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1바위봉(간문봉382m).중상봉(495m).계족산(703m).730m봉(삼각점봉).광대바위.국시봉(491m)/전남 구례
산행일자;2022년 5월19일(목). 날씨;맑음. 산행거리;8.5km . 산행시간;약3시간30분.
교통편;안내산악회 강송 (간미봉,지초봉) 따라가 개인산행
비용;35,000원(하산후 현지식당 식사와 주류제공 비용포함)+들날머리 택시비(21,000+15,680=36,680원)+막걸리4병12,000원/합계;83,680원
산행코스;간전농공단지옆 등산로입구 →병풍바위 갈림길 중상봉 → 화정재 → 계족산정상 → 730m삼각점봉 → 광대바위 →광대바위 전망대→전망바위→금줄 90도 좌향 급경사 암릉 내림길 → 삼산리 갈림길(삼신재) → 국시봉 →새로 정비된 등산로→ 터골재 →임도 →산치버스(2시.6시)정류장
■계족산(鷄足山 703m)은 전라남도 구례군 문척면과 구례군 간전면 사이에 솟아 있는 바위산으로, 모산은 호남정맥상의 갈미봉이다. 주화산에서 광양의 망덕산으로 이어지는 호남정맥이 형제봉 직전에서 북쪽으로 가지를 쳐 갈미봉을 일구고, 갈미봉을 일군 산줄기는 매재를 지나면서 두 갈래로 갈라지게 된다. 그 중 하나는 서쪽으로 가지를 쳐 천황봉을 일구고, 다른 하나는 북동쪽으로 가지를 쳐 계족산을 일군다. 계족산을 일군 산줄기는 간문리에서 그 맥을 섬진강에 넘겨주고 있다.
계족산(703m)은 구례 문척면과 간전면을 가로 지르며 '닭발을 닮은' 산세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라고 한다. 남서쪽 천황봉(652m)을 중심에 두고 오산(531m)으로 이어지는 능선과 함께 섬진강을 향해 달려들 듯 바짝 엎드린 능선 때문이 아닐까 짐작해본다. 칼로 두부를 썰어놓은 듯 녹색의 산등성이 한 귀퉁이로 하얀 바위절벽이 눈에 들어온다. 40~50미터는 됨직한 커다란 수직절벽인 광대바위다. 오른쪽으로는 국사봉과 밥봉(933m), 왼쪽에는 둥지리봉(690m), 오산이 바로 눈앞이다. 구례 계족산(703m)은 호남정맥이 순천을 지나면서 봉강면, 월출재, 형제봉, 도솔봉, 또아리봉을거쳐 광양 백운산으로 이어진다. 구례계족산은 구례 오산과 간전면 삼산리에서 보면 상당한 암릉이지만 농공단지에서 오르면 완만한 오르막으로 계족산 정상까지 쉽게 오를수 있다. 특히 구례 계족산은 병풍바위, 광대바위 , 망바위 등 암릉의 조망이 뛰어나며 계족산 정상에서 매재능선 삼거리 방면으로의 가을 단풍또한 볼만하다. 호남정맥상의 광양 백운산 월출재 아래 3개 시군 경계지점에서 지능선이 북으로 갈미봉 매재를 지나서 다시 두 갈래로 나뉘는데 하나는 둥주리봉을 거쳐 오산으로 향하고 다른 하나가 계족산으로 향해 섬진강변에서 다하게 된다. 계족산 정상에는 무인 산불감시탑이 있고 조망이 좋다. 그리 높지 않은 산이지만, 아기자기한 암릉과 멋들어진 전망바위들, 그리고 걷기 편한 길과 흔히 볼수 있는 쭉쭉 뻗은 낙엽송과 적송이 뱉어내는 숲의 향기가 매혹적이다.
계족산이란 이름을 가진 산은 전국적으로 많습니다. 대전광역시 대덕구에 계족산(423m)이 있고, 계족산 하면 높이나 규모면에서 대표적인 것이 강원도 영월의 계족산(890m)입니다. 그런데 전라남도에도 계족산이 두군데 있습니다. 순천 서면 청소리 정혜사 뒷산인 여수지맥상의 광양 계족산(729m)과 구례 문척면과 간전면의 경계를 이루고있는 구례 계족산(703m)이 그것입니다.
구례 계족산은 지리산과 광양 백운산 사이에 아담하게 자리 잡은 섬진강 변 그리 높지않은 산이지만, 아기자기한 암릉과 멋들어진 전망바위들, 그리고 걷기 편한 길과 흔히 볼 수 있는 쭉쭉 뻗은 낙엽송과 적송이 뱉어내는 숲의 향기가 매혹적입니다. 게다가 큰 산들과 강이 주변에 두루 펼쳐져 있고 광대바위의 신비함과 아기자기한 암릉 내림길의 긴장감은 산행하는 것만으로도 대자연의 웅대한 힘을 크게 느낄 수 있습니다.
다른 계족산은 기 답사한 산인데 구례 계족산은 이런저런 사유로(여수지맥 광양 계족산때도 거리상, 사성암 오산.둥주리봉때도 시간과 거리상) 미답의 산으로 남아있어 2022.5.19(목). 안내산악회 강송 산악회(지리산 자락 간미봉 지초봉까치 절산 코스에 편승)를 따라와 개인적으로 그동안 미답인 구례 계족산을 답사 합니다.
여느때처럼 가양역(06;23) 9호선 급행으로 석촌역에서 안내산악회 강송산악회 리무진 버스에 탑승하고 중간 탄천휴게소에서 약10분(09;06~09;16) 휴게시간 갖고 10;45 경 구례 화엄사 IC빠져 나와 천은사로 들어가는 길목 광용교 다리건너 3거리(작은 슈퍼와 고려택배 구례지사)에서 내려 택시콜(010-4252-7866 조창규)하여 (11;02) 간전농공단지 옆 산행들머리에 도착한다. 약 8분간(11;02~11;10) 산행준비후, (11;10) 산행시작합니다.
0km 0분[간전농공단지 등산로입구](11;10)
간전농공단지 입구에 등산안내판과 '계족산 등산로' 표지목겸 이정표(계족산3.3km/삼산리7.7km)서있다. 완만한 오르막인 콘크리트 포장 임도를 따라 진입한다. 가야할 382m봉이 급경사가 높아 보이고 뒤돌아보니 섬진강 줄기와 지리산 줄기가 동시에 눈에 들어온다. 임도따르니 (11;15) 임도 갈림길 이정표(계족산2.9km/계족산 등산로입구0.4km)를 만나고, 이정표가 없다면 알바하기 딱좋은 곳에 서잇는 이정표 덕분에 이정표(계족산 2.9㎞') 방향으로 계속 임도 오름길 오른다.
(11;23)임도가 끝나고 이정표(계족산2.5km/계족산 등산로입구0.8km)에서 우향 숲길로 들어서면서 본격적인 산행이 시작된다.등로는 비교적 뚜렷하다. 급경사길을 지그재그 오른다. (11;38) 병풍바위 삼거리 이정표(계족산2.1km/중평마을2.4km/간전농공단지1.2km)를 만나고 이후 완만한 능선길이 편안하게 이어진다. (11;41)화정갈림길 3거리 이정표(계족산1.9km/화정마을/간전농공단지1.4km)를 만난다. 능선을 타고 가다가 왼쪽에 등로에 벗어난 봉을 오른다. (11;50) 제1바위봉(382m)봉이다.
1.6km 40분 [제1바위봉](382m)봉(11;50~11;52[2분]
스텐레스이정표판 (삼거리0.3km/제1바위봉/제2바위봉0.1km)서있고 나무에 비날코팅 간문봉 표지판이 부착된 봉이다. 간문봉이란 근거없는 인위적인 작명인듯 싶다. 제1바위봉에서 다시 등로로 복귀하여 오르면 벼랑바위 제2바위 바위봉을 지나고 (12;04) 전주이씨 묘지를 지나 능선길을 더 따르면 중상봉이다.[0.6km][16분]
2.2km 58분[중상봉](12;08)
중상봉 정상표지목겸 이정표(계족산1.1km/중평마을1.5km/간전농공단지2.2km)서있다. 인증사진 남기고 직진한다. 계족산 정상까지 1.1㎞ 남았다. (12;11)광산 김씨 묘를 지나 살짝 내려서면 (12;14)안부 갈림길 화정재 이정표(계족산0.8km/화정마을4.0km/간전농공단지2.5km) 서있다. 오른쪽은 화정마을로 내려서는 길이고 정상은 직진길이다. (12;19) 바위가 나타나는 작은 언덕을 하나 넘고 (12;37) 광양 백운산을 조망 한후 묵은 헬기장을 지나오르면 산불감시 철탑이 서있고 작은 무덤이 있는 (12;40) 계족산 정상이다.[1.1km][32분]
3.3km 90분[계족산](12;40)
산불 감시용 무인 카메라 설치 철탑이 녹색울타리 안에 있고 작은 무덤이있다. 게족산 정상 표지목겸 이정표(삼산리4.4km/간전농공단지3.3km) 서있다. 산불감시탑 울타리에 표지기 걸고 정상표지목 배경으로 셀카 인증사진 남긴후 이정표 (삼산리 4.4㎞)표시 방향으로 묘지를지나 내려선다. 내림길이 거칠고 급하다. 내림길 내려서면 (12;48) 총탄 맞은 흔적이 있는 고목이 서있는 안부를 지나고 다시 오르막길을 오른다. (12;52) 광양 백운산 쪽이 조망되는 작은 봉우리를 지나 서서히 시작되는 암릉길을 따라 한 굽이 더 오르면 등로에서 조금 벗어난 730.m봉이다.[0.7km][25분]
4.0km 115분 [730m봉](13;05~13;06)[1분]
삼각점(하동809/1985재설)이 설치돼 있다. 조망이 탁 트인 전망봉이다. 계족산 정상보다 무려 25m나 높아 당연히 계족산 정상의 지위를 차지해야 옳겠다는 생각인데 무명봉으로 남은 연유는 알지못한다. 100m쯤 더 가면 이정표는 없지만, 능선이 좌우로 갈라지는 갈림길. 주의가 필요한 지점이다. 오른쪽은 지능선은 505봉을 거쳐 오봉산으로 연결되는 등로다. 표지기들이 여러 개 달린 왼쪽 길을 따라 내려선다. (13;14) 눈앞에 날카롭게 솟은 거대한 바위가 나타난다. 일명 광대바위다. 왼쪽은 천 길 낭떠러지. 오른쪽으로 살짝 우회해서 로프 구간으로 다시 올라서면 (13;15)광대바위 이정표다.[0.3km][9분]
4.3km 125분[광대바위 이정표] (13;15~13;16)[1분]
광대바위 표지목겸 이정표(삼산마을3.4km/계족산1.0km/간전농공단지4.3km)서있는 곳에서 좌측 바위로 오르면 계족산 최고의 풍광이 조망된다. 남동쪽으로 갈미봉과 월출봉 도솔봉 백운산 정상까지 이어지는 산줄기와 주변의 크고 작은 봉우리들이 마치 파도가 일렁이는 듯한 모습으로 펼쳐지고 지나온 광대바위를 바라보면 직각으로 깎아지른 절벽의 위용을 맘껏 바라볼 수 있다. 진행 방향 다음 봉우리인 광대바위 전망대도 드러난다.
조망 즐기고 (13;16)오른쪽으로 살짝 틀었다가 다시 왼쪽으로 꺾으며 나아가는 암릉 로프 구간을 주의해 내려선 후 다시 조금 오르면 (13;24)광대바위 전망대표지목겸 이정표(삼산리마을3.2km/계족산1.2km/광대바위0.2km)다. [0.2km][9분]
4.5km 135분 [광대바위전망대](13;25~12;26)[1분]
광대바위 전망대 표지목겸 이정표(삼산리마을3.2km/계족산1.2km/광대바위0.2km)서있다. 광대바위 전망에서 지나온 광대바위를 바라보면 직각으로 깎아지른 절벽의 위용을 맘껏 바라볼 수 있다.
조망즐기고 이어지는 암릉길을 진행하면 작지만 도드라진 (13;30)바위 전망대다. 천황봉과 둥주리봉이 가깝게 보인다. 조망즐기고 내려서면 직진능선길은 진행하지 말라는 금줄이 걸려있고 길은 왼쪽으로 90도 꺾이면서 픽스로프 깔린 급경사 내리막으로 이어진다. 픽스로프가 오래되어 불안하여 당겨확인 하면서 조심스럽게 내려서는 등로다. 등로는 경사도가 높다 보니 지그재그 형태로 이뤄져 있다. 계족산 이름값을 하는 힘든 하산 구간이다.
(13;45) 편안한 등로로 바뀌고 부드러운 능선길 이어가면 (13;49)삼산마을 갈림 이정표 (매재마을 입구5.1km/삼산리마을2.8km/간전농공단지4.9km/계족산1.6km)서있는 '삼산리마을 갈림길. 일명 삼신재'다. 좌측 삼산리방향 탈출로를 버리고 직진하여 이정표(매재마을5.1km) 오름길 올라선다. 바위사이에 통나무 자연계단을 밟아 오르니 국시봉 정상이다.[1.0km][29분]
5.5km 165분 [국시봉](13;55)
바위봉 정상은 국시봉 정상 표지목겸 이정표(매재마을4.6km/계족산2.1km)서있다. 국시봉부터는 오산, 사성암 때문인지 새로운 등산로가 잘 정비된 길이다. 잘 정비된 등로 따라 내려서니 (14;07) 터골재 임도다.[0.5km][12분]
6.0km 182분 [터골재](14;07)
산악회 허용시간 (15;30)에 맞추려니 천황봉은 또 다음으로 미뤄야 겠다. 임도를 사이에 두고 이정표(매재마을 4.2km/계족산 정상2.5km)와 또다른 이정표(매재마을 4.2km/간전농공단지5.8km)가 서있는 고개마루다.
우향 임도길 따라 내려선다. (14;27) 임도 안내문도 지나고 (14;28) 건너편 천왕봉을 조망하면서 (14;34) 산치교를 건너 (14;35) 산치버스정류장에서 산행종료한다.[2.5km][28분]
8.5km 310분 [산치버스정류장](14;35)
산행종료합니다. 주민한테 물어보니 하루 버스가 2시,6시 2번 들어와 나가는 오지마을 정류장입니다. 버스정류장 옆에 인락정이라는 정자가있고 마침 수도 시설이 갖추어져 있습니다. 아침에 타고 온 택시콜하니 다른기사를 보내줍니다. 약15분 내지 20분정도 여유가 있어 인락정 수도물로 머리감고 대충 몸씻고 새옷 갈아입고 그늘에 앉아 메고만 다니던 과일 먹으면서 택시 기다립니다. (14;50) 택시도착 되어 산악회 예약 식당인 (15;15) 구례읍 구시장 백련산방 식당에 도착 합니다.
식당이 정갈하고 주인도 상호처럼 친절합니다. 커피 한잔을 내주기에 마신후, 막걸리 1병을 시켜 김치 안주에 홀짝이면서 임대장님께 도착 전화 보고드리고, 대원들 15;40 경 산행종료 되고 (15;50) 식당에 도착입니다.
강송산악회 허총무님이 예약한대로 생선구이 정식에 미역국 만찬을 즐깁니다. 막걸리 4병 더 사서 테이블 메이트들과 건배 이어갑니다. 식사 끝난 16;40 백련산방 주차장을 출발 중간 정안휴게소에서 휴게시간 약13분(18;25~18;38) 갖고 (19;40) 죽전 휴게소에 도착 동천역에서 수지구청역으로 이동 약 2시간(20;00~22;00) 길동석원장님과 횟집에서 오랜만에 막걸리3병 으로 주거니 받거니 정담 나누는 시간 갖고 (22;10) 수지역 출발 (23;20) 가양역 도착 (23;30)귀가 합니다.
(11;10)간전농공단지옆 계족산 등산로입구 표지목겸 이정표(계족산3.3km/삼산리7.7km)입니다
(11;10)간전농공단지 옆 게족산 등산로입구 계족산 등산로 안내판입니다.
11;10 지리산 방향 조망입니다.
11;10 임도 길을 따릅니다
11;11 올라야 할 382바위봉이 높아만 보입니다.
(11;15) 임도 갈림길 이정표(계족산2.9km/계족산 등산로입구0.4km)입니다.
11;15 왕시루봉 조망입니다.
(11;23)임도가 끝나고 이정표(계족산2.5km/계족산 등산로입구0.8km)에서 우향 숲길로 들어서면서 본격적인 산행이 시작됩니다.
(11;38) 병풍바위 삼거리 이정표(계족산2.1km/중평마을2.4km/간전농공단지1.2km)입니다.
11;38 등로 모습입니다.
(11;41)화정갈림길 3거리 이정표(계족산1.9km/화정마을/간전농공단지1.4km)입니다.
(11;50~11;52[2분]제1바위봉](382m)봉 스텐레스 이정표판 (삼거리0.3km/제1바위봉/제2바위봉0.1km)입니다.
(11;50~11;52[2분]제1바위봉](382m)봉에 간문봉 비닐코팅 표지판이 걸려있습니다.
(11;50~11;52[2분]제1바위봉](382m)봉[ 간문봉] 모습니다.
(12;04) 전주이씨 묘지 입니다.
(12;08)중상봉(495m) 정상표지목겸 이정표(계족산1.1km/중평마을1.5km/간전농공단지2.2km)입니다.
(12;08)중상봉(495m) 정상 셀카 인증사진입니다.
(12;11)광산 김씨 묘지입니다.
(12;14)안부 갈림길 화정재 이정표(계족산0.8km/화정마을4.0km/간전농공단지2.5km)입니다.
12;19 바위가 나타납니다.
12;37 광양 백운산 조망입니다.
12;38 바위를 담아봅니다.
12;40 계족산 정상 무인 산불감시 철탑입니다.
12;40 계족산 정상 표지목겸 이정표(삼산리4.4km/간전농공단지3.3km) 입니다.
12;40 계족산 정상 셀카인증사진입니다.
12;40 계족산 정상 표지기들입니다.
(12;48) 총탄 맞은 흔적이 있는 고목이 서있는 안부입니다.
12;52 호남정맥 광양 백운산 능선입니다.
12;52 호남정맥 광양 백운산 능선2 조망입니다.
13;05 730봉 삼각점(하동809/1985재설)입니다.실질적 계족산 정상입니다.
13;05~13;06[1분] 730m봉 정상에서 조망1
13;05~13;06[1분] 730m봉 정상에서 조망2
13;05~13;06[1분] 730m 삼각점봉 표지기 입니다.
13;14 광대바위 우회합니다.
(13;15~13;16)[1분]광대바위 표지목겸이정표(삼산마을3.4km/계족산1.0km/간전농공단지4.3km)입니다.
(13;15~13;16)[1분]광대바위 표지목겸이정표 좌측바위에서 조망1
(13;15~13;16)[1분]광대바위 표지목겸이정표 좌측바위에서 조망2
(13;15~13;16)[1분]지나온 광대바위 모습입니다.
(13;15~13;16)[1분] 광대바위에서 조망3
13;26 조망
13;26 조망2
(13;25~12;26)[1분]광대바위 전망대 표지목겸 이정표(삼산리마을3.2km/계족산1.2km/광대바위0.2km)입니다
(13;30)[1분]광대바위 전망대 조망1
(13;30)광대바위 전망대에서 조망2
13;30 어려운 급경사 하산길을 지그재그 내려섭니다.
13;45 내려서면 만나는 편안한 능선길입니다.
(13;49)삼산마을 갈림 이정표 (매재마을 입구5.1km/삼산리마을2.8km/간전농공단지4.9km/계족산1.6km)서있는 '삼산리마을 갈림길. 일명 삼신재'입니다.
(13;55) 국시봉 정상 표지목겸 이정표(매재마을4.6km/계족산2.1km)입니다.
(13;55)국시봉 정상 셀카인증입니다.
(13;55)국시봉 정상 표지기 입니다.
13;58 국시봉 부터 등로는 새로 단장 되었습니다.
(14;07)터골재 임도 이정표(매재마을 4.2km/계족산 정상2.5km)입니다.
(14;07)터골재 임도 입니다.
(14;07)터골재 또다른 이정표(매재마을 4.2km/간전농공단지5.8km)입니다.
14;27 임도 안내문 표시판입니다.
14;48 천황봉을 조망합니다.
14;34 산치교 입니다.
14;34 산치1길 산치마을 입니다
14;35 산치버스정류장입니다. 산행종료합니다.
14;35 버스정류장 옆 인락정 정자에서 씻고 새옷 갈아입습니다.
오록스맵트랙지도
산행기록표
e-동아 트랙지도
산행기록표
트랙
|
첫댓글 수고하셨습니다 ♡
비슬님
감사합니다 ~^^
수고하셨습니다 ~
하산주님
감사합니다 ~^^
편집완료. 수고 많으셨습니다.
일화님
감사합니다 ~^^
수고하셨습니다.^^
매직님
감사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