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가. 세계보건기구(WHO)의 국제 장애 분류
(1) 기존(1980년)의 분류 1980년에 세계보건기구(WHO)는 장애를 Impairment, Disability 그리고 Handicap으로 분류하였다. 이런 표현들은 개념적, 실질적으로 각각 상이한 의미를 나타내고 있다.
(가) 손상, 기능장애(Impairment) 유전, 사고 또는 질병 등에 의해 심리적, 생리적 또는 해부학적 구조나 기능의 손실 또는 이상을 의미한다.
- 일반적, 감각적 및 기타 장애 등 - 언어장애, 청각장애, 시각장애 - 골격계 손상, 신체기형(두부, 몸통 기형 및 사지 기형 등) - 지적장애 : 기능, 기억, 사고 등의 병적 상태 - 기타 심리적 장애 : 의식, 자각, 인지 및 정서장애 등 - 내과적 장애 : 심장계통, 위장 계통 등 내과적 기관 장애 등
(나) 능력장애(Disability) 능력장애는 기능장애가 장기간에 걸쳐 지속된다고 의학적으로 판단될 때 쓰이는 말로 인간에게 정상적인 것으로 간주되는 범위 내에서 또는 그런 방식으로 활동을 수행하는 능력의 제한이나 결여를 의미한다. 장애복지와 관련되는 각종 급부를 결정하는 기준으로 사용되는 사례가 많다. - 행동상의 장애 : 주위환경 의식, 가족 관계, 직업상의 역할관계, 기타 태도상 의 문제 등 - 의사소통 장애 : 언어, 시청각상의 장애, 기타 의사소통 장애 - 일상생활 동작장애 : 대소변보기, 개인위생, 옷 입기, 식사하기 등 일상생활 동작장애 등 - 운동 장애 : 보행장애, 계단오르기, 이동 등 운동상의 장애 - 가사활동 장애 - 숙련동작 장애 : 일상생활 활동, 손 활동 등 숙련활동 장애 - 상황적 장애 : 주위환경 적응과 인내 등 장애, 특별기능 장애 등 장애
(다) 사회적 장애(Handicap) 기능장애나 능력장애로 인해 사회적 역할 수행이 제한되거나 불가능해 지는 상태를 말한다. 즉, 개인이 처한 환경이나 역할을 고려하여 그 자신의 의학적 장애, 기능적 제약 또는 개인적 특성으로 인하여 그에게 돌아오는 불이익, 기회의 배제와 같은 것이다. - 오리엔테이션 - 신체적 자립 - 이동성 - 직업상 - 사회통합장애 - 경제적 자립상의 장애 등
(2) 최신 장애분류(1997년) 지금까지 국제적으로 통용되고 있던 장애분류는 세계보건기구가 1980년에 제정된 것으로 장애를 기능장애, 능력장애, 사회적장애로 분류되었는데 이 분류만으로는 여러 건강상의 조건을 갖고 있는 사람들의 다양한 경험을 포괄하지 못한다는 지적이 있었다. 이제 이 분류를 사용한지도 벌써 20년이 지난 지금은 새로운 의료 서비스 및 장애에 대한 이해의 변화에 직면함으로써 세계보건기구는 보건분야에 있어 물리적, 정신적 및 사회적 이념을 널리 포함하는 지구촌 공용의 언어를 개발할 것을 결정하였고 국제적 합의를 통해 1997년 국제장애분류 개정안(ICIDH-2)을 만들었다. 이 개정안은 현장 검증을 통해 1999년 말에 확정될 예정이다. 현재는 미완결안 이지만 1997년에 제안된 국제 장애분류에 따라 장애를 Impairments, Activity와 Participation으로 분류하고 있다. <기존 장애 분류>
<최신 장애분류>
|
ⓒ 2003 Kunsan College of Nursing. All rights are reserved. |
첫댓글 왠 생각도 못한 꼬부랑 글씨랴....도통 뭔소리인지....어렵다 어려워..누가 통역 좀 해줘요~~~ㅠ.ㅠ
저도 몰라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