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국지 [列國誌] 860
■ 3부 일통 천하 (183)
제13권 천하는 하나 되고
제 20장 호부(虎符)를 훔친 신릉군 (7)
신릉군(信陵君)이 조(趙)나라에 머물러 살면서의 뒷 이야기 셋.
신릉군(信陵君)은 조(趙)나라에서 10년간 머물며 위(魏)나라로 돌아가지 않았다.
그런데 진(秦)나라는 그 사이 신릉군이 없는 위나라를 조나라 대신 매년 공격했다.
시달림에 견디지 못한 위안리왕(魏安釐王)은 자신을 속인 신릉군을 용서하고 사신을 보내
그에게 돌아올 것을 요청했다.그러나 신릉군(信陵君)은 어떤 보복을 당할지 몰랐기 때문에
위안리왕의 요청을 매번 거절했다.뿐만 아니라 자기 문객들에게 엄한 영을 내렸다.
- 위(魏)나라 사신을 내게 안내하는 자는 가차없이 목을 베리라!
이 때문에 위나라의 위기를 알면서도 감히 돌아가자고 권하는 사람이 없었다.
이것을 본 도박꾼 모공(毛公)과 술꾼 설공(薛公)이 신릉군에게 간했다.
"조(趙)나라가 공자를 중히 여기고, 세상 사람들이 공자를 높이 평가하는 이유는 다름이 아닙니다.
오직 위(魏)나라가 있기 때문입니다.""지금 진(秦)나라가 연일 위나라를 공격하는데,
만일 대량성(大梁城)이 함락되고 선왕의 종묘가 부서진다면 공자께서는 장차 무슨 면목으로
천하 사람을 대하려 하십니까? 그때도 천하인들이 공자를 높이 대접할 것으로 여기십니까?"
이 말이 채 끝나기도 전에 신릉군(信陵君)은 수레를 준비하여 위나라로 돌아갔다.
이에 위안리왕(魏安釐王)은 신릉군에게 상장군의 인수를 내리고 진군의 공격을 막게 했다.
과연 신릉군(信陵君)은 기대를 저버리지 않고 승승장구하여 진나라 군대를 함곡관 안으로 쫓아보냈다.
이 일로 인해 신릉군의 위세는 더욱 천하를 진동시켰다.신릉군의 문객들 중에 병법을
좋아하는 사람이 있어 신릉군(信陵君)이 싸울 때마다 그 전법을 일일이 기록했는데,
후일 세상에서는 이 책을 일러 <위공자병법(魏公子兵法)> 이라 이름붙였다.
뒷 이야기 넷.
신릉군(信陵君)의 눈부신 활약으로 인해 함곡관 안에 갇히게 되다시피 한 진(秦)나라는 신릉군을
제거하기 위해 별의별 수단을 다 썼다.이리하여 감행한 것이 반간지계(反間之計).
진(秦)나라는 황금 1만 근을 풀어 신릉군에게 살해당한 바 있는 위나라 장수 진비(晉鄙)의
가족과 문객들을 대거 포섭했다.이때부터 대량성(大梁城) 안에는 다음과 같은 소문이 널리 퍼져 나갔다.
- 신릉군(信陵君)이 왕의 자리를 노리고 있으며, 다른 나라 왕들도 신릉군의 그러한 계획을 지지하고 있다.
진(秦)나라의 모략은 집요하고 치밀하여 때로는 거창한 행렬의 사절단을 신릉군에게 보내기도 했다.
- 위(魏)나라 왕이 되신 것을 축하합니다.
이런 일이 반복되자 위안리왕(魏安釐王)은 마음이 불안하지 않을 수 없었다.
끝내 그는 신릉군의 상장군 인수를 거두어들이고 그의 실권을 모두 박탈했다.
신릉군(信陵君)으로서는 가슴이 터질 일이 아닐 수 없었다.분노가 치솟기도 했고 회한이 일기도 했다.
이때부터 그는 조정에 발길을 끊은 채 방탕한 생활로 빠져들었다.
이때의 신릉군의 행동을 <사기(史記)>는 다음과 같이 기술하고 있다.
빈객들도 밤새도록 술자리를 벌여 독한 술을 마시며 많은 여자를 가까이 하였다.
밤낮으로 마시고 즐기기를 4년, 마침내 그는 술병이 들어 죽었다.
당대를 풍미한 호걸(豪傑)의 죽음치고는 쓸쓸하고 허망하기 짝이 없는 죽음이다.
이어 <사기(史記)>는 계속해서 적고 있다.
한고조(漢高祖)는 미천하고 나이 어렸을 때 여러 차례 신릉군(信陵君)이 어질다는 소리를 들었다.
그래서 황제에 즉위한 후 대량(大梁)을 지날 때마다 항상 신릉군의 묘에 들러 제사를 지냈다.
한고조는 훗날 천하통일된 진(秦)나라를 멸하고 항우(項羽)와 쟁패하여 승리를 거둔 사람이다.
속명은 유방(劉邦).사마천(司馬遷)은 한고조 유방이 신릉군을 흠모했다는 사실을 빌려
신릉군에 대한 자신의 마음을 밝히고 있음이다.
진소양왕(秦昭襄王)의 한단 공략은 끝내 실패로 돌아가고 말았다.
애초 이 계획을 입안한 것은 진나라 승상 범수였다.
- 최초의 실패.
범수(范睢)는 책임을 통감했다.그는 왕궁 앞으로 나가 석고대죄(席藁待罪)했다.
"벌을 내려 주십시오."하지만 범수에 대한 진소양왕(秦昭襄王)의 신임은 변함이 없었다.
아무런 벌을 내리지 않았다.오히려 그를 비호했다."애초 한단성(邯鄲城)을 공격하자고 한 것은
과인이다. 그대에게는 아무 죄가 없다. 앞으로 이 일에 대해서 다시 말하는 자가 있으면 참수하리라!"
비록 한단성 공략에는 실패했지만 진소양왕(秦昭襄王)의 천하 통일에 대한 꿈은 사그라들지 않았다.
범수(范睢) 또한 자신의 죄를 만회하겠다는 듯 새로운 정책을 입안하여 진소양왕에게 아뢰었다.
"기회란 기다리는 것이 아니라 만드는 것입니다. 주(周)나라 왕실을 쳐 낙양을
대왕의 영토로 삼으십시오."이름뿐인 주왕실이었으나 그래도 천자국에 대한 예우차원에서
어느 나라고 낙양만큼은 공격하지 않았다.
그런데 범수(范睢)는 주왕실을 치라고 과감히 말하고 있는 것이었다.
- 기회란 기다리는 것이 아니라 만드는 것이다!이러한 범수의 간언에 진소양왕은 감명을 받았다.
"좋은 말씀이오."이듬해, 진소양왕(秦昭襄王)은 군대를 출격시켰다.
낙양으로 가는 길목에 한나라의 양성(陽城)이 있었다.
진군(秦軍)은 거침없이 몰아붙여 양성을 점령하고 한나라 군사 4만 명을 목베었다.
이무렵, 주나라의 왕은 주난왕(周赧王)이었다.그는 진나라 군대가 낙양을 목표로 출병했다는
소문을 듣고 기겁했다.비밀리에 초ㆍ조ㆍ위ㆍ한ㆍ연ㆍ제나라에 밀사를 파견하여 진군을
무찔러달라고 요청했다.그러나 어느 한나라도 군대를 보내오지 않았다."아아!"
절망한 주난왕(周赧王)은 낙양 일대의 지도를 가지고 함양으로 가서 진소양왕에게 바쳤다.
그런데 앞서도 얘기했듯이 그 당시 주(周)나라는 이미 두 개로 갈라져 있었다.
낙양 서쪽의 서주(西周)와 동쪽의 동주(東周)가 바로 그것이었다.
이때 서주를 다스리는 제후는 서주무공(西周武公)이었고, 동주를 다스리는 제후는
동주혜공(東周惠公)이었다.주난왕(周赧王)은 서주에 머물러 있었다.
그러므로 이때 주난왕이 바친 낙양 지도는 서주무공이 다스리는 지역뿐이었다.
성 36개, 총인구 3만 호.진소양왕(秦昭襄王)은 낙양의 지도를 보자 흐뭇한 마음을 감추지 못했다.
문무백관이 나열한 가운데 주난왕에 대한 조치를 내렸다.- 왕호를 삭탈하고 주공(周公)에 임명하노라.
이로써 주난왕(周赧王)은 천자의 신분에서 남을 섬기는 신하의 신분이 되었다.
BC 256년(진소양왕 51년)의 일이었다.
실제로 주왕실은 이 해에 멸망한 것이나 마찬가지다.그러나 역사는 그렇게 기록하고 있지 않다.
아직 낙양 동쪽의 동주(東周)가 남아 있었기 때문이다.
861편에 계속
열국지 [列國誌] 861
■ 3부 일통 천하 (184)
제13권 천하는 하나 되고
제 20장 호부(虎符)를 훔친 신릉군 (8)
진소양왕(秦昭襄王)에게 항복한 주난왕(周赧王)은 그 이듬해 함양에서 죽었다.
이에 서주에 있던 주나라 백성들은 공성(鞏城)을 주읍으로 하고 있는 동쪽의 주혜공(周惠公)의 땅으로
도망갔다.진소양왕(秦昭襄王)은 텅 비다시피 한 낙양으로 들어가 주나라 종묘와 사직단을 허물고
그간 천자의 상징으로 여겨온 구정(九鼎)을 함양성으로 옮겨갔다.이어 천하 열국에 사신을 보내 포고했다.
- 구정(九鼎)이 함양에 들었도다.모든 나라의 군주는 입조(入朝)하여 조공을 바치고 축하하라.
이 선포에 대해 각 나라 왕들은 어떤 반응을 보였을까?
지난날 같았으면 분노와 조롱을 머금으며 군사를 일으켜 진(秦)나라로 쳐들어갔으리라.
그런데 이때는 상황이 달랐다.천하 제일의 군사력을 자랑하고 있는 진(秦)나라가 아닌가.
- 천하 열국이 모두 진나라에 귀복(歸復)하였다.<사기(史記)>의 기록이다. 그랬다.
천자라고 공식적으로 선포하지만 않았을 뿐 이때 이미 진소양왕(秦昭襄王)은 천자 노릇을 하기 시작했다.
각 나라로부터 인질을 받아낸 것도 이 해의 일이다.이것을 보면 34년 후 천하를 통일하는 진시황 이전에
이미 진(秦)나라는 완벽하게 그 기틀을 마련해 놓았다고 할 수 있다.
천하 열국의 사신들이 분주하게 함양성을 들락거리는 광경을 본 범수(范睢)는 뿌듯하기 그지없었다.
'이야말로 장부(丈夫)로 태어난 보람이 아니겠는가.'그런 그에게도 이따금씩 미간에 어두운 빛이
서린 때가 있었다.자신의 의제였던 정안평(鄭安平)이 위나라에 투항을 했고,
이어 자신이 천거한 바 있는 왕계(王稽)가 그 동안 위나라와 내통해온 사실이 밝혀졌기 때문이었다.
진소양왕(秦昭襄王)은 그 일로 범수를 직접적으로 탓하지는 않았지만 은근히 말을 흘렸다.
"나라 안이 이렇듯 불안하고서야 어찌 천하를 다스릴 수 있겠소?"
범수(范睢)는 등에 식은 땀이 흐르는 것을 어쩌지 못했다.고개를 숙인 채 말없이 궁을 나왔다.
이때 채택이라는 사람이 함양성에 머물며 출세할 기회를 노리고 있었다.
채택(蔡澤)은 본시 연나라 사람으로 여러 나라를 돌아다니며 벼슬을 구하는 유세가였다.
하지만 어느 나라 왕도 그의 재능을 인정해주지 않았다.그렇게 흘러흘러 그는 함양성(咸陽城)까지
오게 되었다.그가 열국을 돌아다니던 때의 일화가 하나 전해온다.
채택(蔡澤)은 출세에 대한 욕심이 남달리 강했던 모양이다.
위나라 대량(大梁)에 들렀을 때 당시 최고의 인물감별가인 당거(唐擧)라는 사람을 찾아가 물었다.
- 선생께서 일찍이 조나라 이태(李兌)의 관상을 보고 1백 일 안에 재상이 된다고 예언한 바 있다던데,
그것이 사실입니까?이태는 조무령왕의 신하이자 조혜문왕 때의 재상이다.
조무령왕(趙武靈王)은 사구로 놀러 나갔다가 폐세자 안양군(安陽君)이 반란을 일으키는 바람에
이궁에 갇혀 굶어 죽었는데, 그때 그를 굶어죽게 한 장본인이 바로 이태였던 것이다.
그 후 그는 공자 성(成)과 더불어 조나라의 국정을 장악했다.- 그렇소.
- 그렇다면 선생께서는 제 관상도 한 번 봐주십시오.저는 어떻게 될 것 같습니까?
당거(唐擧)는 채택의 당돌한 행동에 기가 막혔는지 한참을 쳐다보다가 웃으며 대답했다.
- 그대의 코는 매부리코요, 어깨는 목보다 높이 솟아오르고, 툭 불거진 이마에 얼굴은 상투같이 생겼소.
- 뿐만 아니라 쭈그러진 콧대에 다리마저 안쪽으로 활처럼 휘었소.이는 무상(無相)이오.
내가 알기로 옛날 성인들이 관상을 보아도 알 수 없는 상이 무상이라던데, 아마도 그대가 바로
그러한 사람인 것 같소. 하하하........!채택(蔡澤)은 당거가 자신을 조롱하고 있음을 알고 마주 받아쳤다.
- 나도 내가 그런 상인 것은 잘 알고 있습니다.다만 내가 궁금한 것은 수명입니다.
그것만이라도 알려주시지요.- 그대는 앞으로 43년은 더 살 수 있소.
이에 채택(蔡澤)이 돌아서서 자신의 수레를 모는 마부에게 말했다.- 43년이면 충분하다.
내 어찌 그 안에 황금으로 만든 인수를 차지하지 못할 것인가.
황금으로 만든 인수란 재상을 뜻함이다.그 뒤 채택(蔡澤)은 조나라를 비롯해 여러 나라를 돌아다녔으나
끝내 벼슬을 얻지 못했다.길을 가던 중 오히려 강도를 만나 가지고 있던 돈마저 다 빼앗겼다.
주린 배를 움켜쥐며 어디로 갈까 고심하는 중에 범수(范睢)가 정안평, 왕계의 일로 죄스러워하고 있다는
소문을 들었다.그는 무릎을 치며 중얼거렸다.- 내가 이제야 황금의 인수를 찰 수 있겠구나.
그러고는 구걸해가며 겨우 함양성에 당도한 것이다.
862편에 계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