山中問答 중국 李太白의 詩
"問余何事栖碧山(문여하사서벽산)
나더러 왜 깊은 산속에 사느냐 묻기에
笑而不答心自閑(소이부답심자한)
빙그레 웃고 대답 않으니 마음 절로 한가롭다
桃花流水要然去(도화유수요연거)
흐르는 물 위에 복사꽃 아득히 떠가니
別有天地非人間(별유천지비인간)
여기가 바로 별천지인가 하노라"
笑而不答/웃을 소, 어조사 이, 아닐 부, 답할 답.
李太白의 山中答人이라는 詩에 나오는 구절이다.
이 詩는 李太白이 젊은 시절 故鄕을 떠나 중국 호북성
안릉이라는 곳에 살고 있을 때 지은 詩이다
누군가 李太白에게 무엇 때문에 이런 깊은 산속에
사느냐고 물었지만 李太白은 아무런 對答없이 웃기만 했다
俗世를 벗어나 자연과 同化되어 사는 즐거움을 말로
說明할 수 없기 때문에 說明할 수가 없으니
아무런 對答없이 그저 微笑를 지을 뿐
하지만 마음이 답답하기는 커녕 한가롭다고 하였다.
남들이 모르는 즐거움을 홀로 누리는 生活에
滿足했기 때문이다
결국 李太白이 웃기만 하고 對答하지 않았던 것은
산에 사는 이유를 말로 說明할 수가 없어서라기
보다는 굳이 남에게 說明할 必要가 없었기 때문 일지도 모르겠다
여기서 나온 고사성어가 笑而不答 이다
웃기만 하고 對答하지 않는다는 뜻
笑而不答은 원래 李太白의 詩에 쓰인 것처럼 남에게
說明하기 어려운 나만의 즐거움을 웃음으로 대신
表現 한다는 뜻인데 요즘은 그뜻이 왜곡 되어 복잡한
事情이 얽혀 말하기 곤란할 때 어려운 處地를 比喩하는
말로 쓰이곤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