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상청은 2007년에 식품의약안전청과 식중독지수를 공동으로 개발하여 3월부터
11월까지 오늘, 내일, 모레의 식중독지수를 3시간마다 홈페이지를 통해 서비스하고 있다.
그림 1). 식중독지수 표출 화면 http://www.kma.go.kr/weather/lifenindustry/life_02.jsp
○ 장기예보에서 금년 6월은 기온이 평년보다 높고, 강수량은 평년과 비슷하겠으나,
지역에 따라 많은 비가 올 것으로 예보되어, 금년에는 다른 해 보다 식중독 발
생 가능성이 높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식중독은 연중 6월에 가장 많이 발생하
므로 특히 6월에 식중독지수를 확인하면 국민 건강에 많은 도움이 될 것이다.

○ 식중독 지수는 과거 식중독 발생지역의 온도와 습도를 기초로 개발한 예측모델
을 이용하여 특정 온도와 습도에서의 식중독 발생확률을 백분율로 수치화한 것
이며, 이에 대한 보조 자료로 기온과 습도를 변수로 하여 어떤 물질의 부패 정도
를 지수화한 부패지수도 함께 제공하고 있다.
[식중독 예방을 위한 참고 자료]
○ 최근 5년간 6월에 발생한 식중독을 살펴보면 병원성 대장균이 총 37건 3,701명으
로 가장 많이 발생하였다. 병원성 대장균은 환자나 동물의 분변을 통하여 육류, 채소
류, 어패류 등에 오염될 수 있으므로 육류․어패류는 완전히 익히고, 샐러드 등 생
채소류는 육즙 등이 묻지 않게 분리. 보관하고 흐르는 물에 세척하여야 합니다.
○ 노로바이러스에 의한 식중독도 2006년 대규모 급식사고로 인하여 30건 2,473
명으로 그 다음 순위를 이었습니다.
- 노로바이러스의 예방을 위해서는 손씻기 등 철저한 개인위생 관리와 가열조리 및
끓인 물을 마시는게 좋습니다.
※ 2006년 6월 노로바이러스 식중독 14건 1,878명 발생

○ 또한, 6월은 해수온도가 올라가면서 장염비브리오 식중독이 본격화되는 시기입
니다.
- 해산물 등은 가급적 익혀먹고, 횟감으로 먹는 경우는 깨끗한 수돗물을 이용하
여 세심하게 씻고 드시면 조금 더 안전하게 드실 수 있습니다.
[자료제공 : 식품의약품안전청 식중독예방관리과]
○ 식중독이란?
"음식물 섭취에 따른 건강 장해" 중의 하나로서, 식품위생법에서는 "식품의 섭취
로 인하여 인체에 유해한 미생물 또는 유독물질에 의하여 발생하였거나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는 감염성 또는 독소형 질환"이라고 정의함.
문의 : 기상청 기상산업정책과(02-2181-0852)
식품의약안전청 식중독예방관리과(02-354-8620)
첫댓글 면역력이 약한 어르신들과 생활하다보니 식중독이나 음식으로 인한 사고가 날까 몹시도 걱정이 된다
냉장고 속의 식품이나 조리과정도 꼼꼼히 신경써서 관리해야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