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제품 외에도 현지 생산제품 유통 -
- 웰빙 트렌드에 발맞춰 건강한 생수 수요 높아 –
□ 시장 현황
ㅇ 상품명 및 HS Code
- 상품명: 생수(HS Code 2201)
ㅇ 선정 사유
- 고온 사막기후 지리적 이유로 인해 식음료 수입대국인 UAE 생수시장에서 63억 아랍에미리트 디르함(약 17억 달러) 시장 규모를 자랑함. 최근 약 7%의 높은 성장률을 기록함.
ㅇ 시장규모 및 동향
생수시장 유통 판매점 매출 현황
(단위: 백만 아랍에미리트 디르함)
자료원: 유로모니터
전체 음료시장 생수 비중 현황
(단위 : %)
자료원: 유로모니터
- 현지 생수시장은 전체 음료시장에서 41%를 차지하고 있음. 현지 계속되는 인구 증가로 인해 생수시장은 꾸준한 성장률을 보이는 중
- 전체 생수시장에서 아주 미약하지만, 탄산(Carbonated) 또는 감미(Flavoured)된 생수가 성장률을 보임.
- 생수 부문에서도 소비자의 다양한 입맛과 건강 등의 이유로 소비자 욕구에 맞추어진 생수가 현지 시장에서 나오는 것을 알 수 있음.
- 또한 현지인들은 해수를 담수한 물보다 암반에 나온 천연 샘물을 선호함. 품질 좋은 생수 선호는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보임.
□ 수입 현황
ㅇ 최근 3년 수입규모 및 상위 10개국 수입동향
UAE 생수 수입현황(HS Code 2201)
순위 | 국가명 | 수입액(백만 달러) | 비중(%) |
2014 | 2015 | 2016 | 2014 | 2015 | 2016 |
- | 전체 | 49.6 | 48.2 | 53.3 | 100.00 | 100.00 | 100.00 |
1 | 프랑스 | 11.3 | 11.2 | 16.7 | 23.25 | 23.22 | 31.28 |
2 | 터키 | 8.4 | 13.2 | 14.0 | 17.30 | 27.35 | 26.38 |
3 | 이탈리아 | 9.6 | 8.5 | 9.2 | 19.81 | 17.69 | 17.37 |
4 | 노르웨이 | 9.8 | 2.7 | 3.2 | 20.25 | 5.56 | 6.05 |
5 | 오만 | 2.2 | 2.5 | 2.4 | 4.58 | 5.21 | 4.56 |
6 | 영국 | 1.8 | 1.9 | 1.8 | 3.67 | 4.02 | 3.47 |
7 | 피지 | 1.6 | 2.0 | 1.5 | 3.36 | 4.24 | 2.79 |
8 | 리투아니아 | 0.49 | 0.09 | 1.1 | 1.01 | 0.20 | 2.05 |
9 | 레바논 | 0.98 | 0.96 | 0.91 | 2.03 | 1.99 | 1.71 |
10 | 뉴질랜드 | 0.19 | 0.63 | 0.83 | 0.39 | 1.31 | 1.56 |
45 | 한국 | 0.09 | - | - | 0.19 | 0.00 | 0.00 |
자료원: Global Trade Atlas
- 프랑스(31%), 터키(26%), 이탈리아(17%) 순서로 전체 수입시장에서 75%를 차지함.
- 프랑스, 노르웨이, 리투아니아, 뉴질랜드가 2015년 대비 2016년에 성장을 기록함.
- 현지 수입 외에 오만, 바레인, 지부티 등 인근 중동 및 아프리카 국가로 약 4000만 달러 수출하고 있음.
ㅇ 대한 수입규모 및 동향
- UAE의 대한국 수입액은 2014년에 9만 달러 수출 이후로 별다른 기록이 없음.
□ 경쟁동향 및 주요 경쟁기업
주요 기업별 시장점유율(단위: %)
업체명 | 2014 | 2015 | 2016 |
Masafi Mineral Water Co | 27.4 | 27.5 | 26.7 |
Al Ain Mineral Water Co | 18.0 | 18.0 | 17.4 |
Emirates Refreshments PJSC | 8.9 | 8.8 | 9.0 |
National Food Products Co LLC | 8.6 | 8.5 | 7.9 |
Coca-Cola Co | 6.3 | 6.4 | 6.5 |
Danone, Groupe | 5.2 | 5.2 | 5.2 |
Gulfa Mineral Water & Processing Industries Co | 2.5 | 2.3 | 2.2 |
Dubai Refreshments Co | 2.4 | 2.3 | 2.2 |
Nestlé SA | 0.9 | 1.0 | 1.1 |
San Pellegrino SpA | 0.2 | 0.2 | 0.2 |
Agthia Group PJSC | 0.2 | 0.2 | 0.2 |
Others | 19.4 | 19.7 | 21.6 |
Total | 100.0 | 100.0 | 100.0 |
자료원: 유로모니터
ㅇ 경쟁동향
- 현지에서는 생수시장은 세계적인 브랜드가 아닌 현지 생수업체인 Masafi, Al Ain 등 현지 자체 브랜드로 전체 시장에 절반 이상의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음.
- 이외에 주요 수입 브랜드로는 Evian, Aquafina, Volvic 등이 프랑스, 이탈리아 등 유럽 브랜드로 각각 브랜드별로 5% 이하의 점유율을 보임.
- UAE 생수시장에서 적극적으로 소비자 유치를 위해서 손쉽게 생수를 주문, 배달, 결제 등을 할 수 있도록 편리한 스마트앱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음.
- 또한 현지 생수업체는 공장 신설이나 생산라인 추가 등 설비투자를 하고 있음. 물량 측면에서 Al Ain사가 Masafi사 보다 우위임.
주요 대표 브랜드 TOP 14
순위 | 브랜드명 | 사진 | 용량/가격 | 제조사 |
1 | Masafi |
| 500ml*12 / AED10.50 | Masafi Mineral Water Co |
2 | Al Ain |
| 500ml*12 / AED9.90 | Al Ain Mineral Water Co |
3 | Jeema |
| 500ml*12 / AED7.25 | Emirates Refreshments PJSC |
4 | Oasis |
| 500ml*12 / AED7.25 | National Food Products Co LLC |
5 | Arwa |
| 500ml*12 / AED9.90 | Coca-Cola Co |
6 | Evian |
| 500ml*6 / AED27.75 | Danone, Groupe |
7 | Gulfa |
| 500ml*24 / AED10.00 | Gulfa Mineral Water & Processing Industries Co |
8 | Aquafina |
| 500ml*12 / AED11.00 | Dubai Refreshments Co |
9 | Volvic |
| 500ml*6 / AED20.40 | Danone, Groupe |
10 | Perrier |
| 330ml*4 / AED19.50 | Nestlé SA |
11 | Masafi Flavoured Water |
| 500ml*6 / AED17.75 | Masafi Mineral Water Co |
12 | Apollinaris |
| 1LT*1 / AED5.50 | Coca-Cola Co |
13 | S Pellegrino |
| 750ml*1 / AED5.95 | San Pellegrino SpA |
14 | Alpin |
| 330ml*12 / AED10.25 | Agthia Group PJSC |
자료원: 유로모니터 및 브랜드별 홈페이지
주요 인기 탄산수(Sparkling water)
구분
| 사진
|
현지 국내 브랜드 |
|
현지 수입 브랜드 (대부분 유럽 브랜드) | |
자료원: 브랜드별 홈페이지
ㅇ 관세율, 수입 규제 및 유통구조
- HS Code 2201 기준, 수입관세율 5%
- 수입규제로 공통적인 제품에 대한 ESMA의 ECAS 필수 인증이 있음.
- 토호국별 수입 시 사전 승인 있음. 두바이 정부 식품부서는 FIRS(Food Import Re-Export System)를 통해서 수입 사전등록 관리함.
- 유통구조는 소매점인 하이퍼마켓(19.7%)과 슈퍼마켓(14%), 포코트점(5%), 편의점(1.7%)과 함께 전통적인 소매점(약 19.2%)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비상점 직접 판매는 약 40% 시장규모임.
- 현지 세계적인 관광도시로서 호텔 같은 경우 생수업체에서 자체 호텔 브랜드 제작해 호텔로 직접 납품하는 경우가 있고, 생수업체 자체 유통망으로 가정과 사무실 소비자에게 직접 배달 판매하는 유통구조를 가지고 있음.
□ 시사점
ㅇ 생수도 '웰빙 생수'
- 현지 대부분 생수는 담수화 과정에서 미네랄 제거와 탈염으로 순수한 물로 생산됨. 순수한 물은 장기적으로 인체에 그렇게 좋은 것은 아닌 관계로 건강에 관심이 많은 현지인이나 외국인에게는 미네랄 생수 또는 천연 샘물에 대한 관심도가 높음.
- 소득이 높은 일부 소비자 계층에는 자연과 건강을 이미지 담긴 고가 브랜드 제품 개발 등 소비자별로 세분화해 제품 개발과 마케팅할 필요가 있음.
ㅇ 환경문제 고려 필요
- 생수 물을 담고 있는 생수병, 즉 포장하는 일회용 페트병에 대한 폐기물 처리에 대한 사회적 문제에 대한 관심도가 높아짐. 현지 분리수거 활성화와 폐기물 처리비용 부과 , 유리병 재사용 등 대안을 제시하고 있음.
- 프리미엄 신제품 개발 시 가능한 재사용 가능한 유리병 등으로 우선 출시가 현지 시장에서 좀 더 프리미엄 제품으로 인식될 것임.
ㅇ 현지 물 관련된 국제 전시회 참가
- 현지 UAE 등 사막기후 중동 아프리카 나라들은 물에 대해 상품적 가치로 생수시장도 있지만, 국가적으로 주요한 전략적 자원으로 직접 생산과 에너지원 등 다양한 관점에서 물 관련 전시회와 포럼 등 행사가 개최됨. 이 중에서 음료 상품 관점의 관련 전시회는 매년 개최되는 국제 전문 식품전, 걸프 식품전에 참가가 도움이 될 것임.
- 현지 생수시장은 단순히 상품 관점만 고려해 현지 식품전에 참관할 것이 아니라, 현지 특수한 사막기후 환경으로 인한 물과 관련된 포럼, 전시회 등 참관을 통해서 생수시장 환경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주는 요소들에 대해서도 지속적이고 충분한 정보 수집과 검토가 필요함.
자료원: Global Trade Atlas, 유로모니터, KOTRA 두바이 무역관 자체 자료 및 자료 종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