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5&oid=366&aid=0000219050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5&oid=015&aid=0003162101
간단하게 요지만 말씀드리면,
밀크뮤직 앱을 깔면
갤럭시 사용자들은 무료이면서 무제한 스트리밍이 가능합니다.
현재 대략 360만 곡 가량을 확보한 상태이며,
저작권료는 삼성에서 모두 부담하기 때문에 사용자들은 전면 무료로 사용가능하다고 합니다.
갤럭시를 사용하는 유저라면 (갤2이상으로 알고 있습니다) 로그인도 필요없고, 별도의 회원가입도 필요없이 앱만 다운하면 사용 가능한 듯 하구요.
물론 스트리밍이기 때문에 데이터는 소모됩니다만, 음원 자체를 무료로 제공한다는 사실이 매우 파격적이긴 하네요.
사용 방식이 조금 독특하긴 합니다.
원하는 곡만 검색해서 들을 순 없지만, 원하는 스테이션 내에서 (ex. 국내 Top 100, 인디음악, 팝 등등) 음악감상이 가능하고,
그 스테이션을 통째로 저장해서 듣는건 가능하구요.
현재 멜론처럼 자유롭게 듣는 스트리밍 방식과 음악라디오의 방식을 혼합한 것이라고 보면 될 듯 합니다.
첫댓글 이거 좋아요
멜론 유료결재해서 듣는데, 한번 깔아봐야겠네요~좋은정보 감사합니다%^^
스테이션안에서 검색은 안되도 다음곡, 이전곡 넘김되네요.이거로도 무료니 충분해보입니다ㅎㅎㅎ
좋아요
판도라 라디오 업그레이드버전으로 보면 돼겠네요. 담 전화는 갤럭시를 사야하나...
이거 때문에 오늘 음원 관련 주가가 요동 친 것 같더군요.
로엔이랑 KT뮤직 하한가에 네오위즈 인터넷도 간접적으로 영향을 받았죠... 반대로 밀크뮤직이랑 손잡은걸로 알려진 소리바다는 상승국면에...... 음원사용자들의 이탈이 얼마나 될지가 궁금하네요 저도...
@Casker 소리바다는 장중 20%가 왔다갔다 할 정도로 엄청나더라고요.
어짜피 나온다는거 알았고차익실현물량에 핑계를 준거죠
@데이먼스터드마이어 당분간 음원주는 카오스일듯 하네요..... 어차피 음원주에서 손 뗀지는 조금 됐지만, 이래저래 이젠 어디를 봐야하나 고민이 늘어가네요 갈수록ㅋㅋㅋ 선택지가 줄어드니까 오히려 좋은 거라고 위안삼아야 할 듯하네요.
이거 어디서 다운 받나요?
구글 스토어나 갤럭시 앱스가면 있습니다!!
@Casker 갤럭시 앱스 어디 가면 다운 받을수 있나요? 밀크라고는 안보이던데..그리고 이거 한시적인걸로 알고있는데 언제까지 무료로 들을수있는지 아시나요??
@kobenjh 아직 순위가 높지 않아서 검색이 잘 안되는 것 같더라구요ㅠㅠ 모바일 네이버에서 밀크 검색하시고 밀크 앱 다운로드 경로로 접속하시면 될 듯 합니다.
@kobenjh 일단 삼전의 공식 발표상으로는 당분간 무료로 갈 듯 하고, 향후에는 중간광고를 넣는 대신 무료로 음악감상 / 월 정액제를 넣으면 중간광고 생략하고 음원 감상으로 바뀔 것 같습니다. 현재 타 국가에서는 이 방식을 채택하고 있거든요....
노트원은 안되는군요..ㅋㅋ 2년 조금 넘은 폰인데 너무 구식으로 느껴지네요.. 아직 쓸만한데 약정 지났으니 바꿔야 하나...
정작 글을 올린 저도 노트1유저라서ㅠㅠ 어차피 근데 9월이 가기전에 놋3이나 4로 바꾸려 마음을 먹었으니 그나마 다행이라고 할까요ㅠㅠ
플레이스토어에서 검색하면 되나요?
네 바로 검색나오네요 유후
@No1.Allen Iverson 뭐라고 검색하셨나요? 외국이라서 그런지 안보이네요
삼성에서 저작권을 얼마나 주고 저런 짓을 하는지 궁금하네요.
저도 궁금하네요.... 근데 삼성을 떠나서 워낙 스트리밍 시장의 저작권료 배분 자체가 열악한 상황입니다ㅠㅠ 전반적으로 이 구조부터 고쳐야 하겠죠....
멜론 모기업인 로엔엔터테인먼트는 오늘 하루만에 15%가 빠졌네요;;;;KT도 비슷하고 벅스뮤직도 7%빠지고;;
당연히 추후 유료로 전환할 것입니다물론 기존 서비스의 유저를 상당수 흡수한 이후 자본이 깡패인 세상입니다
이 앱이 미국에서 지난 3월에 이미 출시된거라고 하더군요. 현재 미국에서는 광고기반 스트리밍 무료(즉, 중간광고를 넣으면서 무료)와 즉시 스트리밍 유료(광고 없이 바로 들을 수 있는)로 나뉘어 진다고 합니다. 한국에도 마찬가지로 언젠가는 적용되겠죠.
갤럭시에서만 지원하고 이것이 갤럭시 핸드폰을 구매하는데 충분한 유인이 된다면, 유료화를 하지 않을 수도 있지 않을까 싶네요.실제로 일반 소비자들이 스트리밍 서비스를 이용하려면 보통 5,000~10,000원 수준의 돈을 지불하는데 어느정도는 유인이 될 것 같습니다.멜론, 벅스, 엠넷, 소리바다가 차지하고 파이 갉아 먹으려고 시작했다기엔 조금 무리가 있어 보입니다.
엘지도 이거하면 이제 벅스 멜론 다망하는건가여 ? ㄷㄷ
으아~~g3ㅠㅠ
미국에서 노트3 사왔는데.. 지원을 안하는군요... 이상하네요.
감사합니다ㅎㅎ
아 그런데 스트리밍으로 들으시는분들 데이터원래안닳지않나요? 저는 지니뮤직 쓰는데 와이파이아닌곳에서도 따로데이터사용료가안나가는걸로아는데 ..이건 데이터료나가면 오히려비쌀거같아요
beat 잘 쓰고 있습니다. 비슷한거 맞죠?
그거 따라한거처럼 보이네요
@64화음 방구 아네 그럼 부러워하지 않겠습니다^^
뭐만 하면 다 대기업이네 진짜..에효;;;
첫댓글 이거 좋아요
멜론 유료결재해서 듣는데, 한번 깔아봐야겠네요~
좋은정보 감사합니다%^^
스테이션안에서 검색은 안되도 다음곡, 이전곡 넘김되네요.
이거로도 무료니 충분해보입니다ㅎㅎㅎ
좋아요
판도라 라디오 업그레이드버전으로 보면 돼겠네요. 담 전화는 갤럭시를 사야하나...
이거 때문에 오늘 음원 관련 주가가 요동 친 것 같더군요.
로엔이랑 KT뮤직 하한가에 네오위즈 인터넷도 간접적으로 영향을 받았죠... 반대로 밀크뮤직이랑 손잡은걸로 알려진 소리바다는 상승국면에...... 음원사용자들의 이탈이 얼마나 될지가 궁금하네요 저도...
@Casker 소리바다는 장중 20%가 왔다갔다 할 정도로 엄청나더라고요.
어짜피 나온다는거 알았고
차익실현물량에 핑계를 준거죠
@데이먼스터드마이어 당분간 음원주는 카오스일듯 하네요..... 어차피 음원주에서 손 뗀지는 조금 됐지만, 이래저래 이젠 어디를 봐야하나 고민이 늘어가네요 갈수록ㅋㅋㅋ 선택지가 줄어드니까 오히려 좋은 거라고 위안삼아야 할 듯하네요.
이거 어디서 다운 받나요?
구글 스토어나 갤럭시 앱스가면 있습니다!!
@Casker 갤럭시 앱스 어디 가면 다운 받을수 있나요? 밀크라고는 안보이던데..그리고 이거 한시적인걸로 알고있는데 언제까지 무료로 들을수있는지 아시나요??
@kobenjh 아직 순위가 높지 않아서 검색이 잘 안되는 것 같더라구요ㅠㅠ 모바일 네이버에서 밀크 검색하시고 밀크 앱 다운로드 경로로 접속하시면 될 듯 합니다.
@kobenjh 일단 삼전의 공식 발표상으로는 당분간 무료로 갈 듯 하고, 향후에는 중간광고를 넣는 대신 무료로 음악감상 / 월 정액제를 넣으면 중간광고 생략하고 음원 감상으로 바뀔 것 같습니다. 현재 타 국가에서는 이 방식을 채택하고 있거든요....
노트원은 안되는군요..ㅋㅋ 2년 조금 넘은 폰인데 너무 구식으로 느껴지네요.. 아직 쓸만한데 약정 지났으니 바꿔야 하나...
정작 글을 올린 저도 노트1유저라서ㅠㅠ 어차피 근데 9월이 가기전에 놋3이나 4로 바꾸려 마음을 먹었으니 그나마 다행이라고 할까요ㅠㅠ
플레이스토어에서 검색하면 되나요?
네 바로 검색나오네요 유후
@No1.Allen Iverson 뭐라고 검색하셨나요? 외국이라서 그런지 안보이네요
삼성에서 저작권을 얼마나 주고 저런 짓을 하는지 궁금하네요.
저도 궁금하네요.... 근데 삼성을 떠나서 워낙 스트리밍 시장의 저작권료 배분 자체가 열악한 상황입니다ㅠㅠ 전반적으로 이 구조부터 고쳐야 하겠죠....
멜론 모기업인 로엔엔터테인먼트는 오늘 하루만에 15%가 빠졌네요;;;;
KT도 비슷하고 벅스뮤직도 7%빠지고;;
당연히 추후 유료로 전환할 것입니다
물론 기존 서비스의 유저를 상당수 흡수한 이후 자본이 깡패인 세상입니다
이 앱이 미국에서 지난 3월에 이미 출시된거라고 하더군요. 현재 미국에서는 광고기반 스트리밍 무료(즉, 중간광고를 넣으면서 무료)와 즉시 스트리밍 유료(광고 없이 바로 들을 수 있는)로 나뉘어 진다고 합니다. 한국에도 마찬가지로 언젠가는 적용되겠죠.
갤럭시에서만 지원하고 이것이 갤럭시 핸드폰을 구매하는데 충분한 유인이 된다면, 유료화를 하지 않을 수도 있지 않을까 싶네요.
실제로 일반 소비자들이 스트리밍 서비스를 이용하려면 보통 5,000~10,000원 수준의 돈을 지불하는데 어느정도는 유인이 될 것 같습니다.
멜론, 벅스, 엠넷, 소리바다가 차지하고 파이 갉아 먹으려고 시작했다기엔 조금 무리가 있어 보입니다.
엘지도 이거하면 이제 벅스 멜론 다망하는건가여 ? ㄷㄷ
으아~~g3ㅠㅠ
미국에서 노트3 사왔는데.. 지원을 안하는군요... 이상하네요.
감사합니다ㅎㅎ
아 그런데 스트리밍으로 들으시는분들 데이터원래안닳지않나요? 저는 지니뮤직 쓰는데 와이파이아닌곳에서도 따로데이터사용료가안나가는걸로아는데 ..이건 데이터료나가면 오히려비쌀거같아요
beat 잘 쓰고 있습니다.
비슷한거 맞죠?
그거 따라한거처럼 보이네요
@64화음 방구 아네 그럼 부러워하지 않겠습니다^^
뭐만 하면 다 대기업이네 진짜..에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