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토록 사랑한다고 노래를 부르던 사람이 어느 날, "우리 이제 헤어져. 네가 아니라 내가 문제야. 나보다 좋은 사람 만나."라며 이별을 고한다. 언뜻 들으면 이별의 원인으로 내 문제는 전혀 없어 보이지만, 곰곰이 생각해 보면 이 말은 더 이상 나의 감정을 건드려 봉변(?) 당하지 않고 이별을 하려고 아주 잘 포장한 말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네가 문제야! 헤어져!"라 말하며 이별을 통보할 경우 감정이 상한 내가 어떤 난동(?)을 부릴지 모르므로 사전에 이를 방지하자는 고도의 전략인 셈이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충돌 없이 이별을 마무리하려고 하는데, 실제로 이별을 고할 때, 남자는 10명 중 9명, 여자는 10명 중 7명이 이런 식의 말을 포장하며 이별을 통보한다는 조사 결과도 있다.
그렇게 사랑하던 관계가 다소 서먹해졌다는 느낌을 받고 있었다 하더라도, 막상 이런 이별 통보를 받으면 그 충격은 상당히 크다. 일부 전문가들은 이별을 극복하는 과정은 아주 슬픈 일을 겪고 이를 극복하는 과정과 유사하다고 한다. 충격을 받고 사실이 아니라고 부정하다가, 고통스럽지만 사실로 받아 들이게 되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는 것이다. 여자의 경우, 아름다웠던 시간을 생각하며 눈물을 흘리기도 하고 친구들과 많은 이야기를 나누면서 차츰 이별을 극복하게 된다고 한다. 반면 남자는 새 애인을 만나 새로운 사랑을 시작하면서 이별을 극복하는 경우가 많다고 한다. ‘언젠가 나와 헤어진 것을 눈물 나게 후회하게 만들 것’을 다짐하면서 말이다.
이별, 결별을 말하는 가장 보편적인 영어 단어는 breakup이다. 결혼한 경우라면 separation(별거) 또는 divorce(이혼)로 표현할 수도 있다.
[예문 1] The two spent a good three years together prior to their breakup.
그 둘은 헤어지기 전까지 3년 동안 사이 좋게 지냈다.
[예문 2] Mr. and Mrs. Hart have yet officially to announce a separation but the couple is living apart.
하트 씨 부부는 아직 공식적으로 별거를 발표하지는 않았지만 그들은 따로 살고 있다.
‘슬픔이나 충격, 감정적인 어려움을 극복하다’라고 표현할 때 ‘get over’를 사용할 수 있는데, 이는 overcome과 같은 의미이다.
[예문 1] I really need some advice on how to get over a breakup.
이별을 극복하는 방법에 대해 조언이 필요해요.
[예문 2] There is no easy way to get over a broken heart.
상심한 마음을 극복하는 쉬운 방법은 없다.
get over 뒤에 사람이 올 경우에는 ‘~와의 결별을 극복하다’는 의미로 사용할 수 있다.
[예문] He never really got over Jennifer.
그는 결코 제니퍼와의 이별을 이겨내지 못할 거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