'자가 붙고
공을 세우면 '종'자를 붙인다는 공론이다
인조는 인조반정으로 왕위에 올라 '조'를 붙이고
세종도 백성을 가르치는 바른소리인 '훈민정음'을 만드셨기에 '종'을 붙입니다
세종은 업적을 크게 평가해서 대왕이라는 칭호를 현새에서 받고 있다
세조 같은 경우엔, 단종을 다시 복위하자는 반란이 일어나 '조'를 붙인것 입니다.
고종은 황제국을 세웠기에 '종'을 붙인것 입니다.
조(祖)
태조. 세조. 선조. 인조. 영조. 정조. 순조 등 7명으로
창업군주, 중흥군주나 큰 국난을 극복했거나 반정을 통해 즉위한 왕.
종(宗)
27명의 왕 중 9명을 뺀 나머지 왕들로 '수성'을 한 왕에게 붙임.
조와 종의 기준은 애매모호하며 당시의 정치적 형편에 영향을 받아 이루어진 것임.
[수성(守成)이란 선왕이나 부조가 이룬 업을 이어서 지킴]
군(君) 2명
연산군.광해군
그런데
왜 고종때는 임오군란, 청·일 전쟁이 일어났는데 어찌하여 종이 붙은것인지
정조도 왜 조가 붙은것인지 아리송한 것도 있으나
대체적으로 왕이 살았을 때 반란이 일어나면 죽어서 '조'자가 붙고
공을 세우면 '종'자를 붙이다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