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앙선 광역전철을 용문에서 원주로 연장하는 것에 대해서 언뜻 생각하면 수요가 없어서 사업성이 떨어진다라고 인식들 할것입니다.
연장규모상으로는 경부선 광역전철이 천안까지 가는 것과 유사한 수준입니다만 용문 ~ 원주간은 경부선 수원~천안간과 비교하면 표면적으로 수요가 없어보이죠. 경부선 수원 천안간은 중간에 오산 평택등지도 도시화가 진행되어 수요성도 많지만 용문 -원주간은 아직은 한적한 시골이기에 수요가 없게 느껴집니다.
하지만 한편으로 수도권인구분산이라는 측면에서 원주를 수도권에 가까운 배후도시로 육성할 계획이 있고 용문-원주간은 이런 계획이 순탄히 이루어지면 비록 수원-천안간에는 비할바는 못되지만 어느정도 인구분산유치가능성은 있다고 생각합니다.
용문-원주간에서 좀 수요성이 있는 곳을 지적한다면 지평, 양동, 서원주일대로 봅니다.
그리고 또 한가지 중요한 사안으로 현재 중앙선의 단점으로 복선하나가지고 간선과 광역전철기능을 모두 수행하려다 보니 선로용량이 과부하 상태입니다. 거기다가 경의선과 중앙선의 광역전철을 직결한 형태인데 중앙선구간에서 많은 열차를 넣을수 없다보니 덩달아 경의선 구간마저 열차 인터벌이 벌어지는 단점이 불가피하게 나타납니다.
중앙선도 경부선같이 간선과 광역전철기능을 별도로 하는 2복선화가 이루어지기를 기대하는데 원주까지 2복선화한다면 또 상황이 달라질수 있습니다. 간선열차쪽에서도 여유가 생기고 광역전철전동차도 많이 넣을수 있기에 원주까지 광역전철연장도 무리는 아닐것입니다.
되려 용문-원주간의 개발차원에서도 광역전철을 연장할 필요가 있다고 봅니다. 그리고 용문 - 원주간의 광역전철 중간역을 지평, 양동, 서원주 이렇게만 하면 광역전철의 표정속도고 빨라저서 청량리-원주간 수요를 무궁화호가 아닌 광역전철로도 적잖게 돌릴수 있슬 것입니다. 물론 지평, 양동, 서원주역 주변 도시개발도 병행해야 할것입니다.
원주시가 중핵급수준의 도시로 성장해서 수도권인구분산기능에 부응하고 용문 원주간에도 군대군대 도시개발이 이루어지면 광역전철로 충분한 수요를 창출할수 있슬 것입니다.
첫댓글 110km/h 밖에 못 달리는 현재 광역전철로는 다른 열차들에게 속도저하를 유발할 수 있고, 대피를 하느라 너무 오래 걸리게 될 것입니다. 원주연장을 추진하려면 150~180급 광역차량의 도입을 같이 계획해야 타당성이 올라갈 것입니다. 150급 차량은 공항철도 일반열차 신형차량, 180급은 GTX차량이 대표적이지요.
그렇지만 선로 주변이 산악지형이어서 도시개발에 한계가 있고 주거 및 유동인구가 대폭 늘어날 것이라는 기대가 어렵기 때문에 150~180급 차량을 고려하더라도 경제성이 부족할 것입니다.
부전-마산 복선전철에도 통근형 전동차 넣는 일이 쉽지 않은데, 용문-원주 구간은 더 힘들지 않을까요?
부전-마산구간에 통근형 전동차 운행 무산시킨 코레일과 국토부의 논리대로라면 용문-원주 구간의 증차, 역사계량등등의 비용을 강원도와 원주시가 부담해야하는데 그 또한 불가해 보입니다.
그리고 해당 열차 운행을 위한 선로를 추가하자고 하면 아예 불가능에 가까울겁니다.
그냥 복선하나로 광역전철을 원주까지 연장하자는 것이 아니라 경부선같이 2복선화를 하자는 것입니다.
그리고 비록 용문 원주간은 지형적으로 산악지대가 많아서 대규모의 도시화는 불가능하지만 원주기업도시육성과 연관된 수도권인구분산이라던가 관광지조성, 전원주택단지등의 개발요인은 충분하다라고 봅니다.
수요도 없는데 2복선을 깔기 위한 예산을 낭비하느니 다른 곳에 해당 예산으로 철도를 개량하거나 신설하는것이 더 효율적이라고 보이네요
@깔깔 지금도 용량이 미어터져서 전철 안 온다고 난리인 경의중앙선 상황이나 해당구간에서 제 속력 못 내는 KTX운행 상황을 생각하면 2복선에 준 고속화는 필요하지 않겠습니까? 서울 시내 철도 지하화 같은 뻘짓 보다는 훨씬 효용성이 있겠지요.
원주역이 시가지 중심에서 약간 떨어져 있어 충분한 수요가 나오지 않을듯 합니다. 그렇다고 30분이나 1시간 간격으로 운행해버리면 있느니만 못하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