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등급분류는 패럴림픽의 기본 틀을 형성합니다. 패럴림픽 스포츠에서 경쟁하는 선수들의 장애 유형과 정도는 다 다르며 이 때문에 스포츠 수행의 측면에서 동일한 조건을 만들어 주는 것으로, 선수의 성공이 기술과 체력, 힘, 지구력, 전술 능력과 정신력 등으로만 결정될 수 있도록 해야 하며, 이를 위해등급분류 시스템이 도입되었습니다.
등급 분류는 우선 선수가 패럴림픽 스포츠에 참여할 자격 요건을 갖췄는지를 판단하고, 자격을 갖춘 선수들을 다시 운동 능력의 한계에 따라 한 종목 내에서 여러 그룹들로 나눕니다.
패럴림픽 스포츠는 다음 10가지 장애 유형 중 최소한 하나에 의해 영향을 받는 선수에게 기회를 줍니다: 근력장애, 손상된 수동관절가동범위, 사지결손, 다리 길이 불균형, 단신, 긴장항진, 운동실조, 무정위운동, 시각 장애, 지적 장애.
등급분류 규정은 종목별로 다르며 해당 종목를 관할하는 국제 연맹(IF)에 의해 정해지고, 연맹들은 주기적으로 등급분류 규정을 검토할 의무를 가집니다. 2020 도쿄 패럴림픽에서 사용될 등급분류 규정은 아래의 내용을 참조해 주십시오.
양궁
양궁은 신체 장애를 가진 선수들이 참가할 수 있는 종목입니다.
2020 도쿄 패럴림픽에서 선수들은 W1과 오픈 두 종목에서 경쟁합니다. W1은 휠체어를 사용하는 사지 마비 선수들이 참가하고, 오픈은 W2와 ST 등급이 합쳐진 종목으로 휠체어를 사용하는 선수와 서서 경기하거나 의자에서 경기가 가능한 선수들을 대상으로 합니다.
*장애에 따라 보조 장비 또는 경기 보조원의 도움을 받을 수 있으며 입으로 활시위를 당기는 등 다양한 기법이 사용될 수 있습니다.
육상
육상은 신체 장애, 지적 장애, 시각 장애가 있는 선수들이 참가할 수 있는 종목입니다.
육상에서는 “T”와 “F” 그리고 숫자를 이용해 등급을 구분합니다. 접두사 T는 트랙, 마라톤, 도약 경기를 의미하고, F는 필드 경기를 의미합니다. 이 코드로 트랙/도약/마라톤 혹은 필드 경기 중 어느 종목에 속하는지를 알 수 있고, 등급은 장애의 종류(첫번째 자릿수로 표시)와 장애 정도에 따라 분류됩니다. 일반적으로 두번째 숫자가 낮을수록 장애 정도가 높습니다.
* T/F11, T/F12, T/F13은 시각 장애 선수를 대상으로 합니다.
* T/F20은 지적 장애 선수를 대상으로 합니다.
* T/F30은 뇌성마비나 뇌 손상으로 인해 조정 능력 장애(운동실조, 무정위운동)가 있는 선수를 대상으로 합니다. T/F31, T/F32, T/F33 등급과 T/F34는 휠체어를 사용하는 선수를 대상으로 하고, T/F35, T/F36, T/F37, T/F38은 선 자세로 경기를 치를 수 있는 선수를 대상으로 합니다.
* T/F40 과 T/F41은 단신 장애 선수를 대상으로 합니다.
* T/F42, T/F43, T/F44 등급은 하지 결손, 다리 길이 불균형, 하지 근력 장애, 하지 수동관절가동범위운동 장애가 있는 선수들 중 선 자세로 경기를 치를 수 있는 선수를 대상으로 합니다.
* T/F45, T/F46, T/F47은 양측 상지 장애, 편측 상지 장애, 상부 사지 근력 장애, 상부사지 수동관절가동범위운동 장애가 있는 선수들 중 서서 출전할 수 있는 선수를 대상으로 합니다.
* T/F51, T/F52, T/F53, T/F54, T/F55, T/F56, T/F57은 경수손상, 척수외상, 절단, 기능 장애 등으로 근력에 장애가 있고, 움직임이 제한적이며, 사지 결손, 다리 길이 불균형을 겪는 선수들 중 앉아서 출전해야 하는 선수를 대상으로 합니다.
* T/F61, T/F62, T/F63, T/F64는 다리를 절단한 선수들 중 의족을 끼고 서서 출전하는 선수를 대상으로 합니다.
배드민턴
현재 배드민턴 출전 선수의 등급분류는 다음과 같습니다:
* WH 1은 두 다리와 상체에 장애가 있는 선수들 중 휠체어를 타야 하는 선수들을 대상으로 합니다.
* WH 2는 하나 혹은 두 다리에 장애가 있고, 상체에는 장애가 경미하거나 없는 선수들을 대상으로 합니다. 이 클래스의 선수들은 휠체어를 타고 경기해야 합니다.
* SL 3 선수들은 반드시 서서 경기해야 합니다. 하나 혹은 두 다리에 장애가 있고, 걷기/달리기가 불균형한 선수들을 대상으로 합니다.
* SL 4는 SL 3 선수들에 비해 장애 정도가 경미한 선수들이 서서 경기를 치르는 두번째 클래스입니다. 하나 혹은 두 다리에 장애가 있거나 걸음/달리기가 불균형한 선수들을 대상으로 합니다.
* SU 5는 상지에 장애가 있는 선수들을 대상으로 하며, 라켓을 드는 손이나 반대쪽 손 어디든 장애가 있다면 이 등급에 해당됩니다.
농구
현재 농구의 출전 선수 등급분류는 다음과 같습니다:
휠체어 농구에서는 서로 다른 신체 장애가 있는 선수들이 함께 경쟁을 펼칩니다. 모든 선수들은 휠체어를 타고 경기해야 하고, 절단이나 하지 마비 등 팔과 다리에 영향을 주는 장애가 있어야 합니다. 휠체어 농구에 출전하는 모든 선수들이 일상 생활에서도 휠체어를 타지는 않습니다.
선수들 모두는 운동 능력에 따라 포인트를 부여받게 되고, 포인트는 가장 낮은 신체 능력을 가진 선수에게 주어지는 1.0 부터 가장 높은 신체 능력에 주어지는 4.5까지 매겨집니다. 대부분의 선수들이 팔과 손의 기능에는 이상이 없으며 등급별로 가장 큰 차이점은 공을 잡고 패스할 때 앞이나 옆으로 몸을 기울이는 상체 조절 능력과 앉았을 때의 균형 감각입니다.
각 팀은 12명의 선수를 보유할 수 있지만, 코트 위에는 동시에 5명만 출전할 수 있으며, 코트 위에 올라오는 다섯 명의 포인트 총합은 최대 14점을 초과할 수 없습니다.
보치아
보치아는 신체 장애를 가진 선수들이 참가할 수 있는 종목입니다.
남녀 선수들이 함께 경쟁하며, 장애의 유형이나 정도에 따라 4개의 등급(BC1-4)으로 나눠지고, 경기 규칙은 등급에 맞춰 조정됩니다. 예를 들어 손으로 투구를 할 수 없는 선수는 공을 발로 밀어서 경기할 수도 있고, 경기 보조자의 도움을 받아 경사로와 보조 기구를 사용하여 투구할 수도 있습니다.
* BC1: BC1등급은 다리, 팔 및 상체의 움직임에 심한 제약이 있고, 일반적으로 전동 휠체어를 사용하는 선수를 대상으로 합니다. 이 등급의 선수들은 보조장치 없이 투구가 가능하며 하지 사용 선수는 발로 공을 밀어서 경기하는 것이 허용됩니다.
* BC2: BC2 등급의 보치아 선수들은 BC1 등급 선수들보다 높은 상체조절능력과 팔의 운동 능력을 가졌으며 팔과 손의 운동 능력으로 공을 오버핸드나 언더핸드, 다양한 그립으로 던질 수 있습니다. 이 등급 선수은 경기 보조자의 도움을 받을 수 없습니다.
* BC3: BC3등급은 사지의 운동 능력이 상당히 제한되어 있으며, 뇌 또는 비뇌적 요인으로 상체를 통제할 수 있는 능력이 없거나 부족한 선수들을 대상으로 합니다. 또한, 공을 쥐고, 놓는 동작을 지속적으로 할 수 없기 때문에, 경기 보조자의 도움을 받아 경사로와 보조 기구를 사용해 공을 굴리는 방식으로 경기합니다.
* BC4: BC1-2 등급은 긴장항진, 불수의운동 또는 무정위운동등 뇌성마비 선수를 대상으로 하는 반면, BC4등급은 뇌성마비는 없지만 근육 약화가 진행 중이고 근육량 손실 (근육 영양 장애), 사지에 모두 영향을 주는 척수 손상 또는 절단 장애를 가진 선수들이 포함됩니다. 선수들은 보통 언더핸드로 진자운동의 관성을 이용해 투구를 하며, 양손이나 양팔을 다 사용할 때도 있습니다. BC4등급의 선수들은 공의 그립을 유지하기 위해 장갑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카누
카누는 신체 장애를 가진 선수들이 참가할 수 있는 종목입니다.
선수들은 장애 정도와 운동 능력의 한계에 따라 KL1-3의 세 그룹으로 나뉩니다.
* KL1: 상체 운동이 매우 제한되고, 다리를 완전히 사용하지 못하며 어깨와 팔만으로 패들링을 해야하는 선수
* KL2: 부분적으로 다리와 상체를 사용할 수 있는 선수
* KL3: 상체와 다리 운동 기능을 부분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선수들로 카약에서 상체를 앞쪽으로 구부린 자세로 앉을 수 있고 패들링 시 하체를 사용할 수 있는 선수
사이클
현재 사이클의 출전 선수 등급분류는 다음과 같습니다:
선수들은 장애에 따라 C (사이클), **H (핸드사이클), T** (트라이시클), B (탠덤) 등급으로 나뉩니다.
* C 등급**: 사지 결손, 근력 장애 또는 불수의운동 및 무정위운동처럼 조정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장애를 갖고 있는 선수들이 장애의 정도에 따라 C1, C2, C3, C4, C5 등급으로 세분화 됩니다.
* H 등급*: 하지 절단 이나 마비 또는 운동 기능 장애가 있는 선수들이 핸드 사이클을 사용해 경쟁하는 등급으로, *H1, H2, H3, H4, H5로 세분화 됩니다.
* T 등급*: 긴장항진, 불수의운동 및 무정위운동처럼 균형을 잡기 어렵거나 페달링이 힘든 선수들이 트라이시클을 사용해 경쟁하는 등급으로, *T1과 T2 등급으로 나눠집니다.
* B 등급: 시각 장애가 있는 선수들이 비장애인 파일럿 함께 탠덤 사이클에 타고 경쟁하며, B1, B2, B3 등급 선수들은 한 경기에서 경쟁합니다.
승마
승마는 신체 장애나 시각 장애를 가진 선수들이 참가할 수 있는 종목입니다.
장애인 승마 마장마술은 의학적 판단에 근거한 신체와 시각 장애 정도에 따라 다섯 등급으로 나뉩니다. 등급이 낮을수록 신체 활동 제한의 정도가 심하다는 것을 의미하며, 등급이 높으면 신체 활동 제한이 적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 등급 I: 사지와 몸통에 심각한 장애를 가지고 있는 경우.
* 등급 II: 몸통에 심각한 장애가 있고 상체가 거의 정상적으로 기능하는 경우 또는 몸통과 상체, 하체에 전반적으로 중간정도의 장애가 있는 경우.
* 등급 III: 몸통의 기능은 경미하거나 보통의 정도로 손상되고 두 다리에 심각한 장애를 가진 경우 또는 상체, 하체, 몸통에 전반적으로 중간 정도의 장애가 있는 경우.
* 등급 IV: 두 팔의 기능에 심각한 손상을 입었거나 상체결손인 경우 또는 모든 사지에 보통 정도의 장애가 있는 경우나 왜소증. 등급 IV에는 B1(전맹)과 같은 시각 장애를 가진 선수들도 포함한다.
* 등급 V: 신체활동이나 근력에 심하지 않은 장애가 있는 경우, 사지 중 하나 또는 두 곳의 결손이 있는 경우, B2(저시력)와 같은 시각 장애를 가진 경우.
펜싱
현재 펜싱의 출전 선수 등급분류는 다음과 같습니다:
휠체어 펜싱은 신체 장애를 가진 선수들이 참가할 수 있는 종목으로, 패럴림픽에 참가하는 휠체어 펜싱 선수는 아래 세 가지 등급 중 하나에 속해야 합니다. 대회는 두 개의 카테고리로 나눠 진행합니다.
* 2등급: 앉아서 균형을 잡을 수 있고, 검을 잡는 팔에 불편함이 없는 선수 예: 하반신 마비 선수이거나 검을 잡는 팔에는 최소한의 영향을 받는 불완전마비로 앉아서 균형을 잘 잡을 수 있는 선수.
* 3등급: 검을 잡는 팔에 불편함이 없고 앉아서 균형을 잘 잡을 수 있지만 다리로 몸을 지탱할 수는 없는 선수.
* 4등급: 앉아서 균형을 잘 잡을 수 있고, 다리로 몸을 지탱할 수 있으며, 검을 잡는 팔에 불편함이 없는 선수.
패럴림픽 휠체어 펜싱은 각 등급들을 다음의 두 카테고리로 분류해 세부종목별 경기를 진행합니다.
* 카테고리 A: 3, 4등급
* 카테고리 B: 2등급
5인제 축구
현재 5인제 축구의 출전 선수 등급분류는 다음과 같습니다:
패럴림픽 5인제 축구는 B1 등급, 전맹 선수들이 참가할 수 있는 종목입니다. 필드 플레이어들은 B1등급의 전맹 선수들로 구성되지만, 일부 선수들은 최소한의 빛인지가 가능할 수도 있으며, 네 명의 필드 플레이어들은 공정성을 위해 전원이 빛차단 안대를 착용해야 합니다.
골볼
현재 골볼의 출전 선수 등급분류는 다음과 같습니다: 골볼은 시각 장애를 가진 선수들을 위한 스포츠입니다. B1, B2, B3 등급의 전맹이나 저시력 선수 모두가 출전할 수 있으며 공정한 경기를 위해 모든 출전 선수가 안대를 착용합니다.
유도
현재 유도의 출전 선수 등급분류는 다음과 같습니다:
유도는 시각 장애를 가진 선수들이 참가할 수 있는 종목입니다. 선수들은 시작 장애의 정도에 따라 B1(전맹)부터 B3(저시력)까지의 등급으로 나눠지지만, 실제 시합에서는 등급에 따른 별도의 분류 없이 B1, B2, B3 선수들이 한 체급에서 다같이 경쟁합니다.
파워리프팅
현재 파워리프팅의 출전 선수 등급분류는 다음과 같습니다:
파워리프팅은 다리나 엉덩이에 신체적 장애가 있어 일반 역도(스탠딩) 종목에 출전할 수 없는 선수들을 위한 종목입니다. 파워리프팅은 하나의 등급에서 체중에 따라 나눈 체급별 경기가 벌어집니다.
조정
조정은 신체 장애나 시각 장애를 가진 선수들이 참가할 수 있는 종목입니다.
현재 조정의 출전 선수 등급분류는 다음과 같습니다:
* PR1: 몸통이 기능을 할 수 없거나 최소한의 기능만이 가능해 팔이나 어깨의 힘을 주로 사용하는 선수들을 대상으로 합니다. 앉아서 균형을 잡기 어렵기 때문에 자세 유지를 위한 스트랩이 필요할 경우가 있으며, PR1 선수들은 싱글 스컬 (남/녀) 종목에 출전합니다.
* PR2: 상체와 팔, 어깨의 기능을 사용할 수 있지만 다리의 가동성이나 기능이 심각하게 약해 슬라이딩 시트를 사용할 수 없는 선수들을 대상으로 하며, 더블스컬(혼성) 종목에 출전합니다.
* PR3: 다리, 상체, 팔, 어깨에 기능이 남아 있고 슬라이딩 시트를 사용할 수 있는 선수들을 대상으로 합니다. 이 등급에는 시각 장애 선수들이 참가할 수 있으며, 배 한 대에 최대 두 명까지 시각 장애 선수가 탑승할 수 있습니다. PR3 선수들은 콕스4(혼성) 종목에 출전합니다.
사격
현재 사격의 출전 선수 등급분류는 다음과 같습니다:
패럴림픽 사격은 참가 선수의 신체 장애 정도에 따라 세 가지의 등급으로 나눠지고, 이 등급들은 선수가 참가하는 종목이 소총인지 권총인지도 구분합니다.
등급은 장애 정도와 선수가 팔(손 또는 팔)로 총을 잡을 수 있는지 여부에 따라 결정됩니다. 사격의 세 가지 클래스는 SH1 권총, SH1 소총 (팔로 총을 잡을 수 있음), SH2 소총 (팔로 총을 잡을 수 없으므로 스탠드 사용)입니다.
권총은 한 손으로 잡아야 하기 때문에 SH1 권총은 한쪽 팔이나 다리에 장애를 가진 선수를 대상으로 합니다. 여기에는 절단 또는 척수 부상을 당한 선수가 포함되며, 각 선수별로 경기 규정에 따라 앉은 자세로 경기할 수도, 선 자세로 경기할 수도 있습니다.
소총은 양손으로 잡아야 하기 때문에, SH1 소총 등급은 다리에 장애를 가진 선수들로 절단이나 하반신 마비 선수들이 포함됩니다. 선수들은 장애의 정도에 따라 앉은 자세나 선 자세로 경기할 수 있습니다.
SH2 소총은 팔의 장애 때문에 소총의 무게 전체를 지탱할 수 없는 선수들을 대상으로 하며, 사격 스탠드를 사용해 소총을 지탱합니다. 이 등급으로 출전하는 선수들은 팔 절단 또는 선천적으로 팔의 근육 힘/운동에 영향을 주는 장애를 가진 선수와 사지마비와 같이 팔, 다리 모두 장애를 가지고 있는 선수입니다. 이 등급의 선수들은 대부분 앉은 자세로 경기를 치릅니다.
좌식 배구
현재 좌식배구의 출전 선수 등급분류는 다음과 같습니다:
좌식 배구에는 VS1, VS2의 두 가지 등급이 있습니다. VS2 등급 선수의 장애는 일반적으로 VS1 등급 선수보다 장애 정도가 덜합니다.
VS1는 좌식 배구의 핵심 기능에 큰 영향을 미치는 장애가 있는 선수들을 대상으로 합니다. 예를 들어, 발목 혹은 그 이상 부위의 절단, 선천적으로 사지가 짧거나 없는 경우, 관절과 뼈의 비정상적인 접착 이나 강성으로 인한 뻣뻣한 무릎, 긴장항진, 무정위운동, 및 불수의운동 등의 장애가 있는 선수가 포함됩니다.
VS2는 좌식 배구의 핵심 기능에 영향을 덜 미치는 장애가 있는 선수를 대상으로 합니다. 예를 들어, 한발/양발 절단, 뻣뻣한 발목, 한 손에 네 손가락 이상 절단, 덜 심한 긴장항진과 불수의운동 및 무정위운동 등의 장애를 가진 선수가 포함됩니다.
수영
현재 수영의 출전 선수 등급분류는 다음과 같습니다:
선수는 14개의 등급으로 나뉘며 신체적, 시각적 또는 지적 장애가 있는 선수들이 참가대상입니다. 수영의 등급 명칭은 접두사 "S "또는 "SB"와 숫자로 구성되며, 접두사는 스트로크를, 숫자는 등급을 말합니다. 그리고 S 는 자유형, 접영 및 배영을, SB는 평영을 의미하며 SM은 개인 혼영을 의미합니다. 클래스는 아니지만 참가지수는 (3xS + SB)/4로 계산됩니다. 3-종목 혼영에 참가하는 클래스 S1-4 선수의 경우 공식은 (2S + SB)/3)입니다.
S1/SB1 -S10/SB10은 신체적 장애가 있는 선수를 대상으로 하며, S11/SB11-S13/SB13은 시각 장애가 있는 선수를 대상으로 합니다. 숫자가 클수록 선수의 운동 능력이 좋은 상태입니다. S14/SB14는 지적 장애가 있는 선수를 대상으로 합니다.
탁구
현재 탁구의 출전 선수 등급분류는 다음과 같습니다:
탁구는 신체 장애나 지적 장애를 가진 선수들이 참가할 수 있는 종목입니다.
등급 1-5는 휠체어 선수들이 출전하고, 등급 6-10은 서서 경기할 수 있는 선수 대상입니다. 마지막으로 등급 11은 지적 장애가 있는 선수가 대상입니다. 휠체어 및 입식 등급은 숫자가 낮을수록 장애가 선수의 경쟁에 미치는 영향이 커집니다.
태권도
현재 태권도의 출전 선수 등급분류는 다음과 같습니다:
도쿄 2020에서는 겨루기 종목만이 실시되며, 이 종목은 팔에 장에가 있는 선수들이 참가할 수 있습니다. 패럴림픽의 종목은 K44와 K43 두 등급을 합쳐 K44 등급으로만 경기가 진행되며, K44는 팔이나 다리 한쪽에 제한이 있는 선수들, K43은 양팔의 팔꿈치 아래로 제한이 있는 선수들을 대상으로 합니다.
트라이애슬론
트라이애슬론은 신체 장애나 시각 장애를 가진 선수들이 참가할 수 있는 종목입니다.
현재 트라이애슬론의 출전 선수 등급분류는 다음과 같습니다:
* PTWC1에서 PTWC2 (좌식)는 근력, 운동 범위, 하나 혹은 두개의 다리 절단과 같은 사지 결핍, 척수 손상으로 인한 하반신 마비 또는 사지 마비를 갖고 있는 선수들을 대상으로 합니다. (등급 1은 엉덩이나 상체에 더 심한 장애가 있는 선수 대상) 이 등급에서 사이클은 핸드 사이클로 사용되며, 러닝에서는 휠체어가 사용됩니다. PTWC 출발 인터벌 시스템을 사용하는 대회에서는 PTWC1과 PTWC2 두 등급 선수들이 함께 경기에 참가합니다.
* PTS2에서 PTS5는 사지 중 하나에 장애가 있지만 설 수 있는 선수를 대상으로 합니다. 예를 들어, 팔 혹은 다리 절단 또는 뇌성마비와 같은 기능적 장애가 있는 선수가 대상입니다. (선수들은 장애에 따라 2-5등급으로 나뉩니다) 이 등급에서는 보철 다리와 같은 보조 장치를 사용하여 자전거를 타거나 달리는 것이 허용됩니다.
* PTVI1에서 PTVI3은 시각 장애가 있는 선수를 대상으로 합니다. (장애가 가장 심한 선수가 등급 1). 이 선수들은 출발 인터벌 시스템을 활용해 PTVI 경기에 함께 출전합니다. 이 클래스 선수는 동성 가이드의 도움을 받으며 탠덤 (2인용) 자전거가 사이클링에 사용됩니다.
* 도쿄 2020의 경우, 남자와 여자 모두, 9개의 등급 중 네 개의 등급의 종목이 열립니다. 남자는 PTWC, PTS4, PTS5, PTVI, 여자는 PTWC, PTS2, PTS5, PTVI 클래스 경기가 실시됩니다.
휠체어 럭비
휠체어 럭비는 신체 장애를 가진 선수들이 참가할 수 있는 종목입니다.
현재 트라이애슬론의 출전 선수 등급분류는 다음과 같습니다:
휠체어 럭비 선수들은 신체 능력에 따라 포인트를 부여받습니다. 최소한의 신체적 능력을 갖는 선수들에게 0.5 포인트, 최대의 신체적 능력을 갖는 선수는 3.5 포인트를 부여합니다. 한 팀은 최대 12명의 선수를 보유할 수 있으며, 필드에 투입되는 네 선수의 포인트 총합은 8을 넘을 수 없습니다. 필드에 투입된 선수 중 여자 선수가 있을 경우는 0.5 포인트가 추가로 허용됩니다. 이 시스템에 따라 경미한 장애가 있는 선수(높은 포인트)와 심한 장애가 있는 선수(낮은 포인트)가 함께 경기에 참가할 수 있습니다.
휠체어 테니스
현재 휠체어 테니스의 출전 선수 등급분류는 다음과 같습니다:
휠체어 테니스는 두 개의 클래스로 분류되며, 모든 선수들은 적어도 하나의 다리에 장애가 있다는 공통점이 있습니다.
첫 번째 클래스는 오픈 디비전입니다. 오픈 디비전에는 한쪽이나 양쪽 다리에 영구적인 신체적 장애가 있어서 기능을 잃은 선수 혹은 종목의 최소 기준에 부합하는 선수가 참가할 수 있습니다.
두 번째 클래스는 쿼드 디비전입니다. 한팔 혹은 양팔에 영구적인 신체 장애가 있어 기능을 잃은 선수 혹은 사지 중 최소 세 개가 장애를 가진 경우 쿼드 디비전에 출전할 수 있습니다. 이 선수들은 라켓을 다루거나 휠체어를 움직이는 데 어려움이 있을 수 있기 때문에, 플레이를 하려면 라켓에 테이핑을 하거나 보조장치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첫댓글 분류가 엄청 체계적이다.. 저렇게 틀을 잡아가는데까지 많은 시간이 걸렸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