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늘에서 내려온 자 ‘새벽별 (Chorbon, 졸본)’에 터 잡은 고구려 주몽(졸본) 의 유래
한(漢)과 조선의 갈등이 첨예화하던 기원전 2~3세기 ‘단군(檀君)’, 즉 ‘텡그리 임금’의 나라 탁리국(橐離國)에서 떨어져 나와 남하한 일단의 무리가 만주 땅 쑹화(松花)강 유역 창춘(長春) 지역의 예족(濊族)을 흡수해 부여를 건국했다. 부여는 ‘텡그리’를 신봉한 나라였다.
이때 ‘탁리’는 ‘텡리 또는 텡그리(Tengri, 하느님)’를 음차 한 것으로 부여의 원류는 ‘하늘의 신(하느님)’ 텡그리를 신봉하는 부족이다. 부여는 물론 부여를 기원으로 한 고구려도 ‘하늘의 신’을 섬겼다는 것은 고구려의 시조 추모(鄒牟)의 아버지가 하늘에서 내려온 해모수(解慕漱)로 알려진 데서도 잘 알 수 있다. 여기서 ‘해(解)’는 음차로 우리말 ‘해(태양, 太陽)’를 뜻한다.
부여의 주류를 형성한 부족이 외부에서 이주해왔다는 사실은 부여 건국설화 ‘동명성왕(東明聖王) 이야기’ 에도 잘 나타나 있다. 즉, 동명성왕 설화는 남부 시베리아-북몽골· 북만주 일대에 거주하던 부족의 남하 사실을 반영한 것이다. 부여는 기원전 107년 한나라에 멸망당한 조선보다 동아시아 역사에 더 긴 그림자를 드리웠다. 부여에서 고구려가 나왔고, 고구려에서 백제가 잉태됐으며, 백제는 왜(倭)와 연결된다.
선양(瀋陽)과 창춘 사이에 금강 유역의 ‘부여(扶餘)’와 똑같은 이름의 도시 ‘푸위(扶餘)’가 있다. 왜 금강 유역 부여로부터 북쪽으로 1600㎞ 넘게 떨어진 쑹화(松花)강 유역에 부여라는 도시가 하나 더 있는 걸까. 삼국지 위지 동이전에 따르면 부여는 ‘초기에는 오랫동안 어느 나라에도 패해본 적이 없다 한다.’
고구려가 융성하기 시작한 3세기 중엽 이전까지 부여는 만주 지역 최강국이었다. 2세기경 부여는 보기(步騎) 7만~8만을 동원해 다링허(大凌河) 유역으로 진출해 동한군(東漢軍)과 싸울 정도였다.
부여는 494년 고구려 문자왕(文咨王)에게 멸망하기까지 고구려, 모용선비(慕容鮮卑), 읍루(挹婁) 등과 싸워가면서 700여 년간 나라를 유지했다. 나라가 멸망한 5세기 이후 부여의 지배층 대부분은 고구려 지역으로 이주했다. 잔류한 부여인들은 오늘날의 하얼빈(哈爾濱)을 중심으로 몽골계 부족과 힘을 합쳐 ‘두막루(豆莫婁)’를 세웠다.
두막루는 300여 년간 나라를 이어가다가 726년 발해 2대왕 대무예(大武藝)에게 멸망당했다. 부여의 흔적은 쑹화강 상류의 백금보-한서2기 문화 및 지린(吉林) 일대 서단산 문화에서 찾아볼 수 있다.
한편, 한무제(漢武帝)의 공격적 대외정책은 북방의 흉노는 물론, 동방의 선비(鮮卑)와 예맥(濊貊), 서방의 저·강(氐羌), 월지(月氏), 남방의 월(越) 등 인근 부족에 큰 영향을 줬다. 문화와 문화, 부족과 부족이 혼화(混化)했으며, 발전이 뒤처지던 다양한 부족이 한나라와 흉노에 자극받아 스스로 나라를 세우는 등 새로운 세계가 열렸다.
특히 만주와 한반도에서 이러한 경향이 두드러졌다. 기원전 1세기 부여를 이탈한 일단의 무리가 ‘하늘에서 내려온 자(해모수)의 아들’로 알려진 추모를 지도자로 랴오닝(遼寧)성 동남부 압록강 중류 지역으로 남하해 원주민을 흡수한 후 졸본(Chorbon, ‘새벽별’이라는 뜻의 고대 터키어)을 근거로 고구려를 세웠다. 고구려의 수도가 ‘Chorbon’으로 불렸다는 것은 고구려에 투르크적 요소가 포함됐음을 뜻한다.
고구려에 졸본성이 있다. 홀본, 솔본, 졸본 모두 발음이 변형된 것이다. 고구려의 졸본은 몽골의 홉스굴호인것이다. 고구려의 졸본은 샛별, 솔본, 소르본, 솔로몬 등으로도 불린다. 또한 “추모”라고도 불리며 한자로 주몽이라고 한다.
Herlen-gol Rievr : Kherlen River라고도 하며 몽골어로 Хэрулэн гол라 쓰며 한자로는 克魯倫河이며 현재 중국의 내몽골자치구와 몽골지역을 흐르는 강으로 그 길이는 1,254 km에 달한다. Kherlen 우리말로 흐른 혹은 흐름을 gol 골 은 호수, 물, 하천, 강을 뜻한다.
갈매기의 갈 그리고 바이칼의 칼-과 거랑 냉끄랑의 걸 과 같다. 물, 강을 뜻하는 말이다. 고주몽이 물의 신 하백의 딸 유화의 아들인데 왜 물의신이 나오는지 이제 이 사실을 보면 이해가된다.
물은 홉스굴호수를 말하는 것이고 물의 신 하백은 이 근처의 부족장이나 대군장 혹은 왕을 뜻하는 것이다. 이를 토대로 분석할 때 몽골북서쪽, 바이칼호수서쪽(러시아 이르쿠츠카야 오블래스드), 바이칼호수동쪽(부랴티야), 자바이칼지방이 고구려의 초기 위치인 것이다. 부리야트는 부여족을 말한다. 부여의 후손이 여기에 살고 있다.
언어 | 발음 | 어원해석 |
몽골어 | цолмон [철멍] | 금성(동명성왕)이라고도 불린다. |
페르시아어 | زهره[zohre] | 졸본의 졸/ (ناهید)금성, 샛별, 아프로디테, 여자 이름 |
우즈벡어 | cho‘lpon [체올펀] | (명사)금성, 태백성, 샛별, 개밥바라기, 장경성, 장경, 태백(太白), 태백성(太白星), 혼중성(昏中星), 샛별, 계명성(啓明星), 명성(明星), 비너스(venus) |
터키어 | çolpan [촐판] | (명사)금성/ Çulpan [출판]:(고유명사) 금성/ zühre : (고유명사) 금성 ◾금성 Venus : 빈났어⟶빛났어 |
몽골어 | ОРВОН [어르번] | ◾ВОН 번⟶본(本)/ (명사)〔식물〕뿌리 채 있는 식물./ 뿌리, 기초. |
페르시아어 | بن [bon] | 근본 본(本)/(پایه، اساس) 뿌리, 근본, 바닥 |
라틴어 | rādix [라딕스] | ◾rādix[라딕스] : (여성명사)뿌리/무우/밑동, 밑뿌리, 기저(基底). ◾rhiza [고전:리자] [교회:리자] : (여성명사) 뿌리. |
고대그리스어 | ῥίζα 4491 [rhiza] | ◾ῥίζα 4491 [rhiza] : (명사) 뿌리./명사 [상징적 후손의 의미를 가진] 새로 나온 가지, 어린 가지, 롬15:12, 계5:5, 22:16. |
고대그리스어 | ῥιζόω 4492 [rhizŏō] | ◾ῥιζόω 4492 [rhizŏō] : 동사 뿌리를 박게 하다, 굳게 자리를 잡다, 튼튼한 기초를 가지다, 엡3:17, 골2:7. |
우리말에 이레, 여드레, 아흐레의 "-레"는 日,해를 뜻한다. 해뿌리, 해부리, 히브리, 히부리, 해부루와 같은 어원이다.
해부루 [解夫婁]는 부여의 전설적인 왕으로 ‘해부루(解扶婁)’로 표기되기도 하였다. 그는 북부여의 시조 해모수(解慕漱)의 아들이라는 설도 있고, 단군과 서하하백녀(西河河伯女) 사이에서 태어난 아들이라는 설도 있다.
일본(日本)은 북경어로 riben[르뻔]이라 부른다. 이때 ri, re, ra는 해이며 이집트 태양신은 ra 혹은 re라고 부르며, riben의 ben은 beru 뿌리, 부리와 같은 말이다. 즉 발음만 따왔을 뿐이며 별, 빛, 태양을 상징한다. 일본의 본(本)은 별 뿐만 아니라 도시를 뜻하기도 한다. 일본의 번은 번⟶ 벙⟶ 봉⟶ 몽 발음변화가 일어난다.
또한 일본을 japan이라고 하는데 이때 japan의 ja 역시 해를 뜻한다. za⟶ sa⟶ ja는 새 동쪽을 뜻하기도 하며 해, 빛, 태양을 뜻한다. japan의 j발음은 스페인어로 ㅎ발음이 난다. 해 즉 日이다. pan은 本본과 같은 어원으로 발음이 변한 것이다. pan ⟶ ban과 같다. 즉 번쩍번쩍, 반짝반짝 빛나는 것이다. 반 번⟶빛나다가 되고 영어의 burn이 된다.
인도 파키스탄의 도시를 뜻하는 푸르, 싱가포르의 포르, 황산벌 달구벌 서라벌 의 -벌 모두 도시를 뜻한다. 쇠벌 (鐵源)(금성, 솔도) 소부리. sol+pur=sopur=서벌=서라벌, 즉 금성(金城)은 신라의 수도 역시 이런 뜻이다.
root (뿌리)는 앞에 w, v, f가 생략이 된 발음으로 “부르”이다. pul+rwi=bur+rwi 뿌뤼⟶ 뿌리⟶ 부뤼⟶ 부리 / 뿌러디⟶뿌러지가 된다.