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접어둘 수 없는 이야기(uncover the truth)
제작기간 2001년
정원철 작가는 한국에서 회화 전공한 후 독일에서 유학했고 지금은 국내의 미술대학에서 판화를 가르치고 계십니다. 작가는 유학 중 아우슈비츠를 방문한 일이 계기가 되어 한국에 돌아온 후 종군 위안부 할머니들에 대한 삶을 작품으로 풀어내는 작업을 했습니다.
아울러 작가는 할머니들의 삶을 피상적인 표현에 그치지 않고 진실되게 담기 위해 다양하고 오랜 작업 준비기간을 거쳤는데요, 당시 위안부 문제를 처음으로 미술계에 화두를 던진 작품으로 시기적으로나 작품 자체로나 큰 의미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어찌 되었든 예술이란 것은 '사람'이 하는 일인 동시에 사람을 향해, 사람 속에서 이루어지는 일이라고 믿고 있으니까요. 그러한 예술이 사람이 살고 있는 사회와 그의 역사 또한 외면해서는 안된다고 생각합니다. 작가가 되고자 하는 저에게는 여러 의미에서 귀감이 되었던 작품인지라, 동지 여러분도 많이 접하시고 느끼셨으면 하는 마음에 올려봅니다. ^^
작가 관련 프로필
1960 경기도 양평 출생
1979~1985 홍익대학교 미술대학 /대학원 서양화과 졸업 ( B.F.A./ M.F.A.)
1989~1993 독일 카쎌대학교 미술대학 조형예술과 졸업 ( Diplom )
1999~ 추계예술대학교 미술학부 판화전공 교수
개인전
2005 문명의 땅 (민 아트갤러리, 크라이스트처치)
2004 접어둘 수 없는 이야기 - 통영展 (시민문화회관 대전시실, 통영)
2003 extra Extras : 매우 특별한 조연들 (갤러리 우덕 초대, 서울)
2002 문명의 땅 (갤러리 P.P 초대, 양평)
2001 접어둘 수 없는 이야기 (동산방 화랑 초대, 서울)
1999 나무와 사람 (철학마당 느티나무 초대, 서울)
1997 수상작가 초대전(류블랴나 국제판화 비엔날레 조직위원회 초대. 류블랴나)
1997 사이 그림 (추제화랑 초대, 서울)
1993 얼골 (코아트 갤러리 초대, 서울)
1993 두상들 (갤러리 스튜디오 카우쉬 초대, 카쎌)
1992 나는 어제를 보았고, 내일을 안다 ! (갤러리 안 화리나 초대, 퀼른)
1990 목판화전 (갤러리 안 화리나 초대, 쾰른)
1989 목판화전 (토 갤러리, 서울)
1985 목판화전 (관훈갤러리, 서울)
주요전시
2006 수맥의 초상 2006: 일본, 한국, 독일의 오늘 (홋카이도립 근대미술관,삿포로)
crossing gene (휴매니티즈 갤러리, 위스콘신: 썬컨템포러리, 서울)
한, 일 현대판화의 명상전 (마가미술관, 용인)
한국현대미술 100년 II (국립현대미술관, 과천)
목인천강지곡 (공평아트센터, 서울)
2005 Hallo Gutenberg!-한국현대판화전 (갤러리 라파엘12, 프랑크푸르트)
Face to Face :마이클 밀러, 정원철 2인전(월시갤러리, 시카고)
부산국제판화제 (부산시민회관 전시실, 부산)
2004 바그다드 551Km (제비울미술관, 과천)
평화선언2004 : 세계의 미술가 100인 (국립현대미술관, 과천)
2003 제1회 베이징 비엔날레 (중국미술관, 베이징)
한국 우수판화가 작품전 (칭다오 문화박람중심관, 칭다오)
2002 Global Priority (자마이카 아트 센타, 뉴욕)
바벨 2002 (국립현대미술관 기획, 과천)
박광열, 정원철 전 (후끼도 갤러리, 아사히가와)
2001 제4회 오늘의 리놀륨 판화 (비이틱하임 비씽엔시립미술관, 독일)
기욜 국제판화 트리엔날레 - 판화의 거장들 (기욜시립미술관, 헝가리)
기초 전망(1)전 (서울미술관 기획, 서울)
“가족”전 (서울시립미술관 기획, 서울)
한국현대미술, ‘시대의 표현-상처와 치유’ (예술의 전당 기획, 서울)
2000 광주 비엔날레 특별전: 예술과 인권 (비엔날레관, 광주)
한국 판화의 전개와 변모 (대전 시립미술관 기획, 대전)
2000 서울미술대전 (서울 시립미술관 초대, 서울)
주요수상
1999 고지 국제 판화 트리엔날레 - 4등상 (고지, 일본)
1999 20세기 미술 속의 리놀륨 판화 - 아시아 지역 지원 작가 선정
(암스테르담, 네덜란드)
1997 ‘97 크라코프 국제 판화 트리엔날레 - 우수상 (크라코프, 폴란드)
1995 제21회 류블랴나 국제판화 비엔날레 -일등상(류블랴나, 슬로베니아)
1994 제9회 서울 국제 판화 비엔날레 - 우수상 (동아일보사 주최, 서울)
1992 비이틱하임 비씽엔시(市) 판화상 : 오늘의 리놀륨 판화전 - 2등상
(비이틱하임 비씽엔시 주최, 독일)
주요공공소장
· 국립현대미술관 ( 과천 )
· 서울시립미술관 ( 서울 )
· 대전시립미술관 ( 대전 )
· 예술의 전당 (서울)
· 민주화운동 기념사업회 (서울)
· 일본군 위안부 역사관 ( 광주 )
· 동아일보사 ( 서울 )
· 흥국생명 ( 서울 )
· 중국국립미술관 ( 베이징, 중국 )
· 비이틱하임 비씽엔 시립미술관 ( 비이틱하임 비씽엔, 독일 )
· 이노 조 종이박물관 ( 고지, 일본 )
· 기욜시립미술관 ( 기욜, 헝가리 )
· 코브라 미술관 ( 암스텔빈, 네덜란드 )
· 포보인터내셔널 SA ( 쮸리히, 스위스 )
첫댓글 접어둘수 없는이야기..........결코 접어둘수만은 없는이야기 결코 접어 두어서도 안되는이야기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