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음청원결(陰晴圓缺)
달은 밝음과 어둠, 둥글고 이지러짐이 있다는 뜻으로, 인생이나 달이나 늘 변화하니 좋은 일만 있을 수 없다는 말이다.
陰 : 그늘 음(阝/8)
晴 : 갤 청(日/8)
圓 : 둥글 원(囗/10)
缺 : 이지러질 결(缶/4)
출전 : 소식(蘇軾)의 수조가두(水調歌頭)
이 성어는 우리에게는 소동파(東坡)로 더욱 알려진 송(宋)의 대문장가 인 소식(蘇軾)의 수조가두(水調歌頭)에 나오며, 내용은 다음과 같다.
수조가두(水調歌頭) :소식(蘇軾)
병진년 중추절(1076년)에 밤 새워 즐겨 마시고 대취하여 이 글을 쓰며 또한 자유(蘇轍)를 생각한다(丙辰中秋,歡飲達旦,大醉。作此篇,兼懷子由).
밝은 달이 언제부터 있었는지 술잔을 들고 하늘에게 물어보네.
하늘 위 궁궐에서는 오늘 밤이 무슨 날인지 알 수 없네.
바람을 타고 돌아가고 싶지만, 경루의 옥우는 두렵기만 하고 높은 곳 추위를 이길 수 없구나. 그림자와 춤을 추며 노니 인간 세상이 어찌 이와 같을까
明月幾時有,把酒問青天,不知天上宮闕,今夕是何年。
我欲乘風歸去,唯恐瓊樓玉宇,高處不勝寒;起舞弄清影,何似在人間。
달빛은 화려한 누각을 돌아 비단 창에 내려와 잠 못 드는 사람을 비추네. 달이 나에게 원한도 없을 터인데, 어찌하여 이별할 때 이리도 둥근 것인가. 사람에게는 기쁨과 슬픔, 만남과 헤어짐이 있고, 달에게는 밝고 어둡고 둥글고 이지러짐이 있으니 이러한 일은 자고로 완전하기가 어려운 것. 다만 바라는 것은 그대가 오래도록 건강하여 천 리를 떨어져 있어도 함께 달을 보는 것이라.
轉朱閣,低綺戶,照無眠;不應有恨,何事長向別時圓。
人有悲歡離合,月有陰晴圓缺,此事古難全;但願人長久,千里共嬋娟。
이하 [문화일보]박석 교수의 古典名句 陰晴圓缺의 글.
人有悲歡離合 月有陰晴圓缺(인유비환이합 월유음청원결)
사람은 슬픔과 기쁨, 이별과 만남이 있고, 달은 흐림과 맑음, 둥글고 이지러짐이 있구나.
송나라 소식(蘇軾)이 중추절을 맞아 지은 ‘수조가두(水調歌頭)’라는 사(詞)에 등장하는 구절이다. 예로부터 동아시아에서는 추석에 온 가족이 모여 둥근 달을 바라보는 풍습이 있다. 달이 가득 차는 것을 원만(圓滿)이라 하는데, 크고 둥근 보름달처럼 이날은 가족이 모두 모이기를 바랐기 때문이다. 그래서 추석이 되면 멀리 떨어져 있는 가족이 더욱 그리워지는 법이다.
당시 소식은 사랑하는 동생 소철(蘇轍)과 만나지 못한 지가 6, 7년이나 돼 이별의 슬픔이 깊었다. 술을 거나하게 마신 소식은 저 밝은 달이 언제부터 있었는지 푸른 하늘에 물어본다. 이어 바람을 타고 달나라의 궁궐로 돌아가고 싶지만, 너무 추울 것 같아 가지 못하고 그냥 달과 자신의 그림자와 함께 춤추며 논다고 읊조린다. 한편으로는 동생이 그리워 잠 못 이루는 밤에 자신을 비추는 달이 왜 이리 밝은지 원망하기도 한다. 그러나 저 달도 때로 흐리고 이지러지듯이 우리네 인생도 때로 이별의 슬픔이 있을 수밖에 없음을 받아들이고 천 리 밖에서라도 같이 둥근 달을 볼 수 있기를 바란다. 역대로 추석의 보름달을 노래한 작품이 많지만, 최고의 명작이라고 생각한다.
망원경과 우주선 때문에 달에 대한 낭만적 신화가 사라진 지도 오래됐고, 통신의 발달로 이제는 마음만 있으면 만 리 밖에서도 얼굴을 보며 이야기를 나눌 수 있게 됐다. 그렇지만 추석이 되면 가족이 더욱 그리워지고 함께하기를 바라는 마음은 변하지 않았다. 이번 주말부터 추석맞이 민족의 대이동이 시작된다. 여러 사정으로 가족과 단란한 정을 나눌 수 없는 분들은 이 구절을 위안으로 삼기를 바란다.
▶️ 陰(그늘 음, 침묵할 암)은 ❶형성문자로 隂(음)이 본자(本字), 阥(음)은 통자(通字), 阴(음)은 간자(簡字), 侌(음)은 고자(古字)이다. 뜻을 나타내는 좌부변(阝=阜; 언덕)部와 음(音)을 나타내는 동시(同時)에 어둡다는 뜻을 나타내는 글자 侌(음)으로 이루어졌다. 산의 해가 비치지 않는 그늘의 뜻이다. ❷회의문자로 陰자는 ‘그늘’이나 ‘응달’, ‘음기’라는 뜻을 가진 글자이다. 陰자는 阜(阝:언덕 부)자와 今(이제 금)자, 云(구름 운)자가 결합한 모습이다. 今자는 뜻과는 관계없이 ‘금→음’으로의 발음역할만을 하고 있다. 큰 언덕과 구름은 햇볕을 차단해 그늘을 만든다. 그래서 陰자는 그늘을 만들어 내던 구름과 언덕을 응용해 ‘그늘’을 표현했다. 그래서 陰(음, 암)은 (1)역학(易學)에서, 천지(天地)의 두 원기(元氣)의 하나. 양(陽)과의 유행(流行) 교감(交感)에 의해서 우주의 만물이 생성(生成), 변화(變化), 소장(消長)함. 해(日)는 양, 달(月)은 음, 남자(男子)는 양, 여자(女子)는 음 따위 (2)태극(太極)이 나누인 두 가지 기운(氣運)의 하나. 어두움, 땅, 달, 없음 등의 소극적인 방면을 상징하는 범주(範疇) (3)그늘. 사람 눈에 뜨이지 않는 일 (4)남녀(男女)의 생식기(生殖器) (5)음부호(陰符號) 또는 음수(陰數)를 이르는 말. 마이너스. 부(負) (6)약성(藥性), 체질(體質), 증상(症狀) 따위가 소극적이고 차고 조용한 것을 이르는 말 (7)음전기(音電氣) (8)성(姓)의 하나, 등의 뜻으로 ①그늘, 응달 ②음(陰), 음기(陰氣) ③그림자, 해그림자 ④세월(歲月), 흐르는 시간 ⑤어둠 ⑥생식기(生殖器), 음부(陰部) ⑦암컷 ⑧뒷면 ⑨음각(陰刻) ⑩저승 ⑪가을과 겨울 ⑫신하(臣下) ⑬두루미(두루밋과의 새), 학(鶴) ⑭가만히, 몰래 ⑮음침(陰沈)하다 ⑯날이 흐리다 ⑰그늘지다 ⑱어둡다, 희미(稀微)하다 ⑲음각(陰刻)하다 ⑳덮다, 비호(庇護)하다 ㉑묻다, 매장(埋葬)하다, 그리고 ⓐ침묵(沈默)하다(암) ⓑ입을 다물다(암) 따위의 뜻이 있다. 반대 뜻을 가진 한자는 빛 광(光), 볕 양(陽), 갤 청(晴)이다. 용례로는 남이 모르게 일을 꾸미는 악한 꾀 또는 그 계약을 음모(陰謀), 천지 만물을 만들어 내는 상반하는 성질의 두 가지 기운을 음양(陰陽), 밖으로 드러나지 않은 숨은 성질을 음성(陰性), 그늘지고 축축함으로 응달과 습기를 음습(陰濕), 마음이 음침하고 흉악함을 음흉(陰凶), 넌지시 남을 해롭게 함을 음해(陰害), 응달로 그늘진 곳을 음지(陰地), 사람의 생식기가 있는 곳을 음부(陰部), 남자의 외성기를 음경(陰莖), 여자의 외부 생식기를 음문(陰門), 세상이 모르는 숨은 공덕을 음공(陰功), 인장의 글자 획이 돋게 새긴 글자를 음문(陰文), 평면에 글씨나 그림 따위를 옴폭 들어가게 새김 또는 그러한 조각을 음각(陰刻), 오랫동안 계속해 내리는 음산한 비를 음우(陰雨), 두 개의 전극 간에 전류가 흐를 때 전위가 낮을 쪽의 극을 음극(陰極), 음의 기운을 음기(陰氣), 축복 받지 못한 사람이 죽어서 가는 곳을 음부(陰府), 정규적인 의미 이외의 따른 뜻을 전달하는 어구를 음어(陰語), 해와 달이라는 뜻으로 흘러가는 시간이나 세월을 광음(光陰), 달을 지구의 위성으로 일컫는 말을 태음(太陰), 푸른 나뭇잎의 그늘을 녹음(綠陰), 얼마 안 되는 시간을 촌음(寸陰), 몹시 짧은 시간을 분음(分陰), 산의 그늘을 산음(山陰), 가을의 구름 낀 하늘을 추음(秋陰), 계속 날이 흐림을 적음(積陰), 계속되는 흐린 날씨를 연음(連陰), 꽃이 핀 나무의 그늘을 화음(花陰), 무성한 나무 그늘을 번음(繁陰), 몸의 음기를 도움을 보음(補陰), 사람의 사타구니의 음부와 항문과의 사이를 회음(會陰), 사람이 보지 않는 곳에서 좋은 일을 베풀면 반드시 그 일이 드러나서 갚음을 받음을 음덕양보(陰德陽報), 겉으로는 유순하나 속은 검어서 남을 해치려는 간사한 사람을 음유해물(陰柔害物), 음과 양이 서로 잘 어울림을 음양상균(陰陽相均), 남녀가 화락하는 즐거움을 음양지락(陰陽之樂), 미리 위험한 것을 방비함을 음우지비(陰雨之備), 음과 양이 서로 합하지 않음을 음양상박(陰陽相薄), 음양이 서로 조화되지 아니함을 음양부조(陰陽不調), 보는 앞에서는 순종하는 체하고 속으로는 딴마음을 먹음을 양봉음위(陽奉陰違), 흘러가는 세월의 빠름은 달려가는 말을 문틈으로 보는 것과 같다는 뜻으로 인생의 덧없고 짧음을 극구광음(隙駒光陰), 돌이 마주 부딪칠 때에 불이 반짝이는 것과 같이 빠른 세월을 이르는 말을 석화광음(石火光陰), 나무가 푸르게 우거진 그늘과 꽃다운 풀이라는 뜻으로 여름의 아름다운 경치를 녹음방초(綠陰芳草) 등에 쓰인다.
▶️ 晴(갤 청)은 ❶형성문자로 夝(청), 晴(청), 晴(청), 甠(청), 暒(청), 殅(청)과 동자(同字)이다. 뜻을 나타내는 날 일(日; 해)部와 음(音)을 나타내는 靑(청; 푸른 하늘)으로 이루어졌다. 구름이 걷히어 해가 보이다의 뜻이다. ❷회의문자로 晴자는 ‘개다’나 ‘맑다’, ‘개운하다’라는 뜻을 가진 글자이다. 晴자는 日(해 일)자와 靑(푸를 청)자가 결합한 모습이다. 그런데 소전에서는 夕(저녁 석)자와 生(날 생)자가 결합한 殅(갤 청)자가 ‘개다’라는 뜻으로 쓰였었다. 殅자는 비가 그친 뒤 모습을 드러낸 달(夕)과 땅 위로 올라오는 풀(生)을 함께 그린 것으로 날이 개고 있음을 표현한 글자이다. 그러나 해서에서부터는 푸르고 맑은 날이라는 뜻을 담은 晴자가 ‘개다’라는 뜻을 대신하고 있다. 그래서 晴(청)은 청천(晴天)으로 ①개다 ②맑다 ③(마음이)개운하다 ④눈물이 마르다, 따위의 뜻이 있다. 같은 뜻을 가진 한자는 빛 광(光), 볕 양(陽), 반대 뜻을 가진 한자는 그늘 음(陰), 흐릴 담(曇), 비 우(雨)이다. 용례로는 맑게 갠 하늘을 청천(晴天), 하늘이 개어 맑음을 청명(晴明), 화창한 날에 아른거리는 아지랑이를 청람(晴嵐), 맑고 명랑함을 청랑(晴朗), 맑게 갠 천기를 청기(晴氣), 날이 갬과 비가 오는 일을 청우(晴雨), 하늘이 개고 날씨가 화창함을 청화(晴和), 맑게 갠 날에 오는 우박을 청박(晴雹), 날씨가 맑고 상쾌함을 청쾌(晴快), 하늘이 개어서 보기가 좋음을 청호(晴好), 일기의 밝음과 흐림을 청담(晴曇), 날씨가 개어 따뜻함을 청훤(晴暄), 맑은 날의 햇빛을 청휘(晴暉), 하늘이 상쾌하도록 맑게 갬을 쾌청(快晴), 저녁 때에 갠 날씨 또는 그 하늘을 만청(晩晴), 날씨가 반쯤 갬을 반청(半晴), 흐린 날과 갠 날을 음청(陰晴), 맑게 갠 가을날을 추청(秋晴), 날씨가 썩 산뜻하게 갬 또는 그런 날씨를 호청(好晴), 오랫동안 계속하여 오던 비가 새로 갬을 신청(新晴), 맑게 갠 봄날을 춘청(春晴), 지루하게 내리던 비가 그치고 잠깐 갬을 사청(乍晴), 갠 날에는 밖에 나가 농사일을 하고 비오는 날에는 책을 읽는다는 뜻으로 부지런히 일하면서 틈나는 대로 공부함을 이르는 말을 청경우독(晴耕雨讀), 갠 날에는 좋은 경치를 보이고 비 오는 날에는 기이한 경관을 보인다는 뜻으로 산수의 경관이 언제나 좋음을 이르는 말을 청호우기(晴好雨奇), 갠 하늘의 구름과 가을 하늘의 밝은 달이라는 뜻으로 마음속이 맑고 깨끗함을 비유해 이르는 말을 청운추월(晴雲秋月), 구름이 걷히고, 하늘이 맑게 갠다는 뜻으로 병이나 근심이 씻은 듯이 없어짐을 비유해 이르는 말을 운권천청(雲捲天晴), 비가 그치고 날씨가 개어 맑음을 이르는 말을 우과천청(雨過天晴), 잠시 개었다 비 내리고 내리다 다시 갠다는 뜻으로, 세상 인심이 이와 같다는 말을 사청사우(乍晴乍雨) 등에 쓰인다.
▶️ 圓(둥글 원, 화폐 단위 엔)은 ❶형성문자로 圎(원), 円(원)은 통자(通字), 圆(원)은 간자(簡字)이다. 뜻을 나타내는 큰 입구 몸(囗; 에워싼 모양)部와 음(音)을 나타내는 員(원)이 합(合)하여 이루어졌다. 음(音)을 나타내는 員(원)은 둥글다의 뜻으로 나중에 수를 세는 말로 쓰였고, 둥글다의 뜻으로는 圓(원)이라고 쓴다. ❷회의문자로 圓자는 ‘둥글다’나 ‘원만하다’라는 뜻을 가진 글자이다. 圓자는 囗(에운담 위)자와 員(수효 원)자가 결합한 모습이다. 員자의 갑골문을 보면 鼎(솥 정)자 위에 동그라미가 그려져 있었다. 이것은 둥근 솥을 응용해 ‘둥글다’라는 뜻을 표현한 것이다. 그래서 員자는 본래 ‘둥글다’라는 뜻으로 쓰였었다. 그러나 후에 員자가 ‘수효’나 ‘인원’이라는 뜻으로 가차(假借)되면서 지금은 여기에 囗자를 더한 圓자가 ‘둥글다’라는 뜻을 대신하고 있다. 그래서 圓(원, 엔)은 (1)둥글게 그려진 모양이나 형태. 동그라미 (2)한 평면 위의 한 정점으로부터 같은 거리에 있는 점의 궤적 및 그 궤적이 이루는 도형. 그 정점을 원의 중심, 궤적을 원둘레, 중심과 원둘레 위의 점을 연결하는 직선을 반지름이라 이름 (3)1954년 2월 15일에 행한 통화 개혁 전의 화폐 단위의 하나. 1전(錢)의 100배 (4)엔(일본 통화의 단위) 등의 뜻으로 ①둥글다 ②온전하다 ③원만하다 ④둘레 ⑤동그라미 그리고 ⓐ화폐 단위(엔) 따위의 뜻이 있다. 같은 뜻을 가진 한자는 둥글 단(團), 반대 뜻을 가진 한자는 모 방(方)이다. 용례로는 일이 거침 없이 잘 되어 나감을 원활(圓滑), 일이 되어감이 순조로움을 원만(圓滿), 둥근 탁자를 원탁(圓卓), 둥글게 빛나는 빛을 원광(圓光), 둥근 형상을 원형(圓形), 무르익음이나 매우 숙련됨을 원숙(圓熟), 둥근 널빤지를 원판(圓板), 귀를 둥글게 귀접이한 제목을 원각(圓角), 둥근 바닥을 원저(圓低), 모든 일에 빠짐없이 통달하고 있음을 원통(圓通), 원의 둘레를 원주(圓周), 둥근 테두리의 부분을 원국(圓局), 둥글게 만든 먹을 원묵(圓墨), 원만하게 갖춤을 원비(圓備), 둥글게 난 상처를 원상(圓傷), 어느 지역의 전부를 일원(一圓), 반 동그라미를 반원(半圓), 모난 것과 둥근 것을 방원(方圓), 끝이 뾰족하고 둥긂을 첨원(尖圓), 둥근 것이나 가정이 원만함을 단원(團圓), 높은 하늘을 고원(高圓), 지름이 같은 원을 등원(等圓), 둥근 구멍에 모난 막대기라는 뜻으로 사물이 서로 맞지 않음을 원공방목(圓孔方木), 통나무로 베개 삼아 경각한다는 뜻으로 밤잠을 자지 않고 학문에 힘씀을 원목경침(圓木警枕), 머리를 박박 깎은 무리라는 뜻으로 승려를 홀대하여 이르는 말을 원로지도(圓顱之徒), 둥근 머리에 모진 발 곧 사람을 원두방족(圓頭方足) 등에 쓰인다.
▶️ 缺(이지러질 결, 머리띠 규)은 ❶형성문자로 欠(결)의 본자(本字)이다. 뜻을 나타내는 장군 부(缶; 항아리, 질그릇)部와 음(音)을 나타내는 글자 夬(결; 깨진다)이 합(合)하여 이루어졌다. 독이 깨짐의 뜻이다. ❷회의문자로 缺자는 ‘이지러지다’나 ‘없어지다’, ‘모자라다’, ‘부족하다’라는 뜻을 가진 글자이다. 缺자에서 말하는 ‘이지러지다’라고 하는 것은 한쪽 손잡이가 떨어져 나갔다는 뜻이다. 缶(장군 부)자는 손잡이가 있는 항아리를 그린 것이다. 夬자는 한쪽 면이 트여있는 모습을 그린 것으로 ‘터놓다’라는 뜻이 있다. 缺자는 이렇게 ‘터놓다’라는 뜻을 가진 夬자에 缶자를 결합해 항아리의 한쪽 손잡이가 떨어져 나갔다는 뜻을 표현하고 있다. 缺자는 무거운 항아리를 옮기는데 필요한 손잡이가 떨어져 제구실하지 못하게 되었다는 의미에서 ‘이지러지다’나 ‘없어지다’, ‘모자라다’라는 뜻을 갖게 되었다. 그래서 缺(결, 규)은 빠져서 부족(不足)됨의 뜻으로 ①이지러지다(한쪽 귀퉁이가 떨어져 없어지다) ②없다 ③없어지다 ④모자라다 ⑤부족하다 ⑥(할 일을)빠뜨리다 ⑦비다 ⑧아니하다 ⑨나오지 않다 ⑩빠지다, 그리고 ⓐ머리띠(규) 따위의 뜻이 있다. 같은 뜻을 가진 한자는 모자랄 핍(乏), 이지러질 휴(虧), 이지러질 건(騫), 반대 뜻을 가진 한자는 날 출(出)이다. 용례로는 흠이 있어 완전하지 못함을 결함(缺陷), 모자람이나 부족함을 결핍(缺乏), 있어야 할 것이 없거나 모자람을 결여(缺如), 출석하여야 할 경우에 출석하지 아니함을 결석(缺席), 예의에 벗어나는 짓을 함을 결례(缺禮), 모자라는 점이나 잘못되거나 완전하지 못한 점을 결점(缺點), 출근하지 않음이나 일을 쉬고 안 나감을 결근(缺勤), 끼니를 거름을 결식(缺食), 필요한 자격을 갖추고 있지 아니함을 결격(缺格), 축이 나거나 손해가 남을 결손(缺損), 일정한 인원에서 사람이 빠짐을 결원(缺員), 시험에 빠짐을 결시(缺試), 이지러진 달을 결월(缺月), 있어야 할 것이 없거나 모자람을 결언(缺焉), 일정한 수효에서 부족이 생김을 흠결(欠缺), 결점이나 결함이 없음을 무결(無缺), 출석과 결석 또는 출근과 결근을 아울러 이르는 말을 출결(出缺), 없어도 될 만 함을 가결(可缺), 빈 자리를 채움을 보결(補缺), 병으로 결근이나 결석을 함을 병결(病缺), 부모의 한쪽 또는 양쪽이 죽거나 이혼하거나 따로 살아서 미성년인 자녀를 제대로 돌보지 못하는 가족을 이르는 말을 결손가족(缺損家族), 집안이 어려워 끼니를 거르는 아동을 이르는 말을 결식아동(缺食兒童), 사전에 아무런 연락이나 허락 없이 하는 결석을 이르는 말을 무단결석(無斷缺席), 충분하게 구비하여서 결점이나 부족한 것이 없음을 이르는 말을 완전무결(完全無缺), 흠집이 전혀 없는 황금 단지라는 뜻으로 외침을 받은 적이 없는 당당한 국가를 비유해 이르는 말을 금구무결(金甌無缺) 등에 쓰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