꿀벌의 뒷다리에는 특이한 주머니가 달려 있다. 허벅지 바깥쪽에 붙은 이 황금색 주머니는 식물의 꽃가루를 모아서 운반하는 ‘꽃가루통’이다. 꿀벌 중에서도 가장 많은 수를 차지하는 일벌들은 죽을 때까지 꽃가루를 모아서 집으로 가져오는 일을 한다.
이들은 건축과 육아 등 살림도 맡는다. 여왕벌이 하루에 낳는 2000여개의 알을 다 먹여살린다. 수명은 길지 않다. 가을에 태어나면 이듬해 봄까지, 여름에 나면 50일밖에 못 산다. 이 짧은 일생 동안 하는 일은 엄청나다. 인류가 기르는 식용작물의 63%가 꽃가루를 묻혀줘야 열매를 맺는데 이 일을 대부분 꿀벌이 담당한다. 그것도 사회적 협업을 통해서 한다.
동물학자 카를 폰 프리슈는 꿀벌이 꽃이나 집을 찾는 과정에서 8자 모양의 ‘엉덩이 춤’을 주는 것을 밝혀내 노벨상을 받았다. 미국 생물학자 토머스 D 실러는 벌들의 집단지능 선택을 연구해 ‘꿀벌의 민주주의’라는 책을 썼다. 벌이 사회적 동물이라는 것을 증명한 것이다.
이들은 인류에게도 큰 선물을 제공한다. 유엔식량농업기구에 따르면 전 세계 식량의 90%를 차지하는 100대 주요작물 중 71가지가 벌의 꽃가루받이 덕분에 열매나 씨를 생산한다. 우리나라에서 과수와 채소작물 분야에 꿀벌이 기여하는 가치가 연 6조원에 이르고 세계적으로는 224조원(2030억달러)에 달한다는 보고서도 있다.
그런데 안타깝게도 벌들의 떼죽음이 잦아졌다. 2006~2007년 북미와 유럽에서 처음 집단 실종 사건이 터졌고 2009년 일본 나가노현에서도 230여만 마리가 사라졌다. 우리나라에서도 문경과 칠곡에서 집단 폐사한 적이 있다. 원인은 뭘까. 바이러스와 농약, 유전자 변형작물 때문이라는 설과 전자파 탓에 방향감각을 잃은 결과라는 설 등이 있지만 단정할 수는 없다. 유럽연합은 살충제를 범인으로 보는 모양이다. 그래서 살충제 네오니코티노이드를 2년간 사용 금지하기로 했다. 환경 문제와 연계시키는 나라도 있다. 어떻든 모두가 인간에 의한 생태파괴에 초점을 맞춘다.
그러나 어떤 과학자들은 인간이 키우는 꿀벌뿐만 아니라 자연 상태에서 강한 생존력을 갖춘 야생벌에 주목할 것을 권한다. 유명 학술지 ‘사이언스’에도 “야생벌의 역할이 양봉농가의 서양꿀벌과 토종꿀벌보다 두 배나 크기 때문에 이를 활용하는 방안을 찾는 게 중요하다”는 논문이 실렸다. 예를 들면 농경지 주변에 여러 종류의 꽃식물이 자랄 수 있도록 보존지를 만들자는 것이다. 그러면 양봉농가의 꿀벌뿐만 아니라 야생벌의 개체 수가 늘어날 수 있다니, 이참에 한번 진지하게 생각해 볼 일이다.
꿀벌의 실종…美 200억弗 규모 농작물 재배 '비상2013-05-08
美·유럽서 매년 30%씩 줄어
수분활동 멈추면 생태계 위협
2억년간 지구 생태계를 지켜온 꿀벌이 사라지고 있다. 지난겨울에만 미국 꿀벌의 31%가 죽었다. 2006년 이후 최대 감소폭이다. 꿀벌은 식물이 열매를 맺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 현재 세계 인구가 식량으로 먹는 작물 가운데 약 63%가 꿀벌의 수분(受粉) 작용에 의지한다. 월스트리트저널(WSJ) 등 주요 외신은 지난겨울 80만마리의 꿀벌이 사라지면서 농작물 대란이 현실화하고 있다고 7일(현지시간) 보도했다.
2007년 이후 미국과 유럽에서 꿀벌은 매년 30%씩 감소했고, 지난 25년간 절반 이상 줄었다. 꿀벌의 감소는 농업 전반에 연쇄적인 영향을 미친다. 식물의 수분 활동이 멈추면 가축의 사료도 줄어들어 결국 지구 생태계와 먹이사슬에 위기가 올 수 있기 때문이다. 아인슈타인은 “지구상에 벌이 사라진다면 식물이 수분 작용을 못 해 인류는 4년 내 멸망할 것”이라고 경고하기도 했다.
미국에서 꿀벌의 수분 활동에 의존하는 농업은 200억달러(약 21조8000억원) 규모. 세계적으로는 연 2030억달러(약 224조원)에 달한다. 이 중 꿀벌에 100% 의존하는 분야는 아몬드 재배다. WSJ는 연 40억달러를 생산하는 미국 아몬드 재배업자들이 가장 큰 타격을 입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미국 농무부는 꿀벌의 감소를 살충제, 대기 오염, 바이러스 감염 등 여러 가지 원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로 추정했다. 휴대폰의 전파가 꿀벌의 신경계를 마비시켜 죽음에 이르게 한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
꿀벌 개체 수 감소를 겪고 있는 유럽연합(EU)에도 비상이 걸렸다. 유럽 집행위원회(EC)는 최근 꿀벌의 감소 원인으로 지목된 네오니코티노이드계 살충제 3종을 2년간 사용하지 못하도록 조치를 내렸다.
꿀벌 사라지면 인류도 4년내 멸종” 2013-4-30 문화일보
전 세계적으로 벌의 감소세가 심화하고 있어 글로벌 생태계에 어떤 파장을 몰고 올지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30일 농림축산식품부에 따르면 우리나라에선 2009년에서 2010년 사이에 낭충봉아부패병과 미국 부저병 등으로 꿀벌과 유충이 집단 폐사함에 따라 2010년 말 기준 토종벌 가운데 76%가 죽었다. 해외에서도 마찬가지다. 미국 농무부 산하 농업조사연구기관인 ARS에 따르면 미국 내에서 사육되는 꿀벌 군집수는 2009년 겨울 전년에 비해 33.8% 줄어든 데 이어 2010년과 2011년 겨울엔 전년에 비해 각각 30.0%, 21.9% 감소했다.
벌이 떼로 폐사하는 현상을 군집붕괴현상(CCD)이라고 하는데 2006년 미국에서 처음 보고됐다. 꿀과 꽃가루를 채집하러 나간 일벌들이 벌집으로 돌아오지 않아서 벌집에 남은 여왕벌과 유충, 그리고 미성숙한 벌들까지 떼로 죽는 현상을 말한다. 꿀벌 기생충을 매개로 한 이스라엘 급성 마비 바이러스(IAPV), 노세마 곰팡이, 꿀벌 자체의 면역력 약화, 살충제 등이 CCD의 주요 원인으로 추정되고 있다.
꿀벌의 실종이 문제가 되는 것은 꿀벌이 생태계에서 없어서는 안 될 존재라는 점에 있다. 인류가 기르는 식용 작물의 75%는 외부의 힘이 작용해 수술의 꽃가루를 암술에 묻혀줘야만 열매를 맺는다. 꿀벌은 꽃의 수술에서 꽃가루를 묻혀 암술에 옮겨줘 열매를 맺도록 해준다. 사과, 딸기, 호박, 오이 등 인간이 먹는 대부분의 작물은 꿀벌 없이는 열매를 맺지 못한다. 또 가루받이 방식으로 자란 풀과 곡물을 소, 돼지, 닭 등 가축이 먹기 때문에 꿀벌이 사라지면 인류는 치명적인 식량난에 처하게 된다.
아인슈타인은 ‘지구에서 벌이 사라진다면 인류는 4년을 버틸 수 없을 것이다. 벌이 없다면 꽃가루받이도 없고 더 이상 인류도 없다’고 경고하기도 했다.
이승환(농생명공학) 서울대 교수는 “꿀벌이 사라질 만한 환경은 곧 다른 곤충도 생존하기 힘든 환경을 의미하기 때문에 꿀벌이 사라지는 현상의 심각성은 시사하는 바가 크다”고 말했다.
출처: https://ktsky.tistory.com/31 [cj헬로비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