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혼한 후~
그 혼인 무효 확인을 구할 수 있을까?
# 이 글을 知人들과 共有하면
自利利他요, 그 知人에게 도움이 될 수도
있습니다~.
-이글은
My kakaotok Law Life.kr
에서 퍼 온 글입니다.-
♣ < My 핸드폰으로 보고 싶어요~
My kakaotok OR 메시지 窓이나
google 입력창에
Law Life.kr
이라고 입력하시면 됩니다.
이에 관하여는
My kakaotok Law Life.kr에서
자세히 살펴보기로 하지요.~
<옮긴이 법무사 김형학>
-20므15896 혼인의 무효 (사) 파기자판
혼인관계가 이혼으로 解消된 이후에도
과거 일정기간 存在하였던~
혼인관계의 무효확인을 求할 확인의
이익이 있는 지의 與否 (積極)-
자~
1. 일반적으로 과거의 법률관계는~
확인의 訴의 대상이 될 수 없지만,
그것이~
이해관계인 사이에 현재 또는 잠재적 분쟁의
전제가 되어
과거의 법률관계 자체의 확인을 구하는 것이
관련된 분쟁을~
한꺼번에 해결하는 유효·적절한 수단이
될 수 있는 경우에는
例外的으로 확인의 이익이 인정된다.
(대법원
1995. 3. 28. 선고 94므1447 판결,
대법원
1995. 11. 14. 선고 95므694 판결 등 참조).
이혼으로 혼인관계가 이미 해소되었다면
기왕의 혼인관계는 과거의 법률관계가 된다.
그러나
신분관계인 혼인관계는~
그것을 전제로 하여
수많은 법률관계가 형성되고
그에 관하여~
일일이 효력의 확인을 구하는 절차를
반복하는 것보다
과거의 법률관계인 혼인관계 자체의
무효 확인을 구하는 편이
관련된 분쟁을~
한꺼번에 해결하는 유효·적절한 수단일 수
있으므로,
特別한 事情이 없는 限
혼인 관계가 이미 解消된 이후라고
하더라도~
혼인무효의 확인을 구할 이익이 인정된다고
보아야 한답니다.
자~
그 상세한 이유는 다음과 같아요.
# 무효인 혼인과 이혼은
법적 효과가 다르답니다.~
무효인 혼인은~
처음부터 혼인의 효력이 발생하지 않지요.
따라서
姻戚이거나 인척이었던 사람과의
혼인 금지 규정(민법 제809조 제2항)이나
친족 사이에 발생한 재산범죄에 대하여
형을 면제하는 친족상도례 규정
(형법 제328조 제1항 등) 등이
적용되지 않는답니다.
반면
혼인관계가 이혼으로 해소되었더라도
그 효력은~
장래에 대해서만 발생하므로
이혼 전에 혼인을 전제로 발생한 법률관계는
여전히 유효하답니다.
예를 들어~
이혼 전에 부부의 일방이
일상의 家事에 관하여~
제3자와 법률행위를 한 경우
다른 일방은~
이혼한 이후에도 그 채무에 대하여
연대책임을 부담할 수 있지만
(민법 제832조),
혼인무효판결이 확정되면
기판력은~
당사자뿐 아니라 제3자에게도 미치므로
(가사소송법 제21조 제1항)
제3자는~
다른 일방을 상대로 일상가사채무에 대한
연대책임을 물을 수 없게 되지요.
그러므로
이혼 이후에도~
혼인관계가 무효임을 확인할 실익이
존재한답니다.
# 가사소송법은~
부부 중 어느 한쪽이 사망하여 혼인관계가
해소된 경우
혼인관계 무효확인의 소를 제기하는 방법에
관한 규정을 두고 있지요.
즉 가사소송법 제24조에서는
‘부부 중 어느 한쪽이~
혼인의 무효나 취소 또는 이혼 무효의 소를
제기할 때에는
배우자를 상대방으로 한다.’(제1항),
‘제3자가 제1항에 규정된 소를 제기할 때에는
부부를 상대방으로 하고,
부부 중 어느 한쪽이 사망한 경우에는
그 생존자를 상대방으로 한다’(제2항),
‘제1항과 제2항에 따라
상대방이 될 사람이 사망한 경우에는
검사를 상대방으로 한다’(제3항)고
규정함으로써,
혼인당사자 모두 또는 한쪽이 사망하여
혼인관계가 해소되고
과거의 법률관계가 되었다고 하더라도~
그 혼인관계의 무효 확인을 구하는 소를
제기할 수 있음을 전제로~
구체적인 방법을 마련하고 있답니다.
이러한 가사소송법 규정에 비추어
이혼한 이후~
제기되는 혼인무효 확인의 소가
과거의 법률관계를 대상으로 한다는
이유로~
확인의 이익이 없다고 볼 것은 아니랍니다.
# 대법원은
협의파양으로 양친자관계가 해소된 이후
제기된
입양무효 확인의 소에서
확인의 이익을 인정하였답니다.
대법원 1995. 9. 29. 선고
94므1553(본소), 1560(반소) 판결은~
‘원·피고 간의 入養이 무효임의 확인을
구하는 이 사건 반소청구는
이미 협의파양 신고로 인하여
원․피고 간에 양친자관계가 해소된 이후에
제기된 것이므로
위 협의파양의 무효를 구하는 본소청구가
인용되어
원·피고 간에 양친자관계가 회복되지
아니하는 限~
이는 과거의 법률관계에 대한 확인을 구하는
것이라 하겠지만,
위 입양은~
원·피고 간의 모든 분쟁의 근원이 되는
것이어서
이의 效力 有無에 대한 판단 結果는~
당사자 간의 분쟁을
발본적으로 해결하거나
예방하여 주는 효과가 있다 할 것이므로
이를 즉시~
확정할 법률상의 이익이 있다’고
판단하였답니다.
대법원의 위와 같은 판단은~
이혼으로 혼인관계가 해소된 이후
제기된
혼인무효 확인의 소에서
확인의 이익을 판단할 때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지요.
# 무효인 혼인 전력이 잘못 기재된
가족관계등록부의 정정 요구를 위한
객관적 증빙자료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혼인관계 무효 확인의 소를 제기할 필요가
있답니다.
혼인무효 판결을 받은 당사자는
가족관계등록부의 정정을 요구할 수 있고,
그 방법과 절차는~
「가족관계의 등록 등에 관한 법률」제107조
등이 정한 바에 따르게 되지요.
즉 혼인무효 판결이 확정되면
당사자는~
가족관계등록부 정정신청을 할 수 있는데,
시(구)·읍·면의 장은~
‘혼인무효 사유가 한쪽 당사자나
제3자의 범죄행위로 인한 경우’ 에는
가족관계등록부를 재작성하고
[「가족관계등록부의 재작성에 관한 사무처리
지침」
(가족관계등록예규 제442호) 제2조 제1호,
제3조 제3항],
그 외의 경우에는
무효인 혼인이 기록된 부분에 하나의 線을
긋고
무효인 말소내용과 사유를~
기록하는 방법으로
가족관계등록부를 정정하게 된답니다.
(「가족관계의 등록 등에 관한 규칙」
제66조 제2항).
이러한 절차 규정에 비추어 볼 때
이혼으로 혼인관계가 이미 해소되었을 때
그 무효 확인을 구하는 소는
혼인 전력이 잘못 기재된 가족관계등록부
정정요구에 필요한 객관적 증빙자료를
확보하기 위해 필요한 것으로서,
가족관계등록부 기재사항과
밀접하게 관련된
현재의 권리 또는 법률상 지위에 대한
위험이나 불안을~
제거하기 위한 유효․적절한 수단에 해당할 수
있지요.
# 司法 작용은~
구체적인 법적 분쟁이 발생하여
당사자가
법원을 통한 권리구제를 구하는 경우에
비로소 발동되는 消極的인 國家作用이나,
재판의 청구가 있는 이상 법원은~
可能한 限 이를 적극적으로 받아들여
국민의 법률생활과 관련된 분쟁이
실질적으로 해결될 수 있도록
필요한 노력을 다하여야 하지요.
가족관계등록부의 잘못된 기재가~
단순한 불명예이거나 간접적·사실상의
불이익에 불과하다고 보아
그 기재의 정정에 필요한 자료를 확보하기
위하여
기재 내용의 무효 확인을 구하는 訴에서
확인의 이익을 부정한다면,
혼인무효 사유의 존부에 대하여
법원의 판단을 구할 방법을
미리 막아버림으로써
국민이 온전히 권리구제를 받을 수 없게
되는 결과를 가져올 수 있답니다.
2. 이와 달리~
‘단순히 여자인 청구인이
혼인하였다가 이혼한 것처럼
호적상 기재되어 있어
불명예스럽다는 사유는~
청구인의 현재 법률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것이 아니고요.~
이혼신고로써 해소된 혼인 관계의
무효 확인은~
過去의 법률 관계에 대한 確認 이어서
확인의 이익이 없다’고 본~
대법원
1984. 2. 28. 선고 82므67 판결
등은~
이 판결의 견해에 배치되는 범위에서
이를 변경하기로 한다고 하였답니다.
자~
혼인신고를 하여
법률상 부부였던 원·피고는
이혼 조정이 성립함에 따라
이혼신고를 마쳤답니다.
원고는
혼인 의사를 결정할 수 없는
극도의 혼란과 불안, 강박 상태에서
혼인에 관한 실질적 합의없이~
이 사건 혼인신고를 하였다고 주장하면서
주위적으로~
혼인무효 확인을~
혼인의사를 결정할 수 없는 정신상태에서
피고의 강박으로
이 사건 혼인신고를 하였다고 주장하면서
예비적으로 혼인취소를 청구하였답니다.
자~ 원심은,
혼인무효 확인을 구하는 주위적 청구에
대하여는~
‘혼인관계가 이미 이혼신고로 해소되었다면
위 혼인 관계의 무효확인은~
과거의 법률관계 확인으로서
확인의 이익이 없다’는 취지의
대법원
1984. 2. 28. 선고 82므67 판결을
인용하면서
원고와 피고 사이에 이미 이혼신고가
이루어졌고
이 사건에서
원고의 현재의 법률관계에 영향을 미친다고
볼 아무런 자료가 없어
확인의 이익이 없다고 판단하였고요.~
혼인 취소를 구하는 예비적청구에 대하여도
이미 이혼으로 혼인관계가 해소되었으므로~
역시 소를 제기할 이익이 없다고
판단하였답니다.
이에 대하여
원고가 혼인무효 확인을구하는
주위적청구에 대하여 상고를 제기하였답니다.
자~
대법원은 전원합의체판결을 통하여
위와 같은 법리를 설시하면서,
혼인관계가 이미 해소된 以後라고
하더라도
혼인무효의 확인을 구할 이익이 인정된다고
판단하고,
이와 다른 입장에 있던
대법원
1984. 2. 28. 선고 82므67 판결 등을
변경하면서
원심을 파기·자판하여 제1심판결을 取消하고,
사건을
제1심 법원으로 환송하였답니다.
-See You Again-
<옮긴이 법무사 김형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