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출처 : 여성시대 뿜빰뿜빰빰
최근에 급하게 한자 자격증을 따야 할 일이 있어서,
파워 벼락치기로 이틀 공부해서 상공회의소 3급을 땄어.
상공회의소 한자 3급에 대한 간단한 설명과 내 공부법을 얘기할게!
우선 인증.
A. 상공회의소 한자 3급 설명
상공회의소는 올 객관식이라 한자 자격증 중에 제일 따기 쉬운 축에 든다고 알려져있어.
총 120문제고 60분 안에 풀어야해.
한자 3급의 경우, 3과목(한자, 어휘, 독해)로 이루어져있고 과목 당 40 문제씩이야.
과목별 과락이 있고(과목 총점의 60%), 3과목 다 과락 넘겨도 총점 576점을 넘겨야 합격이야.
간단히 말하면, 과목 당 16문제 이상 틀리면 무조건 탈락이고
합격 커트라인 넘기려면 과목 당 평균 8문제 정도 틀린다고 생각하면 돼.
(과목별 배점 달라서, 딱 맞아 떨어지진 않음!)
3급 배정한자는 1800자이지만, 이걸 다 외울 필요는 없음!
4~9급까지의 900자만 달달 외우면 합격할 수 있어. 개꿀.
B. 공부법 + 추천 책/자료
1. <한자 암기 박사> 책 공부하기
나같은 경우에는 한자를 어릴때부터 지긋지긋하게 싫어하기도 했고,
쓸 수 있는 한자도 내 이름 세 글자와 숫자 1~4까지뿐이였어ㅋㅋㅋㅋ 한자로 숫자 5부터는 헷갈려서 못 씀ㅋㅋㅋㅋ
이렇다보니 한자가 글자로 보이는게 아니라, 그냥 그림 덩어리로 보이는데
이걸 쌩으로 그냥 외우는건 도저히 못하겠더라고.
그걸 보고 친구가 선물해준 책이야ㅋㅋㅋㅋ
한자 1800자가 담긴 책인데,
이런식으로 기억하기 쉽게 연상법으로 한글자씩 설명을 해놔서 처음에 외우기 시작할 때 도움 많이 됨!
(출처: 알라딘 미리읽기)
한자 단어를 이루는 퍼즐들을 부수라고 하는데,
이 책으로 공부하다보면 부수들의 뜻도 어느정도 파악 할 수 있게 돼서
뒤쪽에서 설명하듯 한자 쌩으로 외우기 시작할때도 도움 많이 돼.
이 책을 보는게 시간 낭비로 여겨질 수 있는데,
각 잡고 외우려고 하지 말고 그냥 술술 읽듯이 보면 금방 봐.
얘는 기억하는걸 도와주고, 한자 외우는 법을 배울 수 있는 책이라서
건너뛰고 오히려 그냥 쌩으로 외우는게 결과적으로 시간 더 걸릴수도 있어.
그리고 끝까지 볼 필요 없음!
이게 총 400 챕터인데, 나는 150번까지만 읽고 그 뒤로는 한자 쌩으로 외웠어!
그리고 150번까지 읽을 때에도, 4~9급 한자만 외움ㅋㅋㅋ 3급 이상으로 표시된건 그냥 X표 치고 넘어갔어.
이런식으로 읽으니까 150번까지 보는데 4~5시간 정도 밖에 안 걸렸어.
한자 좀 아는 사람이면 이 책은 그냥 패스해도 될 것 같고,
나처럼 한자가 그림으로 보이는 사람이면 이 책으로 시작하는거 추천해!
2. 한자 쌩으로 외우기 (4~9급 배정 900자)
하지만 저 책으로 900자를 다 보려고 하는건 비효율적이야.
그래서 나는 150번까지만 읽고, 그 뒤로는 4~9급 배정한자 900자를 쌩으로 외우기 시작했어.
나는 이 블로그 도움을 많이 받았는데,
여기에 '4_9급 급수별 한자' 라는 파일 있거든? 그거 인쇄해서 공부함.
총 6장짜리 한글 문서인데, 쉬운 9급부터 시작해서 4급까지 정리돼 있어서 차근차근 외우기 좋더라.
나는 이런식으로 암기했는데, 암기 방법은 각자 맞는 방법으로 하면 될 것 같아.
1. 한번 쭉 보면서 아는 한자들은 형광펜으로 표시
2. 1줄씩, 3~4번 정도 읽으면서 암기하기
3. 4줄 외우면, 첫번째 줄로 돌아가서(자로 뜻과 음 가리면서) 외워진 한자들은 형광펜으로 표시하고, 안 외워진건 넘김
4. 한 장 끝나면, 자로 가리면서 안 외워진 한자들 확인하고, 유난히 안 외워지는 것들은 파란 펜으로 표시
5. 1~4 반복(6장)
6. 1장씩 복습하며, 여지껏 안 외워진 것들은 빨간 펜으로 표시
+ 처음에 외우려고 할때, 너~무 그림같이 느껴지는 한자들은 '한자암기박사' 책에서 찾아보고 참고했어!
평균적으로 10 글자 중 1~2글자는 한자암기박사 책에서 찾아본듯ㅋㅋㅋ
글자 딱 보면 바로 바로 음과 뜻이 나올 정도로 외워야 좋겠지만,,,
난 그 정도는 아니였고, 툭 치면 바로 아는 것이 70% 정도,
'어디보자... 이게 무슨 글자더라.. 호랑이에 입이 붙어있으니.. 이름 호..!' 싶은게 25%,
시험 볼때 모르겠는게 5% 였어.
난 시험볼때 운이 따랐던 편이라,
가급적 나보다는 더 빠짝 외우는걸 추천해!!
3. 한자 기출문제 + 유형별 문제 풀기
아까 위에서 3과목이 있다고 했잖아?
1과목 '한자'는 그냥 한자 외우면 바로 풀 수 있는 문제들이야.
이 글자의 음은? 이 한자와 뜻이 비슷한 다른 한자는 무엇? 이 정도 난이도ㅋㅋㅋ
(부수나 획수, 육서 문제도 있음! 육서는 가볍게 읽어봤고, 부수나 필순은 따로 공부하지 않음.
더 자세하게 알고 싶으면 위의 블로그 링크 참고)
2과목 '어휘' 가 제일 난관이였는데..
하.... 한자 단어 3개에 구멍 하나씩 뽕뽕뽕 뚫어넣고 구멍에 공통으로 들어갈 한자 찾기,
뜻이 반대되는 한자단어 찾기, 등등의 문제가 있어. 근데 진짜 어렵다...
같은 한자인데, 다르게 발음되는 단어 찾는 문제도 있는데 난 이건 그냥 포기하고 넘어감ㅋㅋㅋ 대표 음만 외우기도 바빴기에ㅋㅋㅋ
그리고 어휘에 고사성어 문제도 꽤 비중있게 포함돼있는데, 여기서 점수 얻어가는거 추천!
3과목 '독해'는 배점이 높아서, 여기서 많이 맞으면 개이득이야.
1과목은 그냥 한자 외운걸로 자신 있었는데,
2과목/3과목은 그것만으로는 불안불안하더라고.
그리고 위의 한자 900자를 다 외웠다고 생각해도, 막상 시험 보면 바로 생각 안나고 그런게 많더라.
그래서 문제 풀면서 다시 보면, 복습도 되고 자주 나오는 한자들 익혀져서 좋음!
그래서 난 13년도 기출문제 풀고, 유형별 문제풀이했어!
나 같은 경우에는 시간이 없어서, 최대한 효율적으로 공부하려고
기출문제 해설 있고, 유형별 문제가 따로 있는 시대고시에서 나온 '이지 한자' 책 사서 공부했어.
근데 인터넷에 13년도랑 2004~7년도 기출문제가 있거든.
책 따로 사기 싫으면 그냥 이거 뽑아서 풀어도 됨! 대신 해설이 없어서 모르는건 직접 찾아봐야해.
(구글에 쳐서 찾아봐도 되고, 위에 링크 건 블로그에도 기출 자료 있음)
13년도 기출문제는 쭉 풀고, 해설 읽으면서 틀린 문제들 확인했고
유형별 문제는 1과목은 건너뛰고, 2과목/3과목을 문제는 거의 안 풀고 해설만 보면서ㅋㅋㅋ 단어들 익혔어ㅋㅋㅋ
가급적 많은 한자 단어들을 봐야겠어서 이런 식으로 공부했어.
4. 고사성어 공부
'이지 한자' 책에는 고사성어도 정리돼 있었는데,
다 보지는 못했고 시험 직전에 별표 있는 것 위주로 한번 쭉 봤어!
고사성어 보면서 한자도 다시 체크하고, 고사성어의 뜻도 체크함.
C. 시험 보는 팁
1. 상시 시험 추천
상공회의소는 정기 시험 있고 상시 시험 있는데
상시시험은 거의 맨날 있고 결과가 바로 다음날 오전 10시에 나와서 난 상시 추천!
그리고 상시의 장점은 연달아서 시험 접수가 가능하다는 것!
예를 들어, 12월 10일에, 12월 17일, 18일, 19일 3일의 시험을 모두 접수할 수 있어!
대신 시험 4일 전까지만 환불되기 때문에, 전날꺼 붙었다고 다음날꺼를 환불 받지는 못해.
돈 날릴 각오하고 연달아서 시험 접수해야함ㅋㅋㅋㅋ
(전에는 한번 탈락하면 10일간 다시 못보는 규정 있었는데, 내가 전화해서 확인해 본 결과 그 규정 바뀜. 괜찮)
나는 실제로 3일 연달아서 금토일 접수해놨고,
금요일 시험은 탈락했고, 다음날 본 토요일 시험에서 합격했어ㅋㅋㅋ
대신 결과가 일요일에 나왔기 때문에 토요일에 밤새서 공부함..ㅎㅎ 쓸모없는 공부였지ㅎㅎ
급한 사람들은 연달아서 보는거 추천하는데,
상공회의소는 문제은행식이기 때문에 겹치는 문제가 꽤 나와서야!
나도 토요일날 시험 볼때, 전날이랑 똑같은 문제 많아서 '헉..!' 하면서 많이 얻어걸림ㅋㅋㅋ
그래서 운 좋게 붙을 수 있었던 것 같아ㅋㅋㅋ
2. '독해 -> 한자 -> 어휘' 순서로 풀기
금요일 시험의 패착 중에 하나는 앞에서부터 차례대로 푼거...
독해는 한자가 바로 기억 안나도, 문제 보다보면 한자단어의 음이나 뜻이 추측 가능한 문제들이 꽤 있어서
문제 풀다보면 '아! 이 뜻이였지!' 아, 이렇게 읽었지!' 할 때가 많은데,
1과목이랑 2과목 문제 대다수는 그냥 한자 모르면 못 풀고 모르는거임...
그래서 과목3부터 풀면서 기억 날랑말랑하거나 헷갈리는 것들 힌트 얻고,
과목1이랑 과목2로 넘어가는걸 추천해!
과목3 다음에 과목1로 넘어가는 이유는, 과목 1은 금방 풀 수 있어서ㅋㅋㅋ
난 과목2에서 시간이 오래 걸린 편이라 이걸 젤 뒤로 미뤄두고 품.
그래도 시간이 많이 모자란 시험은 아니라서, 꼼꼼히 풀어도 15분은 남더라.
D. 총 공부 시간 및 유의점
1. 총 공부 시간
1. <한자 암기 박사> 책 공부하기(150번까지, 4~9급 한자만) = 5시간
2. 한자 쌩으로 외우기 (4~9급 배정 900자) = 12시간
3. 13년도 기출문제 + 유형별 문제 풀기 = 4시간
4. 고사성어 공부 = 1시간
+ 이동시간에 배정한자 외우기 = 3시간
= 총 25시간
이렇게 총 25시간 정도 공부했음.
2. 유의점!!!!!
하지만 25시간 공부로 충분하다는 말 하려는거 절대 아님!!!
가. 난 시험운이 좋았어!!
전날 본거랑 겹치는 문제도 많았고, 유난히 내가 잘 외운 한자들이 많이 나왔고,
모르는 사자성어인데 적당히 때려맞춘게 맞기도 하는 등 운이 좋았어!
예를들어, 첫번째로 본 금요일 시험 때도 배정한자 900자 외우고 갔음에도
나. 난 집중력 좋은 편이야
난 집중력 좋아서 벼락치기 잘하는 편이야.
한번 공부하기 시작하면, 3~4시간은 다른 생각 안 들고 핸드폰이나 시계 한번 안 보고 쭉 공부하는 편이라,
이런식의 공부 방법이 잘 맞았을뿐이야.
그러니 2일 공부하면 충분히 3급 딸 수 있다는 말 절대 아님!!!
운도 따르고, 벼락치기도 잘 맞아야 겨우겨우 가능함.
E. 결론
한자 2일 공부해서 딸 수는 있다.
하지만 100% 가능하다는 말은 아니니 그러지 말자....
적어도 일주일은 시간 가지고 차근히 공부하자!
+
돈 한푼 안 들이고 공부 할 수 있다!
하지만 효율적으로 하려면, 책 한두권 사는게 편하다.
문제 시 고구마칩 사줘
유출 시 제일 좋아하는 음식에 알레르기 생김
6일전에 접수했는데 공부 안 하고 탱자하다가 2일 남았다 ㅠ 도전해봅니다........
연어왔는데 저책1,2권 있는데 1권만 봐도 충분할까..?
나도 연어왔는데 이거 궁금해ㅠㅠㅜㅜ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