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옥의 구조와 각 부위의 명칭 아름다운 한옥. 곡선, 그리고 단정한 멋스러움과 더불어 각 부위의 이름까지 아름답고 멋스럽다. 우리의 전통한옥~ 아름다움을 지켜나가는 그 모습 또한 아름답다. 긴 세월 민족의 문화와 정신을 담아 온 한옥의 구조와 각 부위의 명칭에 대하여 알아본다. 1. 집의 각 부분
2. 기둥
3. 수장 4. 기와지붕 들보는 앞뒤에 있는 기둥쌍 수만큼, 이렇게 지붕을 떠 받치듯이 여러개 있다. 서까래는 윗 그림에서는 하나로 보이지만, 밑의 그림에서는 촘촘히 가는 것이다.
한옥의 건축 용어 1. 건 물 명-일반 물이 흐르게 된 집. 우진각집.
꾸며 까치박공을 달은 집. 팔작집(八作家).
팔각가.
②배 위에 간단히 지은 집. 대개 지붕 모양을 박공집 형식으로 함.
조선조 이후의 건축에 많이 쓰이었음.
②물익공집의 딴말. 물익공집. 꾸민 집. 쓴 익공집. 무익공집. 곧 도리 세 개로 짜인 집. →세마루집. 세마루집 : 삼량집. 사량집(四梁家) : ①한 간 또는 한 간 반의 간 사이에서 전면은 오량집처럼 도리를 걸고, 후면은 세마루처럼 꾸민 집. ②마루도리를 걸지 아니하고 전후도리를 가깝게 걸고 서까래를 수평으로 걸며 용마루는 적심 또는 알매흙으로 채워 꾸민 집. →평사량집. 평사량집(平四梁家) : 마루대 없이 전후중도리에 서까래를 수평으로 걸고 지붕마 루는 적심이나 흙을 채워 꾸민 집. 걸어 지붕틀을 꾸민 집. 및 용마루도리 7개를 걸어서 꾸민 집. 엇치량으로 꾸민 집. 지붕면의 길이나 경사르 다르게 꾸민 집. 엇가게에서 온 말. 백골집(白骨家) : 단청이나 다른 칠을 하지 아니하고 목재면을 그대로 둔 집. ②정사각형 단면의 모를 크게 접은 도리로 꾸민 집. 이 끼이게 하는 구조로 꾸민 집. 서 지은 집.
에 위치해야 하거나 주건물의 운영에 필요한 적절한 규모의건축물. 고상식(高床式) : 일 층 바닥을 지면에서 떨어져 높이 꾸민 집의 형식. 누마루식.
각(閣) : ①석축이나 단상에 높게 세운 집. ②명사 밑에 붙어서 격식이 높은 집이란 뜻을 나타내는 말. 전각(殿閣) ②관아(官衙)?사원(寺院) 등의 큰 집.
당집 : 서낭당. 국사당(國師堂)과 같은 토속신을 모신 집. 무당이 경을 읽거나 제 사도 지냄. 당옥. 정전(正殿). ②한 구획 내에 지은 여러 채의 집 중에서 가장 주되는 집채.
②제사를 지내는 몸채의 방.
행궁(行宮) : 별궁. 궁전. →별궁. 令)들이 공사를 처리하던 집. 동현마루.
②장수?군사와 장정들을 모아 임금의 주장(主掌)으로 사냥 또는 무술을 닦고 가르치는 집. 강무당(講武堂) 설치한 집. 서울 보신각(普信閣). 경주 봉덕사 종 따위. 있었음. 누국(漏局).
새로운 트랜드! 친환경 웰빙시대-신한옥 인테리어
웰빙과 친환경을 얘기하는 요즘, 한옥이 다시 주목받기 시작하면서~ 주변에 주택들을 한옥으로 리모델링 하는 집들을 종종 볼수 있죠.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잡고 있는 한옥.
한옥 인테리어의 공간 활용하기 징검다리
나무 단면을 잘라 대청마루 위에 징검다리처럼 투박하게 올려놓았다. 바쁘게 돌아가는 상업공간에서 두 공간을 드나드는 사람들이 굳이 신발을 신고 벗는 번거로움을 없애기 위함이다. 가정집을 시공하면서 잔디밭 정원을 가로질러 갈 수 있도록 잔디밭에 나무토막을 박아 징검다리를 만들기도. 사람과 자연에 대한 배려가 묻어나는 한옥 인테리어 공간이다.
한옥 인테리어로 다시 보는 야외 거실
사람이 머무는 공간으로 컨셉을 정한 이 한옥만의 독특한 인테리어 이다. 잔디와 돌을 깔고 이국적인 느낌의 체어와 테이블을 두어 거실의 느낌을 강조한 한옥 인테리어.
한옥 인테리어에서만 찾아 볼수 있는 미니 자갈밭
한옥 인테리어에서만 찾아 볼수 있는손바닥 정원
마당에 전체적으로 깔린 전돌이 주는 무거움을 덜기 위해 마당 가운데 손바닥 정원을 만들고 매화나무를 심었다. 늘 사람들로 북적되는 공간에 전돌이 주는 절제의 미꽃, 나무가 주는 따뜻함이 조화를 이룬다.
한옥 인테리어에서만 찾아 볼수 있는 담장 벽화
또 기왓장의 곡선을 이용해 주변 장식을 했다. 하얀 바탕에 짙은 흑색의 와편으로 장식한 담장 벽화는 밖으로 돌출시켜 만든 다른 벽화와는 달리 안쪽으로 삽입되어 있어 골조의 역할도 한다.
한옥 인테리어에서만 찾아 볼수 있는 와편 벽화
◈한옥의 특징
(1) 우리 나라의 전통 가옥은 구조에서부터 만드는 재료에 이르기까지 자연적이다. (2) 기단 등은 돌을 사용하고 기둥과 서까래, 문, 대청바닥 등은 나무를, 벽은 짚과 흙을 섞은 흙벽으로 만들었으며 창에는 역시 천연 나무로 만든 한지를 발랐다. 바닥에는 한지를 깐 뒤 콩기름 등을 발라 윤기 있게 하였고 방수의 역할도 했다. (3) 한옥은 마루를 중심으로 그 둘레에 방이 있고, 부엌과 화장실은 마루를 통과하여 갈 수 있거나 별채의 건물에 따로 두었다. (4) 문살과 한지로 만든 방문과 창문은 멋이 있고 바람도 잘 통한다. (5) 낮은 담을 둘러서 집안을 아늑하게 만들고, 담 밑에 장독대를 만들어 조화를 이루게 하였다. (6) 여러 가지 아름다운 모양의 무늬로 독특한 멋을 내었다. (7) 지붕의 선과 담, 그리고 문살의 무늬 등에서 민족의 은은한 마음씨와 정겨움을 느낄 수 있다. (8) 마을 공동체 단위의 생활을 했기 때문에 방은 개인을 위한 공간으로, 대청은 모두를 위한 열린 공간으로, 마당은 큰일을 치루는 공간으로 쓰였다. (9) 고쳐야 할 점 : 한 건물 내에 모든 시설이 다 들어 있지 않고 따로 떨어져 있어 생활하기가 불편하다.
|
출처: 푸른파도 원문보기 글쓴이: 푸른파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