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32년 여름 독일의 정치적 상황은 더욱 암울해졌다. 계속해서 득표율이 늘어나던 나치가 전국 선거에서 패배하자 여든 살의 피울 폰 힌덴부르크 대통령은 시원치 않은 프란츠 폰 파펜을 총리로 선택했고, 그는 군사력을 이용해 지배하려고 했다.
그해 여름에 필리프 프랑크가 카푸트를 방문했을 때 아인슈타인은 “나는 군사정권이 다가오는 국민사회당(나치) 혁명을 막아낼 수 없을 것이라고 확신한다”고 한탄했다.
1932년 12월에 독일을 떠난 아인슈타인은 여전히 자신이 독일로 돌아올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했지만 확신하지는 못했다.
아인슈타인은 예감이라도 한 듯 엘자에게 “잘 보아두세요. 다시는 보지 못할 것입니다”라고 했다.
캘리포니아로 향하는 증기선 오클랜드 호에는 3개월 동안의 여행에 필요한 것보다는 훨씬 많은 30개의 짐이 실려 있었다.
아인슈타인이 패서디나에서 독일-미국 우호를 기념하기 위한 연설을 하기로 했던 것은 어색하고 고통스러운 것이었다.
칼텍의 밀리컨 소장은 아인슈타인이 칼텍에 머무는 비용을 마련하기 위해 독일과의 문화교류 증진을 목적으로 하는 오버랜드 신탁으로부터 7천 달러의 후원을 받았다.
아인슈타인이 “독일과 미국의 관계에 도움이 될 방송”을 하는 것이 유일한 조건이었다.
아인슈타인이 도착한 직후 밀리컨은 아인슈타인이 “독일과 미국의 관계를 증진시키는 여론을 형성하기 위해 미국에 왔다”고 밝혔다.
그런 견해는 30개의 짐을 가져온 아인슈타인에게는 놀라운 것이었다.
밀리컨은 NBC 라디오를 통해 방송될 강연을 통해 7천 달러의 오버랜드 후원금을 받을 수 있었을 뿐만 아니라 그에 앞서 애서니움에서 개최될 정장 만찬에서 많은 후원금도 요청해두기도 했다.
아인슈타인의 인기는 대단해서 표를 사려는 대기자 목록을 만들어야만 했다.
아인슈타인과 같은 테이블에 앉았던 사람들 중에는 뉴욕 출신의 부유한 의약품 제조업자 리언 워터스도 있었다.
아인슈타인이 지루해하는 것을 눈치 챈 그는 옆에 앉아 있던 여성을 건너서 담배를 권했고, 아인슈타인은 세 모금에 담배를 다 피워버렸다.
그 후 두 사람은 가까운 친구가 되었으며, 훗날 아인슈타인은 프린스턴에서 뉴욕을 방문할 때는 5번가에 있던 워터스의 아파트에 머물렀다.
만찬이 끝났을 때 아인슈타인과 다른 손님들은 수천 명의 청중이 그의 연설을 들으려고 기다리던 패서디나 시민회관으로 갔다.
그의 원고는 친구가 변역해주었고 그는 더듬거리는 영어로 연설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