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월 대학 축제 시즌 돌입
'스타 섭외비'에 허리 휘는 대학들
서울의 한 대학교에서 축제를 즐기는 학생들의 모습. 사진=한국경제신문
5월 축제 시즌을 맞이한 대학가에 ‘인기 가수 섭외전’이 벌어지고 있다. 최근 대학 축제는 ‘어떤 연예인이 오는가’가 가장 화제가 되고 있기 때문이다. 이로 인해 일부 대학에서는 연예인 섭외 비용을 감당하지 못해 축제를 취소하는 일도 벌어지고 있다.
대학가에 따르면 서울의 주요 대학들은 이달 중순에서 말까지 축제를 열 예정이다.
사회관계망서비스(SNS) 등에 올라온 이들의 ‘축제 라인업’은 화려하다.
한국외대는 올해 축제에 싸이와 아이돌그룹 아일릿을 섭외했다. 경희대는 데이식스·비비·실리카겔·이승윤, 동국대는 싸이·데이식스·10cm가 온다.
서울 시내 대부분 학교는 축제 비용으로 1억5000만∼3억원 정도를 지출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비용은 학교가 부담하는 교비, 재학생이 납부한 학생회비, 졸업생 및 주변 상인 등의 후원금으로 낸다. 재원은 해마다 줄어들지만 한 팀에 수천만 원씩 하는 연예인 섭외 비용은 해마다 오르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예컨대 한양대 총학생회가 지난해 상반기 발표한 자금 운용 현황에 따르면 작년 축제 전체 지출 중 '아티스트 섭외비'가 49.75%를 차지했다. 여기에 무대 설치 및 진행비 25.31%를 합치면 전체 예산의 4분의 3이 공연에 쓰인다.
한 서울 시내 대학 총학생회 임원은 “축제가 학생회에 대한 중간평가 성격이 있고, 누가 오느냐에 따라 안팎에서 바라보는 축제의 '급'이 달라지기 때문에 무리해서라도 가수를 부를 수밖에 없다”고 털어놨다.
아예 축제를 외부 업체에 맡기는 학교도 많다. 연예인를 빼놓고 얘기할 수 없게 돼버린 축제를 학교나 학생회 자체 역량만으로는 감당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경희대가 대표적이다. 경희대는 조달청 나라장터에 올해 축제 행사 대행업체 입찰 조건을 올려 이목을 집중시켰다. '정상급 힙합 가수 1팀', '최정상급 아이돌 1팀', '정상급 밴드 가수 1팀', '최정상급 가수 1팀', '정상급 아이돌 1팀' 등을 내걸었다.
예산이 부족해 축제를 취소하는 대학도 있다.
국민대 총학생회 비상대책위원회는 지난 3월 “봄축제를 추진하기 위해 지속해 논의했으나 비대위 체제로 인한 예산 감소 및 인력 부족 등의 사유로 진행이 무산됐다”고 알리기도 했다.
김정우 기자 enyou@hankyung.com
최승규 한마디
이제는 왜곡된 사회 경제성을 바로 잡을때.....라고 생각 됩니다
5천만 어느누가 그런 직업군을 .~~~~
외면 하려 할까요.?
바로 잡는건...!
미디어 .기업..군단에 달려 있읍니다.
소비자도 알아야 합니다
내가 돈주고 먹는.구입하는.그속에 과대.~~~~~~광고선전비 몇%ㅜ 들어 있을까.?
생각하면서....
돈가치 만큼 꽉찬...상품 구매하는 혜안을 .~~~~~~~~~
광고 선전비 대신 제대로 원가 90%
생산자 10% 상품..찾는 시대로 가야 됩니다
첫댓글 노동에 대한 대가의 불균형은 점진적인 개선이 필요하다 생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