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도참고] '24년 5월 경제활동인구조사 청년층 부가조사 주요내용 및 평가
https://www.moef.go.kr/nw/nes/detailNesDtaView.do?searchBbsId1=MOSFBBS_000000000028&searchNttId1=MOSF_000000000069769&menuNo=4010100
전반적인 청년층 고용지표 과거 대비 개선된 수준 |
- ‘22.5월 코로나 방역 해제 이후 가팔랐던 고용증가세가 정상화되는 과정에서 청년층 등 취약계층 어려움이 심화되지 않도록 정책 대응 강화 |
1. ‘24.5월 경활조사 청년층 부가조사 주요 내용
□ 고용지표 : 기 발표된 5월 경활조사와 동일
ㅇ ’24.5월 청년층 고용률 역대 3위인 46.9%, 경활률 역대 3위인 50.3%, 실업률 역대 최저 4위인 6.7%를 기록하였다.
청년 고용률(매년 5월) | 청년 경활률(매년 5월) | 청년 실업률(매년 5월) |
Not supported Object.
|
Not supported Object.
|
Not supported Object.
|
ㅇ 다만, ’22.5월 코로나 방역 해제 이후 2년간 청년층을 비롯하여 전반적으로 고용이 가파르게 증가했던 기저효과에 5월 조사주간(5.12~5.18일) 중 휴일포함(석가탄신일 5.15일) 등 일시적 요인이 함께 작용하며 전년동월대비로는 고용률·경활률이 하락하고 실업률이 상승하였다.
ㅇ 5월 일시적 요인 등을 감안하여 상반기 전체로 볼 경우 청년층 고용률 46.3%로 역대 3위, 경활률 49.5%로 역대 3위, 실업률 6.5%로 역대 최저 2위를 기록하였다. 특히, 핵심취업연령층인 20대 후반의 경우 고용률 72.7%로 역대 1위, 경활률 77.2%로 역대 1위, 실업률 5.9%로 역대 최저를 기록하였다.
고용률(매년 상반기) | 경활률(매년 상반기) | 실업률(매년 상반기) |
Not supported Object.
|
Not supported Object.
|
Not supported Object.
|
□ 졸업 후 첫일자리
ㅇ 졸업 후 첫 취업 소요기간은 평균 11.5개월로 전년대비 증가(+1.1개월)하였으나, 임금수준은 300만원 이상 취업자 비중이 4.3%에서 5.1%로 증가하고 150~300만원 취업자 비중이 67.0%에서 68.3%로 증가하였다.
ㅇ 또한 첫 직장 근속기간은 1년 7.2개월로 전년동월대비 0.6개월 증가하였으며, 첫 직장을 그만둔 근로자 비중은 66.8%로 전년과 동일하였다.
| ‘17.5월 | ‘18.5월 | ‘19.5월 | ‘20.5월 | ‘21.5월 | ‘22.5월 | ‘23.5월 | ‘24.5월 |
첫 직장 임금수준(%) | 300만원 이상 | 2.3 | 2.0 | 2.4 | 2.9 | 3.5 | 3.7 | 4.3 | 5.1 |
150~300만원 | 43.6 | 49.1 | 52.2 | 55.5 | 60.2 | 65 | 67.0 | 68.3 |
150만원 미만 | 54.1 | 48.9 | 45.4 | 41.6 | 36.3 | 31.3 | 28.7 | 26.6 |
첫 직장 근속기간 | 1년 5.6개월 | 1년 5.9개월 | 1년 5.3개월 | 1년 5.5개월 | 1년 6.2개월 | 1년 6.8개월 | 1년 6.6개월 | 1년 7.2개월 |
□ 졸업 후 미취업자
ㅇ 최종학교 졸업자 중 미취업자 비중은 29.5%로 전년대비 1.6%p 상승하였으나 통계작성(‘04년) 이후 최저 3위를 기록하였다.
| ‘17.5월 | ‘18.5월 | ‘19.5월 | ‘20.5월 | ‘21.5월 | ‘22.5월 | ‘23.5월 | ‘24.5월 |
졸업 후 미취업자(만명) | 144.4 | 148.7 | 154.1 | 166.0 | 154.8 | 133.0 | 126.1 | 129.0 |
- 비중(%) | 30.5 | 31.1 | 31.9 | 34.7 | 32.9 | 28.4 | 27.9 | 29.5 |
ㅇ 졸업 후 미취업자의 주된 활동은 직업교육 · 취업시업 준비 37.8%, 그냥 시간 보냄 24.7%, 구직활동 9.1% 등으로 나타났다. 한편, 취업시험준비자 중에서는 일반기업체 준비자 비중이 27.3%에서 29.7%로 증가한 반면, 일반직 공무원 준비 비중은 29.3%에서 23.2%로 감소하였다.
취업시험 준비자 중 분야별 비중
(%) | ‘17.5월 | ‘18.5월 | ‘19.5월 | ‘20.5월 | ‘21.5월 | ‘22.5월 | ‘23.5월 | ‘24.5월 |
일반기업체 | 20.6 | 24.6 | 23.7 | 24.7 | 22.2 | 23.8 | 27.3 | 29.7 |
언론사/공영기업체 | 8.0 | 8.0 | 9.9 | 13.9 | 11.9 | 12.2 | 12.0 | 11.7 |
교원임용 | 6.1 | 5.8 | 4.2 | 4.3 | 4.0 | 3.9 | 4.0 | 3.7 |
일반직공무원 | 36.6 | 33.3 | 30.7 | 28.3 | 32.4 | 29.9 | 29.3 | 23.2 |
고시 및 전문직 | 8.3 | 7.8 | 6.7 | 8.1 | 10.5 | 11.6 | 11.2 | 12.7 |
기능분야 및 기타 | 20.4 | 20.5 | 24.8 | 20.6 | 18.9 | 18.7 | 16.2 | 18.9 |
2. 평가 및 대응
□ ‘22.5월 코로나 방역 해제 이후 고용이 2년 연속 크게 증가했던 기저효과, ’24.5월 일시적 요인 등에도 고용률·경활률·실업률 등 전반적인 청년층 고용지표는 과거에 비해 개선된 모습을 보였다.
※ 경력직 중심으로의 기업채용 관행 변화 등으로 취업준비 기간이 장기화되는 가운데, 공무원 취업준비 비중 감소 및 일반기업체 등 민간부문 일자리 취업준비 비중 증가 경향도 관찰
□ 다만, 그간 가팔랐던 고용 증가세가 정상화되는 가운데 자영업자·건설업 등 부문별 어려움이 이어지고 있는만큼 청년층 등 취약계층의 어려움이 심화되지 않도록 정책대응을 강화할 계획이다.
ㅇ 경제 역동성 강화 및 노동시장 이중구조 개선을 통해 양질의 민간일자리 창출 기반을 강화하는 한편, 범정부 일자리 TF(기재부 1차관-고용부 차관 공동 주재) 중심으로 청년층을 비롯한 계층별·업종별 고용여건을 매주 점검하고 대응방안을 적기 강구할 계획이다.
ㅇ 특히, 취약 청년에게 선제적 지원을 강화하고 학교 졸업 이후 노동시장에 원활히 진입할 수 있도록 맞춤형 지원을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 구직단념 청년을 취업으로 연계하는 ‘청년도전지원사업’을 확대*하였고,
니트 사전 예방 및 발굴을 위한 프로그램(’24년 44개 지자체, 48,290명)도 시행 중이다.
* 구직단념청년 대상 진로탐색 프로그램 및 취업 인센티브 제공(’23년 8,000 → ’24년 9,639명)
- 또한, 기업의 수시·경력직 채용 경향에 대응하여 청년에게 양질의 일경험
기회를 확대(’23. 2.6만명 → ’24. 4.8만명)하는 한편,
- 미취업 졸업생에게 찾아가는 고용서비스를 제공하는 ‘청년고용 올케어
플랫폼’을 하반기부터 시범운영할 예정이다.
기획재정부 | 경제구조개혁국 | 책임자 | 과 장 | 조성중 | (044-215-8530) |
<총괄> | 인력정책과 | 담당자 | 사무관 | 송동원 | (sdwp1111111@korea.kr) |
| 경제구조개혁국 | 책임자 | 과 장 | 박은영 | (044-215-8580) |
| 청년정책과 | 담당자 | 사무관 | 송기선 | (steamship@korea.kr) |
고용노동부 | 청년고용정책관 | 책임자 | 과 장 | 김종호 | (044-202-7440) |
<공동> | 청년고용기획과 | 담당자 | 사무관 | 원치욱 | (chiuk91@korea.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