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보다 훌륭한 詩人은 없다.
"나는 꿈꾸기 시작합니다
어느 햇빛 맑은 아침 다시 깨어나 부신 눈으로
머리맡에 선 당신을 만날 수 있기를"
영화 詩에서의 ‘아네스의 노래’ 일부다.
윤정희는 치매 노인을 돌보는 일을 하다가, 실제로 자신도 치매를 앓다가 사망한다.
시는 치매의 눈으로 세상을 보는 것일지도 모른다.
시인이란 아이의 시절로 돌아가지 못해 안달하는 어른이거나 펜을 들고 겨우 아이의 흉내를 내보는 자다.
아예 아이 흉내 내기를 포기한 시인들도 있다. 그들은 언어에다 겉치레하는 수사에 사로잡혀 있으며, ‘추억’ ‘고독’ ‘상념’과 같은 관념어를 시에다 남발하고, 자신도 이해하지 못하는 문장을 그럴싸하게 구사한다. 가짜 시인들이다.
“요건 찔레고 조건 아카시아야. 잘 봐, 꽃은 예쁘지만 가시가 있지?”
아빠가 일곱 살짜리 딸에게 친절하게 설명한다. 아이가 어떤 반응을 보일까?
“아빠, 근데 찔레랑 아카시아는 이름에도 가시가 있는 것 같아.”
나무 이름에서 된소리(ㅉ)와 거센소리(ㅋ)를 재빨리 발견하고 그걸 가시의 뾰족함과 단번에 연결시키는 것이다. 기가 막혀 샘이 날 정도다.
튤립나무하고 쥐똥나무는 가시가 없거든 하고 아이를 골려주고 싶어진다. 그러거나 말거나 이 어린 시인은 또 다른 통찰력을 과시한다.
“규연아, 저녁과 밤은 똑같이 깜깜하니까 같은 거지?”
하고 아빠가 묻자,
“다르지. 저녁밥 먹을 때가 저녁이고 잠잘 때는 밤이지.”
아이는 그것도 구별하지 못하는 아빠가 한심했을 거다.
이 꼬마시인은 박성우 시인의 딸인데, 엄마도 시인 권지현이다.
가족 셋 중 딸이 갑이다. 바다에 데려간 날 아이가 말했다.
“바다가 생각보다 얇네.”
아빠가 받았다.
“그래? 키가 크면 좀 더 두꺼워 보일 거야.” 그래서 아빠는 아이를 안고 바다를 보여주었다나.
내 딸아이가 바다를 처음 보고 이렇게 말했다.
“야! 사이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