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분 좋게 살면 병의 90%는 도망간다.
건강을 위해서는 먹는 것도 운동도 중요하지만 무엇보다도 마음을 잘 관리해야 합니다.
굳이 비중을 둔다면, 음식과 운동은 20%에 달한다면 마음을 잘 관리하는 것이 80%가 되기 때문입니다.
행복하고 긍정적인 생각을 할 때, 면역세포의 일종인 T림프(T세포)가 활발하게 제 기능을 발휘하지만 시기, 질추, 분노, 미움, 원망과 두려움, 불평, 낙심, 절망, 염려, 용서 못함, 불안과 같은 부정적인 생각이나 감정을 계속 가지게 되면 몸속의 T림프구는 변이를 일으켜, 암세포나 병균을 죽이는 대신 거꾸로 자기 몸을 공격하여 몸에 염증이 생기게 하거나 질병을 일으키는데 이를 <자가 면역 질환>이라고 합니다.
미국 프린스턴 공대 '로버트 잔' 교수는 "마음은 아주 미세한 입자로 되어 있으며, 이것은 물리적 입자와 동일해서 입자로 존재할 때는 일정한 공간에 한정되어 있지만, 파동으로 그 성질이 변하게 되면 시공간을 초월하여 이동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하였습니다.
사람의 마음은 에너지의 성질을 가지고 있어서 다른 물질이나 생물체에 영향을 미치는데, 배양 중인 암세포를 대상으로 "원래의 정상적인 세포로 돌아가라." 고 스스로에게 mind control 하게 되면 암세포 성장이 40%나 억제된다는 것입니다.
게이츠 교수는 여러가지 실험을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렸는데, 화, 슬픔, 불안, 공포, 증오, 미움 등과 같이 마음이 부정적인 감정에 쌓였을 때, 인체에는 독사의 독액을 능가하는 매우 강력한 독성 물질이 생성되었기 때문입니다.
독사의 경우에는, 자신의 독을 축적해 두는 독 주머니가 있어 그 독을 안전하게 밖으로 내뿜을 수 있어 자신에게 해를 끼치지 않지만, 인간은 그 같은 신체 구조를 갖고 있지 않기 때문에 자신이 만든 독은 그대로 몸 속 모든 곳을 돌아다니다가 약한 부위에 침착하게 되면 각종 변이를 일으켜 다양한 질병을 양성하게 된다는 것입니다.
실 예로, '샘 슈먼'이라는 사람은 간암 진단과 함께 앞으로 몇 달 밖에 살지 못할 거라는 선고를 받았다.
하지만 그것은 오진이었습니다.
그럼에도 그는 죽었고 죽은 후 사체를 부검 해보니,
그는 간암으로 죽은 게 아니라 자신이 암으로 인해 얼마 살지 못할 것이라는 부정적인 생각의 지배를 받아 마음의 갈등과 세상에 대한 원망, 자기 분노 등으로 건강이 급속도로 악화된 나머지 急死했던 것입니다.
오래 전, 16세기에
"마음이 산란하면 병이 생기고, 마음이 안정 되면 있던 병도 저절로 좋아진다." 라고 저술한 동의보감의 허준 선생의 말씀에 절로 고개가 끄덕여 집니다.
조선시대 세조 때 간행된 '八醫論(8의론)' 에서는 의사를 8등급으로 나누고 있는데, 마음을 잘 다스려 병을 치유하는 心醫(심의)를 1등급 의사로 여겼습니다.
통계청에서 밝힌 직업 중 평균 수명이 가장 높은 그룹은 목사, 신부 등 이른바 성직자들이었는데 어느 정도 스스로 마음을 콘트롤 할 줄 아는 사람들이었습니다.
평균 수명이 30세도 안되었던 2,300~2,500년前 당시에도, 삶의 지혜와 사리에 밝고 비교적 마음을 잘 다스렸던 중국의 고대 사상가들이었던 순자(60歲), 공자(73歲), 묵자(79歲), 장자(80歲), 맹자(83歲), 노자(100歲)등 모두 장수했던 인물로 꼽힙니다.
그들이 장수한 것은, 잘 먹고 운동을 많이 해서가 아니라 스스로 마음을 잘 관리했기 때문이었습니다.
신경심장학계의 연구 결과에서도, 우리의 몸을 최상의 상태로 계속 유지 시킬 수 있는 최선의 방법은 살면서 늘 '감사하는 마음' 을 갖는 것이라고 합니다.
한 통계에 의하면 내과를 찾는 환자 2명중 1명은 정신 질환에 해당되고, 이들 환자의 80%는 병의 원인을 '가정 불화'로 보고 있습니다.
결론적으로, 마인드 콘트롤이 건강관리에 그토록 중요하게 된 데는, 우리 몸의 유전자의 상태와는 상관없이 사람의 마음 상태에 따라서 영향을 받도록 만들어져 있어 마음의 변화는 곧 그대로 몸의 변화로 이어진다는 것입니다.
그래서 현대 의학계에서도 몸의 치료는 먼저 마음의 치료가 선행되어야 한다는 점을 정설로 받아들입니다.
여러분 어떻습니까?
건강을 원하십니까?
먼저 마음을 잘 다스리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