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약품 (128940/initiate) FDA 이벤트와 파이프라인 가치 부각 기대
밸류에이션
목표주가 350,000원. 투자의견 매수. 커버리지 개시
• 영업 가치 2조 8,700억원 + 파이프라인 가치 1조 3,300억원. 목표주가 350,000원
• 22년 EBITDA 2,104억원에 EV/EBITDA 16.4배 적용(국내 상위 제약사 평균)
• 롤론티스: 4,230억원(23년 출시, Peak Sales 5.5억달러, 로열티 12%, 성공률 90%)포지오티닙: 1,300억원(23년 출시, Peak Sales 6.5억달러, 로열티 12%, 성공률 45%)Dual agonist: 3,690억원(26년 출시, Peak Sales 56억달러, 로열티 12%, 성공률15%)Triple agonist: 4,090억원(26년 출시, Peak Sales 66억달러, 로열티12%, 성공률15%)
3Q21 Review
연결기준, 매출 3,031 억원(+13.5% YoY), 영업이익 369억원(흑자전환) 기록
• 한미약품(별도) 매출 2,262억원(+0.3% YoY), 영업이익 184억원(흑자전환)북경한미 매출 754억원(+82.6% YoY), 영업이익 193억원(+19884% YoY)한미정밀화학 매출 +187억원(+2.2% YoY), 영업이익 -4억원(적자지속)
• 한미약품 수출 감소에도 불구 내수 시장 및 북경 한미의 성장으로 호실적 기록
• 3Q20 사노피 공동연구비 일시 인식 기저 효과로 R&D 비용 감소(-52.3% YoY)
향후 전망
22년 매출 +7% YoY, 영업이익 +21% YoY 예상
• 코로나 백신 접종/치료제 옵션 증가로 병원 방문 정상화, 한미약품/북경한미 실적 개선
• 앱토즈에 기술수출 업프론트 반영되면서 추가 실적 개선 가능
롤론티스, 포지오티닙의 FDA 관련 이슈와 NASH 신약들의 임상 개발 진전 기대
• 롤론티스 1H22 재실사 후 FDA 허가 신청, 포지오티닙 4Q21 조건부 허가 신청 기대
• GLP-1/GCG dual(파트너 Merck), GLP-1/GIP/GCG의 임상 개발 진전 및 추가 라이센싱/파트너링 계약으로 파이프라인 가치 부각 예상
미래에셋 김승민
*** 본 정보는 투자 참고용 자료로서 그 정확성이나 완전성을 보장할 수 없으며, 어떠한 경우에도 법적 책임소재에 대한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