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가위 유래
한가위는 가을 대보름인 음력 8월 15일 한자로는 '한(晩)'은 저물다, 늦다, 끝 이라는 뜻으로 저녁이라는 의미로 나타내고, '가(家)'는 집이요 위는 쉰다는 뜻입니다.
집에서 조용히 쉬면서 보내는 날 이라죠.
따라서 한가위란 가을이 시작되어 일상 생활에서 잠시 쉬어가며 가족과 함께 보내는 시간을 의미합니다.
한가위의 유래와 역사는 고려 시대까지 거슬러 올라갑니다.
당시 유래에 전해지는 하나 중, 고려시대에 소금 생산으로 유명하던 보성 지방에서 소금을 만들어 판매하는 사람들이 귀성하여 일정 기간 휴식을 위해 집으로 돌아온 사람들이 가족과 함께 조용하게 보내며 휴식을 취했다고 합니다.
다른 유래로는 고려시대 문신인 최충헌(崔忠獻) 이,
집으로 돌아와서 자식들과 함께 식사를 하며 향리와 세배를 올리면서 즐거운 시간을 보냈답니다.
그 후 농경사회에서 추수를 마치고 풍년을 축하하기 위해 제사를 지내던 것이 시작되었습니다. 이후 조선 시대에 들어오면서 서민들의 배고품과 고달품을 위로하기 위하여 나라에서 일부 양식을 베풀고는 "한가위"는 정식으로 국경 명절로 지정되었습니다.
한가위에 가장 중요한 행사 중 하나인 차례놀이(제사)에서는 조상들에게 감사의 뜻을 전하고 그 해의 수확과 풍요를 기원합니다. 차례놀이에서 사용하는 식재료로는 떡, 과일, 쌀 등이 주로 준비됩니다. 이 외에도 송편, 밤 등도 많이 준비됩니다.
또한 한가위에는 다양한 전통 문화와 게임도 즐겨집니다. 예를 들면 윷놀이, 널뛰기, 제기차기, 강강술래 등 이 있습니다. 이러한 활동은 가족 구성원들 사이의 유대감을 형성하고 화합하는 기회로 여겨집니다.
따라서 한가위란 풍요와 감사의 시간으로서 가족들과 함께하는 소중한 명절입니다.
"추석 명절을 맞이하여 원활한 소통과 풍성한 행복으로 기쁨이 그득한 명절을 맞이하시기를 바랍니다!"
강화섬에서
류창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