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3월 29일 신문을 통해 알게 된 것들
1. 중국인의 한국 부동산 매수 2010년 대비 21.5배 폭증→ 2010년 472건에서
2023년 10만 2175건...2010년대 초반에는 제주가 많았으나 2010년대 후반 들어
인천 부평구 등 서울 서부권이 주 대상.(문화)
◇2010년부터 10만2175건 사들여
◇최근 인천·부천 등 수도권 싹쓸이
2. 농촌 아이들이 더 뚱뚱하다→ 차이도 더 벌어져.도시지역 학생 비만 비율 28.7%,
읍면지역은 34.4%...갈수록 차이도 더 커져.
도시 학생이 농촌 학생보다 비만이 적은 건 세계적으로 비슷한 추세.
소득 수준과 교육 수준이 높을수록 날씬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매경)
3. 4.10 총선 유권자 세대 분포→ 행정안전부 인구통계(지난해 12월 기준)에 따르면 이번 총선
유권자의 세대별 비중은▷2030은 28.8% ▷4050은 37.4% ▷60대 이상은 31.4%다.(문화)
4. 안전의 댓가? 안전속도 5030 시행 후 평균 속도는 10% 늦어져→ 서울의 경우 2020년 시속
24.1㎞였던 자동차 주행 속도, 정책 시행 이후 시속 22.8㎞로 떨어져.
시간, 장소 상황 고려 탄력적으로 속도 상향 요구 계속.(문화)
5. 백두산, 중국 이름 ‘창바이산’(장백산)으로 유네스코 등재→ 유네스코 집행이사회, 중국명
‘창바이(長白)산’으로 유네스코 세계지질공원에 지정.
백두산은 4분의 3이 중국, 4분의 1이 북한에 속해 있지만 천지만 놓고보면 54.5%가 북한 영토다.
북한도 지난 2019년 백두산의 세계지질공원 인증을 신청했지만 성사되지 않았다.(한국 외)
◇유네스코, 中 창바이산 세계지질공원 지정
◇중국, 백두산 4분의3 확보...4분1만 북한 영토
◇‘장백산 문화론’ 국제사회서 더 알려질 것
◇외교부 “관련 동향 예의주시”
6. 한-중 영주권자 투표권 논란 왜?→ 중국 거주 한국인은 투표권이 없는 반면, 국내 거주 중국인은
지방선거 투표권.투표권 상호주의 원칙에 안 맞아.2020년 문재인 정부 당시 국민청원 게시판
21만명의 동의를 얻어 중국인 투표권 박탈 요구 있었으나 정부의 거부로 무산.(아시아경제)▼
7. 가계부채는 0.5% 감소... 기업부채는 6.2% 늘어 사상 최대→ 기업 부채 2780조, 금리 인상이
본격화 된 2022년 1분기 이후 404조원이나 증가했다.2년 기준으로는 기업 빚 20% 늘어,
사실상 빚으로 경영활동을 이어나가는 기업이 증가했다는 뜻.(헤럴드경제)
■한국은행, 28일 ‘금융안정 상황(2024년 3월)’ 발표
◇기업 빚 2780조 사상 최대, 우리 경제 규모의 1.24배
◇작년 4분기 기업신용 명목GDP 대비 124.3%…0.2%p ↑
◇영업이익으로 이자도 못 내는 기업 비중 코로나 이후 최대
8. 아파트 건설비 폭등의 주범은 인건비?→ 아파트 건설 인건비, 3년만에 50% 뛰어.
매일경제신문, 대형 건설 업체 A사 주택견적팀에 의뢰·분석.주된 원인으로 최저임금 인상, 주52시간
노동 들어.(매경)
◇2월 주택 인허가 11.2% 줄었다…악성 미분양은 4.4% 증가
9. 간호법 되살아나나→ 국민의 힘, 대통령의 거부권 행사로 최종 폐기된 간호법안 일부 수정 재발의.
새 간호법은 진료지원(PA) 간호사 자격, 업무 범위 규정, 또 간호사에게 요양시설 설립 권한을 주는
내용도 있어 의사단체들의 반발 예상.(경향)
10. 정말 金값이네... 금 한 돈 40만원에 못 사→ 28일 한국금거래소의 금 한 돈(3.75g) 가격
역대 40만 4000원으로 역대 최고.각국 중앙은행들의 금 매입이 계속되고 특히 큰손인 중국은
자산 중 금 비중이 여전히 낮아 이후에도 금 매입을 이어 갈 것으로 보인다는 전망.(서울)
◇1g당 9만 5800원… 최고가 경신
◇美 금리인하 기대에 값 끌어올려
◇유럽 안보 불안 등 금 수요 커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