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황 1 부하직원 결혼식장에 가족을 데리고 온 과장
신랑: 오셨어요? 부조 얼마 하셨어요?
직장상사: 5만 원 했어.
신랑: 5만 원? 여기 뷔페가 4만5000원인데 사모님에다가 애를 둘씩이나 데리고 오신 거예요?
직장상사: 가족들 외식도 시키고 뽕도 뺄 겸 줄줄이 데리고 왔지.
신랑: 그래도 10만 원은 하셨어야죠. 해도 해도 너무하셨다.
직장상사: 10만 원 낼 거면 여긴 왜 왔겠어. 싼 맛에 가족 외식하려고 왔는데.
#상황 2 직장 회식 자리
과장: 자, 메뉴 골라 봐.
여직원: 어머, 됐어요. 어차피 과장님 먹고 싶은 것 드실 거잖아요.
과장: 그래도 회식인데 너희가 고르는 척이라도 해봐.
일동: 꽃등심 먹을까? 꽃등심이요!
과장: 여기 삼겹살 주세요!
케이블 채널 tvN 롤러코스터의 새 코너 만약에 극장에 나온 에피소드다.
모두가 사실만을 얘기하는 곳을 표방한 이 코너는 일상생활에서 겪게 되는 다양한 상황에서
위선이나 예의바름을 벗고 속말 그대로 내뱉는 사람들을 보여주며 웃음을 유발한다.
친구 결혼식에 하객으로 가서 어머, 너 드레스 너무 조잡하다라고 인사말을 건네고,
신부는 친구에게 그래, 너도 시집가야지. 나보다 좋은 데로는 가지 마 한다.
올해 신년 특집으로 방송됐다가 시청자들의 호응에 힘입어 정규 코너로 편성됐다.
한동안 TV 예능 프로그램에서는 출연진들이 누가 더 독한가 내기라도 하듯
서로 헐뜯고 상처 주는 말을 주고받는 독설화법이 유행했다.
이에 비해 최근 예능 프로나 드라마에서는 상대방을 공격하지 않으면서도 속마음을 숨김없이 드러내며
시청자들의 공감과 웃음을 끌어내는 직설화법이 인기다.
롤러코스터는 두 사람 사이의 싸움을 게임 중계하듯 보여주는 속타 그래 붙어도 신설했다.
명품 가방을 놓고 다투는 자매, 짝사랑하는 선배를 놓고 다투는 대학 동기 등이 등장한다.
지난해 인기를 끌었던 남녀탐구생활처럼 일상생활 속 사람들의 속마음을 소재로 하는 코너이다.
KBS 2TV 개그콘서트의 두 분 토론에서 남하당 대표 박영진은 알파걸이라는 신조어가 생길 정도로
여권이 신장된 현실이 내심 못마땅한, 보수 세력을 대변하는 직설로 웃음을 유발한다.
우리 때 여자가 외출할 수 있었던 것은 쫓겨날 때밖에 없었어
(뒤늦게 제사 지내러 온 며느리에게 시어머니가) 뭐하기는! 다 해야지! 하는 식이다.
여자들 말이야, 귀에다 대고 한다는 소리가 뭐? 이건 비밀인데 아무한테도 말하지 마?
그럼 너도 말하지 마! 비밀이라면서 다 떠들고 있어! 하거나
여자들 말이야, 온라인 쇼핑몰 사진을 자연스럽게 찍겠다고 뭐? 파파라치 컷? 이게 어디 몰래 찍힌 거야,
연기한 거 다 티나! 하는 대목에선 여자들도 고개를 끄덕이며 웃음을 터뜨리게 된다.
SBS 드라마 시크릿가든 종영 후에도 다른 예능 프로나 CF에서 되풀이 인용되는 대목 중
하나도 주인공인 백화점 사장 김주원(현빈)의 직설적인 대사들이다.
사회 지도층의 윤리란 이런 거야. 나 가정교육 이렇게 받았어 내 목소리 기억 안 나요? 기억 안 날 목소리가 아닌데? 등이다.
독설과 달리 듣는 이를 불편하게 하지 않으면서도 화제를 모을 수 있다는 점도 직설의 장점이다.
SBS 강심장에서 연기자 박한별이 평소 트림을 못해 방귀를 두 배로 뀐다고 털어놓거나
신화의 김동완이 이수만 사장님에게 코를 선물로 받았다고 밝혔던 것이 대표적인 사례다.
롤러코스터의 김경훈 PD는 요즘 예능 프로들을 보면 혼자 꾹 참고 있던 얘기를 방송에서 화끈하게 보여줌으로써
나만 그런가 하고 가렵게 생각했던 부분을 확실하게 긁어주는 경우가 자주 눈에 띈다.
시청자들의 공감을 끌어낼 수 있는 직설 콘셉트를 계속 유지할 생각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