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115-211계의 후속차량으로 등장 2000년에 데뷔한 신형차량 E231계는 근교형 노선에도 진출하게 된다. 2000년부터 뚜렷해진 E231계의 근교형 진출의 첫 노선은 도호쿠본선-다카사키선이었다. 원래 도호쿠본선(우츠노미야선)과 다카사키선에는 113-115계와 211계가 운행하고 있었으나, 113-115계는 차량의 노후화가 심각하였고, 211계만으로는 역부족인 상태가 되었다. 그랬기 때문에 JR동일본은 우츠노미야-다카사키선에 신형 증비차량의 투입을 서두르게 된다.
2. 통근형 차량을 베이스로 하되 근교형 입맛에 맞춘 성능 대체적인 사양은 기존 E231계 통근형 차량을 베이스로 하고 있지만 중거리를 운행하는 근교형의 특성에 맞춰 몇몇 부분이 개량되어있는것이 특징으로 기존 E231계의 내부 사양을 베이스로 필요한 부품과 내장만 끼워맞추면 별도의 세부설계 절차 없이도 바로 제작이 가능하도록 한 E231계 특유의 설계사상이 한몫을 했다. 먼저 추진제어장치가 바뀌어 기존 미츠비시사의 3레벨 IGBT인버터가 아닌 히타치사의 2레벨 IGBT 인버터(일명 "추락 인버터")를 채용했으며 구배를 고려한 억속제동이 채용되었다. 선두부는 건널목이 많은 점을 고려해 운전석 높이를 높인 고운전대와 E217계에서 채용되었던 크러셔블존-서바이벌존 구조를 채택했다(따라서 선두차 부분의 출입문과 그 옆 출입문 사이 길이가 줄었다) 초기 오야마 차량센터 소속이었던 차량들은 기존과 같은 아날로그 계기판을 사용했지만 2004년 이후에 도입된 코우즈 차량센터 소속의 E231계는 계기판까지 전부 LCD모니터를 사용한 글래스 콕핏을 채용했다. 실내에는 야마노테선에서 사용되던 모니터식의 VIS는 채용되지 않고 일반적인 LED전광판을 채용했다. 이는 VIS시스템은 통신수단으로 SS밀리파를 사용했는데 이 기지국이 야마노테선 구간으로 한정되어있어 이 밖으로 나가는 열차는 채용하기 어려웠다는 문제가 있었기 때문이었다. 후일 VIS통신수단을 SS밀리파에서 Wi-MAX(와이브로)로 개량했지만 수도권 밖으로 나가면 이마저도 사용이 어려워 후속차량인 E233계의 근교형도 LED전광판을 채용하고 있다. 단 VIS는 연동되어 있어서 디지털 열차무선망을 통해 간단한 운행정보(지연/운행중단 등)등을 받아 두줄짜리 LED전광판에 표시하는 정도는 가능하다.
- E231계 근교형의 주행음을 한번 들어보자. 초반에 소리가 쭈욱 낮아졌다가 급격하게 높아지는것이 특징으로 철도팬들 사이에서 "추락 인버터" 라는 별명으로 불린다. 동형으로는 E257계가 있다.
- E231계 근교형 부터는 선두부의 크러셔블존 구조 설계가 기본이 되었다. 덕분에 선두부 뒤의 출입문과 그 뒷쪽의 출입문 간의 거리가 줄었다.
- E231계 근교형은 크러셔블존 구조로 운전실 공간을 충분히 확보해 운전사의 안전과 근로조건 향상에 기여하고 있다.
- 코우즈 차량센터로 배속된 후기형 차량은 전압계와 압력계 같은 주요 계기판까지 모두 모니터에 그래픽으로 담아 글래스 콕핏을 적용했다. 계기용 모니터는 두개로 구성되어 이중화는 물론 여러가지 운전정보를 표시하여 다용도로 써먹을 수 있게 되어있다.
- 글래스 콕핏이 적용된 E231계 근교형의 운전모습. 압력계(좌하단), 전압계(좌상단), 신호 및 고장등(우상단)이 가지런히 표시되어 있다. TIMS와 연동되어 각종 계기판을 여기에 집약시킨 형태로 코레일 전동차 등에서 볼 수 있는 모니터식 ADU와는 차원이 틀린 물건.
3. 크로스시트와 롱시트가 혼재 근교형 E231계는 세미크로스시트와 롱시트가 혼재한다. 15량 편성(6M 9T) 기준으로 했을 때 세미크로스시트는 3량정도가 조성된다(그린샤 제외). 롱시트형은 E231계 통근형과 같은 면모를 보이고, 세미크로스시트형의 내부는 E217계 크로스시트형과 같은 모습으로 재활용을 생각해서 쿠션이 없는 폴리에스테르 재질로 만들었다. 통근형의 하이팩의자에 베개를 덧댄 형이라고나 할까? 출입구는 리니어모터를 채용한 전기식 도어엔진을 적용하여 도어 개폐소음을 획기적으로 절감했다. 또한 쇼난신주쿠라인이나 차후 건설될 도호쿠종관선 등 도쿄 남북 직통운행을 고려해 한랭지 대응 구조를 도입, 출입문 반자동 스위치등이 기본적으로 설치되었으며 배리어 프리 대응 시설(화장실, 휠체어스페이스)등도 충실하게 갖추고 있다.
차량의 용도와 운용구간에 따라 엄청난 형식이 제작되었기 때문에 접수대의 구분도 매우 복잡해졌다. 근교형은 기본적으로 한랭지 대응이기 때문에 1000번대를 부여받았고 화장실이 붙으면 +500번대, 크로스시트차량이면 +2000번대, 선두차(쿠하)는 +5000번대, 중간부수차(사하)인데 화장실이 있으면 +5000번대 등의 공식(?)에 따라 차량번호가 부여된다.
- E231계 근교형의 리니어 모터식 출입문 장치의 구동모습. 왼쪽 상단이 제어장치(DCU), 오른쪽이 구동부로 구동모터가 아닌 선형 모터로 구동되어 구동부가 훨씬 간결해졌다.
- E231계 근교형의 롱시트 부분. 역시 평범한 통근형 차량같은 느낌으로 장애인 대응 화장실도 보인다.
4. JR동일본 근교형계를 정복하다. 근교형 E231계는 먼저 타카사키선/우츠노미야선을 중심으로 배치가 시작되어 오야마 차량센터에 총 665량(10량 49개, 5량 35개)이 제작되어 배치되었다. 하지만 쇼난띠가 칠해진 것은 아마도 도카이도본선으로도 내려가게 될 것을 암시하는 듯했다. 그 암시가 맞아떨어졌는데, 다카사키-우츠노미야에서 활약하던 근교형 E231계는 쇼난신주쿠라인을 타고 드디어 신주쿠 이남에도 진출하기 시작했다. 2002년 12월 1일의 다이어 개정으로 쇼난신주쿠라인의 열차가 대폭 증비되면서, 쇼난신주쿠라인의 도카이도본선-요코스카선 직통으로 근교형 E231계가 내려오기 시작한 것이다. 그래서 2003년 이후에는 도카이도본선의 오다와라나 요코스카선의 즈시에서도 E231계의 모습을 볼 수 있게 되었다.
또한 도카이도본선의 113계 퇴출과 타마치차량센터 교외 이전(코우즈 차량센터)움직임과 맞몰려 코우즈 차량센터 소속으로도 E231계가 하나 둘씩 자리잡기 시작해 2006년까지 총 590량(10량 42개, 5량 34개)이 코우즈 차량센터에 배치되면서 총 1,255량이 생산되어 도쿄권 근교열차의 주력차량 역할로 자리잡았다. 이후에는 E233계의 근교형으로 이어지며 E231계와 E233계 근교형끼리는 형식 구분없이 공통으로 운용되고 있으며 도카이도본선의 서쪽 경계선인 아타미 서쪽(JR동해구간)의 직통운행이나 고덴바선의 직통운행은 5량, 혹은 10량편성 단독으로 운용되는 경우도 있다.
- 도쿄역에 정차중인 E231계 근교형. 우에노도쿄라인 개통과 함께 도쿄 이북지역과 이남지역의 근교형 운용은 일체화 되었다. 통근형과 비교하면 전조등의 위치(상단부의 HID, 하단부에는 미등만 있다)로 구별이 가능하다.
5. E231계에도 2층 그린샤가... 사로E230/사로E231 등장 E231계 근교형 도입 초기에는 그린샤 없는 통짜 10량편성으로 운용되었는데 2004년에 들어서, 상당히 긴 구간인 도호쿠본선-다카사키선의 보통열차 그린샤에 대한 수요가 점점 늘어감에 따라, JR동일본은 E231계의 새로운 2층형 그린샤를 신조하여 기존에 운행하던 쇼난신주쿠라인 및 도호쿠본선-다카사키선의 E231계 10량 본편성 차량의 4, 5호차에 편입시키는 작업을 행하였다. 이렇게 해서 나온 차량이 바로 사로E230형 차량이다. 2층구조로써 총정원은 90명이며, 전체적으로 211계에서 도입되었던 복층형 그린샤와 같은 구조를 따르고 있다. 차내는 특급형 차량을 연상시키는 프리스톱 리클라이닝 시트를 탑재하여 훨씬 안락하고 편안한 여행을 보장해 준다. 특히 JR동일본의 비접촉식 교통카드 시스템인 Suica의 시스템을 최대한으로 이용한 Suica 그린샤 개찰 시스템을 장치, 그린샤 좌석을 Suica의 첨단 시스템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자세히 살펴보면, 미리 그린권을 구매하거나 차장에게서 그린권을 현장구매하는 경우,(현장구매할 때가 더 비싸다) 승차하는 구간 동안에는 좌석 위의 표시등에 녹색 불이 켜진다. 즉, 붉은 색 램프가 들어온 사람만 차장이 개찰을 하면 되므로 개찰의 부담이 한결 덜해져 더욱 편안한 그린샤 이용 시스템이 된 것이다. 이 E231계 그린샤 증비를 끝으로 도쿄 근교권의 모든 차량에 그린샤가 조성되었는데, 이후 도카이도본선에서 그린샤 승무원 폭행사건이 발생하면서 그린샤 전 차량의 출입문과 승무원실에 CCTV 카메라가 설치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