답 : (알려진) 광역전철 계획이 없다.
현재 입안되어 있는 계획을 본다면 편의상 노선을 S급(시외철도), M급(도시철도), L급(경전철) 3가지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즉 S급이 광역, M과 L급이 도시에 해당된다는 것인데, 이중 S급은 우리나라 국철구간과 마찬가지로 기존철도노선을 개량이용하거나 하는 것으로서 도시철도계획의 노선 숫자나 총연장 숫자에는 반영이 되어있지 않습니다. 일반에 알려진 20여개의 노선은 모두 베이징 시내 도시철도로서 기능하는 것입니다. 역간거리도 조밀하고 완행 운영합니다.
즉 알려진 지하철 계획은 모두 순수 도시철도 (M, L급) 로서 광역전철이 포함되지 않습니다.
물론 개중에 일부 예외는 있습니다.
(1) 13호선과 같이 역간거리가 꽤 길고 시 외곽 (제5순환도로 외방)에 새로 건설된 신시가지와 구시가지 (제4순환도로 내방) 구도심 지역을 연결하는 역할을 하는 사실상 광역전철의 기능을 하는 노선도 있으나, (13호선 HuoYing, 11호선 WangJing 등) 차량의 규격등은 M급으로서 도시철도로 구분됩니다.
(2) 또한 L1선의 경우 L급으로 분류되어 있습니다만, 실상은 우리나라의 AREX, 일본의 NEX 비슷한 개념으로서 동즈먼 ~ 셔우두국제공항, 왕징 간을 직통으로 연결하는 직통좌석 열차가 운행됩니다.


시내와 공항을 직통으로 연결하는 L1선의 차량과 실내
(어느 나라 공항철도를 많이 참고한 듯한 모습이라 흥미롭습니다)
이렇게 사실상 별도의 광역전철 계획 없이 도시철도만 추진되고 있는 것은 베이징의 경우 역사적으로 초원지역에 건설된 계획도시인데다, 기본적으로 중국의 스케일이 대륙적이고, 따라서 주변 이웃 도시들과 연담도시화 등이 특별히 이루어져 있지 않으므로 이웃도시와 베이징을 고속으로 연결하는 광역철도의 기능을 특별히 요구하지 않고 있기 때문으로 보입니다.
물론 1988년 서울올림픽을 앞두고 우리가 그러하였듯이, 질보다는 양을 추구하면서 체계적인 노선계획의 수립이 다소 뒷전으로 밀려있는 것 역시 무시하지 못할 요인입니다.
그러나, 광역전철을 고속철도로 운행하는 대인배 나라
다만 그쪽에서 사실상 광역전철 취급을 하고 이번에 개통한 노선이 있는데 '징진전철'이라 불리는 것으로서, 베이징~톈진 간을 연결합니다. 대베이징 계획이라고 하여 베이징 뿐 아니라 허베이성 일부 지역과 톈진을 연결하는 삼각지대를 통합. 인구 4~5천만에 이르는 거대 도시군을 형성한다고 하는 계획이 현재 제안되고 있으며 서울(내륙수도)-인천(항구) 이 연결되었듯이 베이징(내륙수도)-톈진(항구)를 연결하겠다 그러한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따라서 이번에 개통된 징진전철은 두 도시간을 빠르게 연결하는 간선 여객전용철도 축으로서 그 기능이 주목된다 하겠습니다.
흥미로운 점은, 역시 스케일이 큰 대인배 나라답게 '광역철도'를 '고속철도'로 건설했다는 것입니다. 시속 350km/h급의 ICE3-350 차량 중국판을 60편성 제작(라이센스)하여 운행하며, 이에 추가로 신칸센E2계를 중국이 자체 개량한 CRH2-300도 추가로 투입할 예정이라고 합니다. 영업속도는 350km/h를 예정하고 있으며, 3분 시격으로 운행합니다. 현재 한창 시운전 중인데 시속 380km/h까지 내며 중간정차역 2개를 포함하고도 25~27분에 주파해 낸다고 합니다;

베이징-톈진을 연결하는 징진철도에 운행할 차량 CRH2와 CRH3-300
독일과 일본의 차량이 만나는 진귀한 풍경입니다.
징진전철은 다음달인 8월 1일 정식 개통 예정입니다.
첫댓글 ICE-3이랑 E2계면 차폭이 안맞을텐데 E2의 중국버전은 폭이 좀 좁아졌다던가하는 개량이 있었나요?
신칸센이 차폭때문에 중국이나 우리나라의 기존 간선에서 운행을 못할정도는 아닌듯 싶습니다 일본이야 건축한계가 1067mm케이브궤간에 맞춰져 있다보니 단순 개궤만으로는 풀규격 신칸센을 운행할수 없겠지만 표준궤를 사용하는 나라에서는 운행이 가능할듯 싶습니다 신칸센의 차폭은 3400mm이고 우리나라 무궁화호가 3200mm 입니다 운행 못할정도는 아니라는 거죠
오다큐전철 // 200mm 정도는 별 것도 아니라고 생각하고 추측하신 것 같은데, 추측에 의한 정보를 사실처럼 말씀하시면 곤란합니다. 철도안전법에 의해 3200mm 초과 차량은 국내에서 운행할 수 없습니다.
200mm면 20cm입니다. 자 들고 곰곰히 생각해 보시면 답 나올 듯.
북경 천진간 거리는 우리나라로 치면 서울 대전간 거리이므로 고속전철로 연결을 추진한다고 해도 절대적인 거리수준상 무리는 아닐것입니다.
기존 간선 서비스로도 60분 정도면 충분할 것을 굳이 30분 이내로 묶어버린다는 데에 의미를 두는 거죠.
진짜 NEX쏙 배꼈네
.... 3분 시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