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혈압·비만 환자 변비에 '대시호탕'
'방풍통성산' 전체적으로 둥근 체형 환자에 사용
변비에 적용하는 한약제제
2. 비만하고 실한 환자에게 적용하는 처방
장경악은 위의 설명처럼 강하게 변을 내보내는 방제는 원기가 강한 환자에게 적용해야 함을 말한 바 있다.
아래는 적어도 이론상 비교적 체력이 강한 환자를 대상으로 적용하기에 적합한 방제들이다. 현대인들은 영양이 부족한 경우는 잘 없지만 그래도 영양 상태나 소화 상태를 체크하고 장기 복용시에는 보다 신경을 쓰도록 한다.
(1) 대시호탕(大柴胡湯)
체격이 좋고 단단해 보이는 사람이 보다 적합하다. 명치부터 양쪽 겨드랑이에 걸쳐서 저항과 압통(흉협고만)이 있고 두통, 어깨의 뻐근함, 이명 등을 동반한 환자의 변비에 적용한다. 맥상도 힘차고 탄력이 있으며 대황제를 중심으로 적용하여도 복통이나 불쾌함을 느끼지 않는 환자를 대상으로 한다.
고혈압 환자, 비만한 환자, 담낭염, 담석증, 간염 환자가 변비가 있다면 대시호탕을 염두에 둔다.
(2) 방풍통성산( 防風通聖散)
대시호탕과의 차이는 흉협고만이 없고 맥상의 탄력이 적으며 대시호탕에 비해서 단단한 각진 체격이 아닌 전체적으로 둥근 체형의 환자로 아랫배는 실하여 배꼽을 중심으로 하여 복부가 충만하여 탄력이 있는 환자를 대상으로 한다. 임상에서는 여러 증상에 대시호탕과 함께 적용하는 방제이다.
(3) 대승기탕(大承氣湯)·소승기탕(小承氣湯)
배꼽을 중심으로 하여 복부가 전반적으로 충만하여 팽만감과 탄력이 있는 환자가 변비가 있는 경우에 투여한다. 이는 방풍통성산의 적응증과 유사하다. 하지만 대승기탕, 소승기탕이 변비에는 보다 확실한 접근 방법이다. 承氣(승기)는 진액과 기를 서로 이어줌으로써 양명 대장을 통하게 하며 생명을 밝히겠다는 뜻을 가지고 있다.
대승기탕은 소승기탕에 망초를 가한 처방이다. 망초는 장경악이 아이가 삼킨 못을 배출시킨 사례로도 유명하며 배변 외에도 해열, 해독에 도움이 되는 생약이다. 망초는 변의 굳은 덩어리를 부드럽게 하는 작용을 하므로 일반적으로 소승기탕을 적용할 환자보다 변비가 심하고 변이 딱딱하게 굳은 경우에 대승기탕을 사용한다. 복막염이나 복수 등이 있어 복부가 팽만해 있는 경우에는 이 처방을 써서는 안 된다.
① 대승기탕(大承氣湯)
△대승기탕의 구성생약
대황(大黃), 망초(芒硝), 지실(枳實), 후박(厚朴)
대승기탕은 준하열결(峻下熱結)이라고 하여 강력하게 아래로 빼내어서 강하게 뭉쳐져 있는 열과 덩어리를 해소하는 처방이다.
△대승기탕의 主治(주치)
- 양명부실증(陽明腑實證): 대변이 불통(不通)하고 실기(失氣: 방귀)가 자주 나오며 윗배와 아랫배가 답답하고 그득한 것 같은 완복비만(脘腹?滿)이 있고 복통이 심해서 손을 대는 것이 괴롭고 쓰다듬으면 팽만하여 단단하다. 조열(潮熱: 열이 마치 조수처럼 오후에 밀려드는 증상)이 일고 헛소리를 하며(?語: 섬어) 손발에 땀이 많다. 혀는 설태(舌苔)가 황조(黃燥)하고 혓바늘이 돋거나 검게 타고 바싹 마르고 열(熱)이 난다. 맥(脈)은 침실(?實)하다.
- 열결방류(熱結旁流): 순청색의 맑은 물 설사를 하고 배와 배꼽 주위에 동통(疼痛)이 있고 손을 대면 딱딱한 덩어리가 만져진다. 입과 혀가 건조하고 맥(脈)은 활실(滑實)하다.
- 리열실증(裏熱實證): 인체 내부에 열이 가득한 열궐(熱厥)로 힘줄이 당기고 뒤틀리고 발작을 일으킨다.
② 소승기탕(小承氣湯)
△소승기탕의 구성생약
대황(大黃), 지실(枳實), 후박(厚朴)
소승기탕은 경하열결(輕下熱結)이라고 하여 대승기탕에 비해서 약하지만 뭉쳐져 있는 열과 덩어리를 아래로 빼내어서 해소하는 처방이다. 위와 장에 열(熱)이 성(盛: 성대하고 두텁다)한 양명부실증(陽明腑實證)으로 헛소리를 하는 섬어(?語)와 조열(潮熱)이 있는 환자의 변비와 가슴과 배가 팽만하고 답답한 증상에 사용한다.
설태는 진한 누런색이며 맥은 활맥(滑脈)으로 구슬이 연이어 있는 것처럼 빠르게 오가며 빠르게 박동한다. 이질(痢疾) 초기(初期)에 배가 그득하고 팽창되어 아프고 대변이 급해서 변을 보아도 시원하지 않고 뒤가 묵직하게 변기(便氣)가 남아있는 이급후중(里急后重)에도 사용한다.
(4) 조위승기탕(調胃承氣湯)
대승기탕, 소승기탕과 비교하면 작용이 온화하다. 조위승기탕은 대황(大黃), 망초(芒硝), 감초(甘草)로 구성되어 대승기탕, 소승기탕에 비하면 지실, 후박이 없어서 복만이 없는 환자에게 보다 적합하다.
또 조위승기탕에는 감초가 함유되어 있는데 감초에는 여러 생약의 작용을 부드럽게 하는 작용이 있으므로 감초가 들어 있지 않은 대승기탕, 소승기탕보다는 작용이 부드러는 처방으로 해석할 수 있다. 그렇다고 해서 변비에 대한 효능이 대승기탕, 소승기탕보다 부족하다고 볼 수는 없다.
조위승기탕은 본래 조열, 증증발열(훈증시켜 찌는 듯한 발열)에 사용하는 처방으로 고열로 인해서 섬어, 心煩(심번)이 있는 환자에게 적용하는 처방인 만큼 이 약도 열을 끄는 처방이다. 대변에서 냄새가 많이 난다고 하는 환자에게 적합하다.
조위승기탕은 완화열결(緩和熱結)이라고 하여 열이 뭉쳐서 생긴 열성 증상을 부드럽게 해소하는 처방이다. 설태는 누렇고 맥은 매우 빠르고 힘있게 뛴다(脈滑數: 맥활삭). 양명병(陽明病)의 위장조열(胃腸燥熱)로 인해 대변이 시원하게 나오지 않고 마음이 초조하고(心煩: 심번) 목이 마르고 열이 심하게 나며 배가 창만하고 홀로 헛소리를 중얼거리는(?語: 섬어) 환자에게 적용한다. 위장조열로 인해서 구토 하는 환자, 코피가 나는 환자와 치통, 인후통이 있는 환자, 피부발진이 있는 환자, 아토피 환자에게도 사용한다.
대승기탕(大承氣湯)이 대열(大熱), 대실(大實), 대만(大滿)한 이증(裏證)을 주치하는 급하지제(急下之劑)라면 소승기탕(小承氣湯)은 소열(小熱), 소실(小實), 소만(小滿)한 이증(裏證)에 쓰는 완하지제(緩下之劑)이다. 그리고 조위승기탕(調胃承氣湯)은 복견(腹堅)이 덜하고 열 증상이 심한 이증(裏證)의 화리지제(和理之劑)다. 이론상으로는 대황·감초·망초·지실·후박 중에 조합되어 있는 방제의 사하 효과는 조위승기탕, 소승기탕, 대승기탕의 순으로 강해진다.
하지만 한 실험에서는 조위승기탕이 효과가 가장 빠르게 나타나고 소승기탕이 작용 지속 시간은 더 긴 결과가 나타난 바 있으므로 참고한다.
△조위승기탕 치험례
- 증상: 음식을 전혀 못 삼킨다는 50대 여성으로 변비약을 달고 산다. 음식을 못 넘기고 음식을 전혀 먹을 수 없어서 병원에서 영양주사를 맞고 있다. 하지만 변비도 너무 심하고 입에서 냄새도 나고 짜증이 나서 못살겠다.
- 처방: 조위승기탕 6일 하루 두 번 복용시킴. 하루 한 번 반하후박탕도 투여함
- 경과: 음식 삼키기에 불편함이 없고 음식을 먹을 수 있게 됨 <다음호에 계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